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10/18 10:38:48
Name 삭제됨
Subject [일반] 음원 제작과 머신러닝 A.I. (수정됨)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0/18 10:44
수정 아이콘
글에서도 주변에서도... 정말 AI 가 속속들이 생활속으로 침투하고 있음이 느껴집니다.
와일드볼트
17/10/18 10:46
수정 아이콘
본문의 링크를 눌러봐도 아무런 반응이 없네요.
크르르르
17/10/18 10:46
수정 아이콘
홍승식
17/10/18 10:47
수정 아이콘
와... 진짜 딥러닝이 많은걸 바꾸네요.
남산도서관
17/10/18 10:57
수정 아이콘
신기하기도하면서, 한편으론 두렵기도 합니다. 재밌는 글 잘 읽었어요.
어랏노군
17/10/18 11:36
수정 아이콘
진짜 고민을 해야할 시기네요. 앞으로 어떤 일을 하면서 살아갈 것인가..
크르르르
17/10/18 11:43
수정 아이콘
어떻게 살 것인가 - 생존편, 고민해보겠습니다...
-안군-
17/10/18 11:36
수정 아이콘
작곡은 몰라도 믹싱과 마스터링은 사실 기계적(?)인 작업이라, AI가 대체하기 좋은 분야긴 하죠.
그런데 한편으론... 그동안 많은 사운드 엔지니어들이 쌓아온 데이터가 있기에, 딥러닝을 통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걸지도 모르고요.
또 하나는... 이쪽 분야도 취향을 많이 따르는 지라, 정답이 없다는 게 문제인데, 이 부분은 어떻게 해결할 지도 궁금하네요.
어떤 엔지니어는 모든 대역이 꽉꽉 차 있는 믹싱/마스터링을 선호하고, 어떤 엔지니어는 적당히 비워진 사운드를 좋아하기도 하거든요.
크르르르
17/10/18 11:42
수정 아이콘
그 취향의 영역도 어느정도는 선택할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따뜻하게 할 것인지, 확 나와있는 사운드를 선택할 것인지 등등. 물론 AI가 제안해준 것을 바탕으로 수정은 필요하고, 그 섬세한 수정에 인간의 손은 앞으로 한동안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입니다. 그리고 곡 자체를 뒤바꾸는 창의성 있는 결과까지는 아직 어렵기에 그 부분도 아직은 인간의 몫으로 남을 것 같습니다.
17/10/18 12: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음원 제작 과정을 네 단계로 나누어 주셨는데 저같은 문외한이 보기에 녹음&믹싱에 고도의 전문성을 요하는 건 알겠지만 마스터링 작업도 손이 많이 가는 건지가 궁금하네요 머신러닝의 도입으로 마스터링이 굉장히 용이해졌다면 예전에는 전담 엔지니어가 있을 정도로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작업이었나요? 대략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가 궁금하네요 압축 비슷하게 간단한 작업인줄 알았거든요 자칫하면 한 분야의 일자리가 완전히 사라지는 건 아닐까 모르겠네요
크르르르
17/10/18 12: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위에 말씀 드린 것은 앞으로- 이렇게 변할 수도 있고, 변할 것 같다는 의미의 글이지만, 실제로는 컴퓨터 플러그인만으로 음원을 믹싱하고 마스터링하는- 소위 말하는 인더박스 ITB 믹싱과 마스터링도 아직 정착되지 않았습니다. 여전히 대부분의 스튜디오에서는 아웃보드- 외장 장비로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그중에도 마스터링은 사운드 엔지니어링의 꽃이라고 불릴 정도의 전문분야입니다. 믹싱이 화장이라면 마스터링은 사진과 포토샵에 비유하는 경우도 있지요. 마스터링은 엔지니어링을 넘어 프로듀싱의 영역이기도 하기 때문이지요. http://fallscroquis.tistory.com/entry/%EB%A7%88%EC%8A%A4%ED%84%B0%EB%A7%81-iZotope-Ozone-2-%EB%A7%88%EC%8A%A4%ED%84%B0%EB%A7%81%EC%9D%B4%EB%9E%80-%EB%AC%B4%EC%97%87%EC%9D%B8%EA%B0%80 이 다른 분이 쓰신 참조할만한 링크를 함께 남깁니다.
루체시
17/10/18 14:33
수정 아이콘
좋은 블로그 추천 감사드립니다!
세종머앟괴꺼솟
17/10/18 14:47
수정 아이콘
패턴 갖고 노는 부류의 작업들은 이미 딥러닝에게 다 털렸다고 보는 게 좋습니다. 특정 분야에서는 아직 그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앞으로 그렇게 될 것이 확실하기 때문에 미리 기정사실로 생각해도 됩니다. 단순 이론뿐이 아니라 이미지, 텍스트, 음성 등등에서 놀라운 결과물들 다들 보셨잖아요? 입출력이 명확히 정의되는 작업들에 한정해서 AI가 침투하는 속도는 상상을 초월합니다.
현은령
17/10/18 21:01
수정 아이콘
대체할 순 없어도 전문성을 크게 낮춰준다는거니 종사자들이 두려움에 떨 수밖에요 흑흑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285 [일반] 성범죄 혐의를 받고 있는 판사가 여전히 재판에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이 국감에서 드러났습니다. [52] 원시제12013 17/10/22 12013 5
74284 [일반] 라스베가스 총기 사건의 핵심인 범프 스톡 [15] 하심군12496 17/10/21 12496 1
74283 [일반] 요새 알아보고 있는 국민카드 이용하기 [41] style14917 17/10/21 14917 1
74282 [일반] 다이어트 도전기-중간결산 [21] kogang20016612 17/10/21 6612 11
74281 [일반]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높일까..김동연 "상향조정 검토" [49] 군디츠마라10739 17/10/21 10739 5
74280 [일반] 日 지자체 업무에 AI 도입 "지자체 AI 원년될 듯" [30] 삭제됨7350 17/10/21 7350 1
74279 [일반] "전기료 부담시킨 것" 택배 기사에 통행료 걷는 아파트 [78] 카미트리아13400 17/10/21 13400 3
74278 [일반] 겜돌이 육아 이야기 [29] 지진7809 17/10/21 7809 27
74277 [일반] 경기도 용인시가 전국 최초로 무상교복 지원을 하게 되었습니다. [70] 아유10047 17/10/21 10047 2
74276 [일반] 애완동물 관련 사건이 또 발생했네요. [159] 펩시콜라16958 17/10/21 16958 7
74275 [일반] [뉴스 모음] 한미동맹에 분란 조장하는 언론과 야당 외 [38] The xian11622 17/10/21 11622 38
74274 [일반] 뉴스타파에서 한시적으로 공범자들을 무료공개하네요. [6] 먹뚱8550 17/10/20 8550 8
74273 [일반] 단 5분만에 치킨 값 벌기 [80] 솔빈23362 17/10/20 23362 44
74272 [일반] "마"형사와 돌아온 "수사반장" 그리고 미녀형사 [7] 틀림과 다름8431 17/10/20 8431 1
74271 [일반] 앞으로 뭐 할때, 저런 공론화좀 많이 합시다. [31] 삭제됨10904 17/10/20 10904 14
74270 [일반] 유승민, 통합 조건으로 박지원 출당 요구? [67] 길갈14758 17/10/20 14758 0
74269 [일반] 이제는 사용후 핵연료 [44] 우리아들뭐하니9584 17/10/20 9584 0
74268 [일반] [초스압,14.2mb] 썰전 바른정당 통합 관련 주제.jpg [71] 렌야11611 17/10/20 11611 1
74267 [일반] [단상] 한국인 폭행사건과 영국의 막장인생들 [42] aurelius11205 17/10/20 11205 1
74265 [일반] 신고리 건설 재개 결정은 이 정부의 최소한의 합리성을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399] 차라리꽉눌러붙을21395 17/10/20 21395 16
74264 [일반] 에이즈 걸릴 확률?! [33] 속보26786 17/10/20 26786 3
74263 [일반] 아청법의 개정안이 발의되었습니다 [37] 삭제됨15690 17/10/20 15690 1
74262 [일반] 빌리언 달러 베이비 [37] 삭제됨10881 17/10/20 1088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