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10/24 13:42:34
Name 낯선아이
Subject [일반] 평소 언어습관에 대해서 고민해보신적 있으시나요?
오늘 카톡하던도중에 지인이 이런글을 보내왔습니다.
읽고 개인적으로 느꼈던 부분들이 많네요.
언어습관이라는 글인데 한번 읽어보세요.
자신의 생활과 비교해보면 도움이 될수 있을것 같네요



1. 상습적으로 고민거리를 말하고 다닌다.

주어진 일을 하다보면 크고 작은 난고나에 부딪치게 마련. 누구나 고민은 한다.
하지만 고민하더라도 입 밖으로 내색하지 말라.
고민이 되든 안되든 어차피 당신이 풀어야 할 일이다.
특히 당신이 상습적으로 고민을 풀어놓는 대상이 당신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한다면 더욱 입을 다물어야 한다.
당신의 잦은 푸념은 결국. 내 능력은 이것밖에 안돼!! 라고 광고를 하고 다니는 격이되고 만다.


2. 모르는 것은 일단 묻고 본다.

모르는 것은 죄가 아니다.
또한 원활한 업무 진행을 위해서라도 모르는 것이 있으면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
잘 모르는데 설명을 듣고도 이해하지 못했는데도 무시당할까봐.
쑥스러워서 등의 이유로 넘어가는 것은 위험한 일이며 더 큰 실수를 부를수 있다.
모르는 것이 있다면 마음 속에 진정 의문이 있다면 씩씩하게 물어봐야 한다.
그러나 질문의 내용이 사실 확인이 아닌 방법이나 방안에 관한 것이라면 생각도 해 보기전에 일단 묻고보자는 태도가 문제가 있다.
무엇인가를 누군가에게 묻기 전에 적어도 당신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두 가지 이상 찾아보라. 질문은 그 뒤에 해도 늦지 않다.
질문의 절제 역시 당신의 능력을 인정받는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3. 이유를 밝히지 않고 맞장구를 친다.

왜 좋은지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가 서지 않는다면 남의 의견에 함부로 동조하거나 맞장구치지마라.
일이 잘되면 상으로 주어지는 몫은 의견을 낸 자에게만 돌아가지만 반대로 일이 안 풀리면 (당사자 혹은 함께한 팀원으로부터) 변명이나 원망의 대상에 당신마저 포함될수 있다.



4. 네!! 라는 답을 듣고도 설득하려 든다.

동조와 허락을 받아낸 것에 대해서는 더 이상 설득하려 들지 마라.
정말 그래도 되는지 그로인해 당신에게 돌아올 불이익은 없는지 등을 두고. 애써 당신의 처지를 설명하고 재차 동조를 구하는 것은 적극적이지 못하고 소심하다는 인상만을 남길 뿐이다.
공감을 얻어야만 안심하는 습관을 버려야 한다.



5. 죄송해요. 라는 말을 남용한다.

죄송합니다. 몰랐네요..라는 말을 자주 쓰는가?
죄송하다는 말은 자신의 잘못이나 실수를 인정하는 말이다.
일처리 과정에서 만약 정말 당신의 잘못이 있다면 죄송하다는 애매한 말 대신 왜 그런실수가 일어났는지 그래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상황부터 설명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서는 죄송하다고 말하지말라.
습관적인 죄송은 배려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오히려 상대방에게 내가 무관심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6. 스스로 함정에 빠지게 하는말. 그럼..제가 해볼게요.~

조직 내에서 가장 끔찍한 상황은 공식화되지 않은 책임을 수행해야 될 때이다.
당신은 모든일을 처리하기 위해 조직에 있는 것이 아니며 조직역시 당신에게 그런 기대를 하지 않는다. 그러나 당신이 당신 업무 외적인 일에 자주 나선다면 조직은 그걸 당연시하게 된다. 그만큼 당신이 가치를 발할 기회가 줄어드는 것은 당연하다. 무언가 당신이 그일을 함으로써 당신에게 내적이든 외적이든 도움이 된다고 판단될 때만 나서라.
우선 당신에게 주어진 업무를 분류해보자.
당신이 반드시 끝내야 하는 일 당신이 하면 좋지만 반드시 하지 않아도 되는 일.

당신이 하지 않아도 상관 없는일이 있을 것이다.
이중 세번째 업무는 머리속에서 지워라.
제일 우선시해야 할것은 당연하게 첫번째 일이다.
바로 이일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쓸데없는 일에는 시간을 낭비하지 말라는 말이다.
두번째 업무는 첫번째에 가까우면서 당신에게 이로운 것을 가려서 취사선택하라.



7. 부정적 의견을 되묻는다.

조직은 각양각색의 사람이 모인 곳이다.
당연히 업무상 의견차가 있을 수 있고. 당신의 생각이나 행동이 상대의 마음에 들지 않을수도 있다.
당신이 당신 스스로에 대해 혹은 업무에 대해 확신이 선 상태에서 일을 추진할 경우 태클 세력들에 대해 왜요? 뭐가 잘못됐죠? 하고 되묻지말라.
쓸테없는 감정 노출로 경계심을 살 필요없이 결과로만 말하면 될일이다.



- 자기 설득 파워中 백지연 -


사회생활 3년차 인데요.
제 사회생활을 돌이켜보면 항상 모르는것을 숨기고 아는척을 했던거같습니다.
아는척을 한다는게.. 후배들한테도 안좋을수 있는거고 선배들한테는 더더욱 미움을 받았습니다
선배가 왜 모르는데 아는척을 하냐 라고 그러면 저는 항상 선배도움없이 잘 해보고싶어서 일부러 그랬다고 했습니다.
이게 너무 안좋았던 방식이였던거 같아요. 막내일때 선배도움을 받고 어서 성장하려는 생각을 하지
못했던거죠. 그냥 윗사람들에게 잘보이기 위한 수단이였습니다.
혹시나 사회생활을 시작하시거나, 사회생활에 있어 저와 비슷하시다면 행동을 고치는것도 참 좋을거같네요.

그리고 공감갔던 내용이 그럼 제가 해볼게요~ 라는 말을 자주한다는것입니다.
자신의 업무와 연관성이 적은 부분들을 꼭 제가 하겠습니다 라고 했었습니다.
3년차로 여태 느끼는 점은 굳이 그럴필요는 없다는것입니다. 누군가는 해결을 해야하는일인데,
막내라고해서 아는척을 해서 굳이 많은 일을 맡아서 할 필요는 없는거같습니다.
물론 모든일을 다 해결하고 잘한다면 사회생활에서 장점이 되겠지요.
하지만 자신이 없거나 모르는 부분이라면 사실대로 말하며 괜히 일을 떠맡았다가 결과적으로 일처리가 늦어지지 않도록 하는게
좋은것 같습니다.

지인에게 사회생활에 관련된 글을 받고 다시한번 사회생활에 대한 태도?를 생각해보았네요.

이 글의 원문의 출처는 명시하겠습니다.

출처 : https://goo.gl/yd6X5z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opxdwwnoaqewu
17/10/24 14:15
수정 아이콘
수많은 자기계발서에 고합니다
내가 몰라서 이러고 있겠니
가만히 손을 잡으
17/10/24 14:24
수정 아이콘
크크크.
Suomi KP/-31
17/10/24 14:33
수정 아이콘
한방에 정리해주시는군요. 크크.
민서은서애비
17/10/24 18:32
수정 아이콘
추천이요 크크
Dark and Mary(닭한마리)
17/10/24 19:18
수정 아이콘
크크크 딴데가서 꼭 이 멘트좀 써먹겠습니다 크크크
홍승식
17/10/24 21:54
수정 아이콘
명문이십니다. 크크크크크
낯선아이
17/10/24 23:15
수정 아이콘
크크 그렇군요
Live Forever
17/10/24 14:45
수정 아이콘
침묵이 최고의 덕목임을 알려주는 주간회의 같은것이 있죠..
한마디 하면 블랙리스트 그것도 점심시간이 다가온다면 ,,,
품의서작성중
17/10/24 16:27
수정 아이콘
으으 월요일 주간회의 11시 30분 후에 말하는 사람은 아웃!
Zoya Yaschenko
17/10/24 16:32
수정 아이콘
침묵은 금이죠.
낯선아이
17/10/24 23:15
수정 아이콘
으으... 말만 들어도 힘들어요
라플라스
17/10/24 15:36
수정 아이콘
"우리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도록 하자."
"물론 내가 맞고 니가 틀리지만."
Zoya Yaschenko
17/10/24 15:38
수정 아이콘
그건 안됩니다. 힘들겠는데요. 불가능합니다.
이런 말을 상사들에게 백날 해봐야 무의미하다는 결론을 얻고 말 수가 줄어들었습니다..
17/10/24 16:21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신입딱지 뗀지 얼마 안되었을 때 이것도 안되고 저것도 말이 안된다고 할 때, 가까운 윗분들은 저렇게 대놓고 말하는 패기가 좋다고 하긴 했지만 결국 눈치없이 나대는 꼴이 되더군요. 연차 더 먹고 나서는 그냥 꿀 먹은 벙어리가 되었습니다...
낯선아이
17/10/24 23:16
수정 아이콘
말수가 줄어들게되지요...참 안타깝죠
순수한사랑
17/10/24 16:19
수정 아이콘
1번만 좀 고쳤네요. 저도모르게 불평불만만 떠들고 있더라구요.
낯선아이
17/10/24 23:16
수정 아이콘
불평불만만 늘어놓는다면 잘 새겨보세요
모지후
17/10/24 16:25
수정 아이콘
글 읽으면서 '어? 이거 난데??' 했어요..OTL
낯선아이
17/10/24 23:16
수정 아이콘
OTL.. 고칠수있습니다
-안군-
17/10/24 16:38
수정 아이콘
뭔가... 직장생활에서 아랫사람 입장의 내용만 있는 듯...
윗사람의 입장에서의 언어습관...은... 뭐라고 한들 다 기분나쁠테니...(응?)

뉴비 시절에, 조목조목 이유를 말하고, 논리적으로 반박한 이후 "그래서, 안 하겠다는 거야?"를 시전하신 부장님을 만난 이후로,
모든 게 다 무의미하다는 것을 깨달았죠;;;
저격수
17/10/24 18:01
수정 아이콘
윗사람 입장의 내용은 간단하지요. (실천은 어렵지만)
아랫사람이 위와 같은 생각을 안 하게 하는 것.
낯선아이
17/10/24 23:17
수정 아이콘
맞아요... 무의미해요 정말로요
17/10/24 16:58
수정 아이콘
개발쪽 일하면서 느낀점.
들어는 본 것 = 모른다.
할 줄 아는 것 = 들어는 봤다.
잘 하는 것 = 소스까봐야지 안다.
낯선아이
17/10/24 23:17
수정 아이콘
하하.. 개발쪽일도 상당히 힘드시죠?
17/10/24 17:02
수정 아이콘
직장에선 맞는말을 해야하는게 아니라 상사가 듣고 싶은말을해야 살아남습니다.
낯선아이
17/10/24 23:17
수정 아이콘
윗사람 맞추는게 정말 힘듭니다
17/10/24 17:20
수정 아이콘
저도 1번은 잘안하는데

2번이 문제네요 연차가 쌓이면 쌓일수록 모르는건 죄가됩니다.................
낯선아이
17/10/24 23:18
수정 아이콘
매사에 최선을 다해서 살아야하지요
프로아갤러
17/10/24 17:52
수정 아이콘
이 글 보고 나니 이번 직장에선 잘못된 언어습관으로 회복하기 어려운 정도의 이미지가 되버린 것 같아
여러모로 고민하다 아다리(?)가 맞아서 오늘 회사 그만둔다고 얘기하고 회사 나왔습니다.
다음 회사에선 유념해야 될 것 같은 좋은 팁이네요.
저격수
17/10/24 18:00
수정 아이콘
요즘은 특히 대체할 사람이 많거든요 크크
사람값이 x값입니다 크크
루트에리노
17/10/24 18:35
수정 아이콘
이 글을 읽고 아 내가 그런가 의심하는 분들은 보통 안이렇습니다.
틀림과 다름
17/10/24 22:41
수정 아이콘
내 회사생활하고는 다르군요
캐모마일
17/10/25 14:09
수정 아이콘
제가 노력하고 있는 것들이 많네요 이 글 레알입니다..
저렇게 하지 않았다가 피 본 경험자로서... 추천!!!
특히 6번 강추!!! 두번 강추!!!!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361 [일반] 이진성 재판관 헌재소장 지명 [7] 안경8490 17/10/28 8490 0
74360 [일반] 생소하고 비 도덕적이고 비 상식적인 이야기 [39] 욕망의진화11301 17/10/28 11301 0
74358 [일반] [단독] '다스로 옮겨진 수상한 120억'…비자금 의혹 문건 입수 [23] 태연이10666 17/10/27 10666 17
74357 [일반] 저도 한 번 써보는 뷰티풀 군바리 라시현 리뷰 [12] Samothrace6910 17/10/27 6910 1
74356 [일반] 카탈루냐의회, 독립 선포안 가결 & 스페인 상원 카탈루냐 자치권 박탈 [150] 홍승식13498 17/10/27 13498 2
74355 [일반] 이마트 노브랜드 제품들 리뷰 [110] 피카츄백만볼트19241 17/10/27 19241 2
74354 [일반] 할무이... 나 라면... [19] 고무장이8910 17/10/27 8910 28
74352 [일반] 고 "한일관" 대표의 사망과 관련한 논란거리와 사실정리 [115] 토니토니쵸파16265 17/10/27 16265 31
74351 [일반] 뷰티풀군바리 - 최근 3화를 보고 든 라시현에 대한 생각 [35] pioren11545 17/10/27 11545 6
74350 [일반] 1000여개의 공기업 채용비리 전수조사! [100] 무가당12441 17/10/27 12441 16
74349 [일반] [일본정치] 고이케 유리코 희망의 당 근황 [52] Remastered12506 17/10/27 12506 2
74348 [일반] 미국의 존 F. 케네디 암살 기밀문서 공개가 일부 보류되었습니다. [30] Misaki Mei12480 17/10/27 12480 2
74347 [일반] [뉴스 모음] 또 다시 국정원 이야기 외 [29] The xian12225 17/10/27 12225 37
74345 [일반] 美상원의원, 트럼프의 北 선제타격 제동 법안 추진 [10] aurelius8791 17/10/26 8791 4
74344 [일반] 이시형 씨는 누구 아들이죠? [31] 삭제됨14361 17/10/26 14361 24
74343 [일반] 이영학 사건에서의 초동수사 부실이 확인되었습니다. [36] 아유10715 17/10/26 10715 12
74342 [일반] [드래곤볼/스포많음] 현재까지의 에피소드 간략한 요약 [16] 태연이10889 17/10/26 10889 1
74341 [일반] 한국 대학생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 문재인, 김연아, 이순신 [100] 홍승식21719 17/10/26 21719 2
74340 [일반] 김택진 대표 장인 피살된채 발견 [42] Remastered18747 17/10/26 18747 0
74339 [일반] 내일이면 존 케네디 암살 관련한 시크릿 자료가 공개됩니다. [11] 테이스터10980 17/10/26 10980 4
74338 [일반] 누가 홍준표좀 말려 줘요!!! [42] 아이군15133 17/10/26 15133 6
74337 [일반] 섬마을 여교사 성폭행 가해자들 2심 파기환송 [77] 아유15031 17/10/26 15031 18
74336 [일반] 한국에서도 활성화, 바뀌었으면 하는 성관념, 성문화 [136] 삭제됨18990 17/10/26 18990 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