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9/25 17:32:55
Name 카루오스
File #1 1.jpg (103.2 KB), Download : 73
Link #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9568957
Subject [일반] 인도네시아 발리 아궁산 지하지진 연일 증가세 분화 위험 (수정됨)


녹색창에 발리 화산이 순위권에 올랐길래 뭔가 하고 봤더니 발리의 가장 높은 산인 아궁산이 폭발 조짐이 보인다는 기사가 있더군요.
참고로 아궁산은 발리의 최고봉이자 인도네시아에서 5번째 높은 산으로 구눙 아궁(Gunung Agung)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인도네시아어로 구눙(Gunung)은 ‘산’, 아궁(Agung)은 ‘신성함’을 뜻한다네요.

현재 아궁산은

인도네시아 화산지질재난예방센터(PVMBG)에 따르면 19일 4.5%(20건)와 20일 1.4%(8건)에 불과했던 얕은 지진의 비율은 21일 12.2%(82건), 22일 17.0%(119건), 23일 26.0%(172건), 24일 38.0%(350건)로 빠르게 높아졌다.

PVMBG 당국자들은 "얕은 화산지진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은 마그마가 지표면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에 인도네시아 재난당국은 22일 오후 8시 30분을 기해 아궁 화산의 경보단계를 전체 4단계 중 가장 높은 단계인 '위험'으로 높이고 분화구 반경 6.0∼7.5㎞였던 대피구역을 반경 9.0∼12.0㎞로 확대했다.

라고 합니다. 다만

수시간내 분화할지도 모른다는 유언비어에 PVMBG는 이와 관련해 24일 오후 "세계의 어떤 화산 전문가도 분화 시점을 구체적으로 예측할 수는 없다"는 내용의 해명자료를 배포했다.

인도네시아 당국자들은 이번 사태가 발리 섬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직접적인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강조했다. 아궁 화산은 발리 섬의 중심도시인 덴파사르와는 약 45㎞, 응우라라이 국제공항과는 약 58㎞ 떨어져 있다. 외국인 관광객들이 주로 찾는 남부 쿠타 지역과의 거리는 60㎞ 이상이다.

라고도 합니다.

추석연후때 발리 여행가시는 분들이 있으실거 같은데 발리 여행가시더라도 아궁산 근처에는 가지 않으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여기좀
17/09/25 17:45
수정 아이콘
텐파사르 시가지와 화산과의 거리가 50km 정도인데 재수없으면 화산재 때문에 비행편이 취소되는 사태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미사쯔모
17/09/25 17:48
수정 아이콘
아궁산 -> 아궁이산

뭔가 이름이 의미심장하군요.
17/09/25 18:14
수정 아이콘
이는 우연의 일치일 수 없다.
-안군-
17/09/25 18:16
수정 아이콘
소름끼치게 일치한다.
흘레바람
17/09/25 19:13
수정 아이콘
이것은 인도네시아 역시 환국에 포함된다는 사실을 유추할수있다
17/09/25 19:26
수정 아이콘
환웅이시여....
방구차야
17/09/26 00:56
수정 아이콘
고려시대때 실크로드 타고 들어온 인도네시아산 땔감 유명브랜드가 아궁이었을지도..
래쉬가드
17/09/25 17:52
수정 아이콘
저도 이번에 좀 나가볼까 해서 비행기편 알아봤는데
예매가 불가능한 수준으로 기억하는데 걱정이네요
하우두유두
17/09/25 19:00
수정 아이콘
4월에 발리 신행다녀왔는데 그때 저랬으먄 끔직하네요 ..
토니토니쵸파
17/09/25 19:16
수정 아이콘
https://earth.nullschool.net/#current/wind/surface/level/orthographic=-230.63,4.94,1007

화산재가 얼마나 나올지 모르겠지만 현재 바람 방향상 동남아시아 지역에 난리가 날 듯합니다.
인도네시아 발리 서쪽섬들, 싱가폴, 말레이시아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정도가 화산재 영향권안에 들 것 같네요.
2010년 아이슬란드 화산폭발로 인한 화산재로 일주일 가량 유럽내 공항이 마비된 적이 있었습니다.
오히려 발리 응우라이 공항은 남부라 멀쩡한데 다른 동남아 공항들에서 문제가 생길 가능성도 있어보입니다.
발리로 가는게 아니라고 해서 마냥 안심할건 아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3970 [일반] 노후 석탄발전소 7곳 조기 폐쇄 및 신규화력발전소 LNG 전환 [58] 홍승식9525 17/09/27 9525 9
73969 [일반] 빌 게이츠도 이제는 안드로이드폰 사용... [20] Neanderthal13055 17/09/27 13055 1
73968 [일반] 마약 취해 칼로 찌른 옥스퍼드대생 "징역 살기엔 너무 재능 있다" 집행유예 [87] 은여우12599 17/09/27 12599 1
73967 [일반] 서해순이 법원에 딸의 죽음을 알리지 않은 것이 소송사기인지 [51] Marcion10638 17/09/27 10638 6
73966 [일반] 술 판매 거부했다고 편의점 알바생 폭행한 고등학생들 [62] 태연11006 17/09/27 11006 18
73965 [일반] 서울지하철 적자 중 무임승차 비중 90% 넘어섰다 [107] 군디츠마라12283 17/09/27 12283 1
73964 [일반] (짤막공지) 뇌피셜, 난독증 등의 표현에 대해서 공지드립니다. [13] OrBef11742 17/09/26 11742 21
73963 댓글잠금 [일반] 여성징병제 건 20만명 목표로 재청원 들어갔네요. [702] 20901 17/09/27 20901 27
73962 [일반] [컴퓨터] DDR램 대란이 쉽게 가시지 않을 분위기... [43] 요슈아12715 17/09/27 12715 0
73961 [일반] 국내 포털사이트들 실망스럽네요. [42] 삭제됨12752 17/09/27 12752 2
73959 [일반] [뉴스 모음] 흥신소로 전락한 대한민국 군대 외 [22] The xian13715 17/09/27 13715 39
73958 [일반]  최근 1년반정도사이 산 전자 전기관련 제품들 [8] Lord Be Goja7385 17/09/27 7385 1
73957 [일반] 노브랜드마트 후기 [49] 1q2w3e4r!14558 17/09/26 14558 4
73956 [일반] 모든 것을 파는 백화점은 [16] 누구겠소7531 17/09/26 7531 9
73955 [일반] 4차산업혁명위원장에 장병규 블루홀 이사회 의장 위촉 [25] 자전거도둑8333 17/09/26 8333 1
73954 [일반] 철원에서 육군 병사 1명 사망 [50] 모선13097 17/09/26 13097 0
73953 [일반] 배우 송선미씨 남편이 살해당한 사건이 새 국면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9] 원시제13155 17/09/26 13155 0
73952 [일반] [넨도로이드] 짦막한 소식 몇가지. [9] 김티모10626 17/09/26 10626 3
73951 [일반] 도태호 수원부시장, 광교 원천저수지서 자살 [43] 아라가키17204 17/09/26 17204 1
73950 [일반] 오늘의 중앙지검 단신 몇개.. [17] kicaesar11287 17/09/26 11287 17
73949 [일반] [배상훈의 CRIME]김광석 변사사건 [46] 사과껍데기11251 17/09/26 11251 2
73948 [일반] 이더리움 투자 후기 [49] 11481 17/09/26 11481 110
73947 [일반] 대주주 요건 약화 세법개정안 유감 [78] 일각여삼추10114 17/09/26 10114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