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7/10 12:02:37
Name 카미트리아
File #1 1499648472_NxAXdEKO_IMG_2984.JPG (975.8 KB), Download : 72
File #2 Capture+_2017_07_10_11_51_19.png (2.85 MB), Download : 6
Link #1 https://brunch.co.kr/@minusseo/32
Subject [일반] 불법 도박, 불법 대출...교육은 어떻게...




학생들 사이에 퍼진 불법 토토 이야기는 가끔 들었는데...
불법 대출은 오늘 처음 알았네요..

초딩의 폰 결제 문제.
중고딩의 불법 대출과 불법 토토 문제..

결국은 돈이 무엇이고 어떻게 쓰고 운영해야 되냐의 문제인데요..
위에 뉴스에서도 나오지만
우리나라 공교육에 그런 건 알려주지 않죠..
저도 배운 적이 없고요..

솔직히 말하면
전 나이가 30대 중반이지만 돈관리 못합니다.
그래서 결혼하자 마자 장부 통장 인증서 다 넘기고
용돈 받아 쓰는데...

문제는 이제 슬슬 가르쳐야 한다는 거죠..
아직 어려서 당장 내일 가르쳐야 하는건 아니지만..
나도 모르고 못하는 걸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고민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7/10 12:20
수정 아이콘
최근 가상화폐시장이 과열된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죠. 중학생 고등학생들도 사던데...
카미트리아
17/07/10 13:06
수정 아이콘
중고생도 사나요?
그건 상상도 못했는데..
그걸 정식으로 살수 있는 거였나요?
스타슈터
17/07/10 12:26
수정 아이콘
버릇이 무섭죠... 버릇을 고치는건 더더욱 어렵고요.

신용카드 같은 경우도 통장 잔고보다 더 많은 돈을 긁어대기 시작한 사람은 계속 그렇게 쓰게 되고, 월급을 저축없이 싹싹 긁어 쓰기 시작한 사람도 역시 계속 싹싹 긁어서 쓰게 됩니다. 저런 식으로 빌려서 쓰는 경우도 같겠죠.

유태인들은 아이들에게 돈과 경제에 관한 교육을 어려서부터 중요하게 가르친다는데, 그런 점은 정말 본받을만한 것 같습니다.
카미트리아
17/07/10 13:07
수정 아이콘
좋은 버릇을 어떻게 붙이냐가 정말 어렵죠..

유태인의 교육법이라도 찾아봐야할까요...
언어물리
17/07/10 12:32
수정 아이콘
실생활에서의 돈과 경제에 대한 교육은 필수라고 생각해요. 삶을 구성하는 하나의 필수요소이거든요.
카미트리아
17/07/10 13:12
수정 아이콘
필수인데 교육을 정식으로 받는 경우는 드문것 같아요.

경제와 법 교육은 국영수만큼 중요한 것 같은데..
가정 교육밖에 없는데..
알려줄만큼 잘 몰라서 문제네요
17/07/10 12:50
수정 아이콘
포커를 좋아해서 도박에 관련된 이야기 참 많이 들었는데, 우리나라 사람들 도박 참 좋아합니다. 그런데 좋아는 하는데 정말 못합니다.
솔이바보
17/07/10 14:21
수정 아이콘
저도 포커하는 사람인데 반갑네요.
무무무무무무
17/07/10 12:51
수정 아이콘
아는 사람끼리야 저렇게 많이 한다지만 모르는 사람과 개인정보 까고 저러는 건 와....
17/07/10 12:58
수정 아이콘
사채꾼 우시지마
카미트리아
17/07/10 13:13
수정 아이콘
언제 보여주느냐가 문제네요
17/07/10 13:18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엔 쩐의전쟁이 있죠...
군령술사
17/07/10 13:00
수정 아이콘
다른 교육과 마찬가지로 경제교육 역시 일상 생활에서 습득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 같습니다.
절약하는 습관이나 예상치 못한 지출에 대비하는 신중함 같은 것은 부모의 모범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또한 인감도장과 사인의 무서움은 어렸을 때부터 각인을 시키는 게 좋은 것 같아요.
("보증서는 자식은 낳지도 말라더라"가 저희 어머니의 교육입니다. 크크크)
그리고 도박묵시록 카이지(도박하면 망한다), 사채꾼 우시지마(사채 쓰면 망한다), 검은 사기(사기 당하면 망한다)는 현대인의 생존 필독서가 아닌가 싶어요.
카미트리아
17/07/10 13:16
수정 아이콘
나 스스로가 돈 관리를 잘하는게 아니다 보니..
더 고민인 것 같아요..좋은 모델이 아니다 보니..

그 삼신기는 좋은 교재이긴 한데..
언제 보여주냐가 관건이네요
담배상품권
17/07/10 16:12
수정 아이콘
노동법/금융교육은 필수죠. 정말 공교육이 가르쳐주어야 하는건 답 맞춰서 성적 올리기가 아닌데 흠...
살려야한다
17/07/10 17:29
수정 아이콘
http://www.fss.or.kr/edu/main141.jsp

금융회사 지점과 1사 1교 금융교육 결연을 맺고 방문 교육 등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안 하는게 아니라 하는데 안 듣는거죠.
카미트리아
17/07/10 18:46
수정 아이콘
이건 몰랐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아이가 다니게 될 학교에도 있기를 바래야겠네요
서리한이굶주렸다
17/07/10 21:06
수정 아이콘
벌써 고리대금업을...
답이머얌
17/07/10 23:33
수정 아이콘
사람마다 다 환경과 사연이 다르겠지만 전 마트가서 좀 이해안가거나 무서울 때가 있습니다.

10만원 정도 계산하면서 *개월 할부로 해주세요 라는 말을 들을때 마다 그렇습니다.

10만원이 많다면 많고 적다면 적은 금액이지만 그 정도 금액을 *개월 할부로 돌리는 삶이라면 어느 순간 그 돌려막기가 틀어질 경우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입니다. 설마 잔고가 충분한데도 재미로 또는 푼돈이지만 이자 몇 푼 아끼는 심리로 그런건 아니겠지요?

그런데 이런 말을 가끔 들으면 모르는데 정말 자주 봐서리...많은 사람들이 할부라는 것을 아주 부담없이 사용하는게 무섭더군요. 할부도 결국은 빚이니까요.
카미트리아
17/07/11 00:04
수정 아이콘
무이자 할부는 안하면 손해라는 사람도 있더군요...
답이머얌
17/07/11 00:08
수정 아이콘
어떤게 이익인지 모르겠어요.

1) 무이자 할부 쓰면 카드 사용 포인트 없습니다. 보통 포인트는 0.5%쯤 되죠.

2) 무이자 할부 하면 기한의 이익을 얻습니다. 즉, 이자 비용을 줄이는 거죠. 안쓰고 남아있는 돈에 대해 이자가 붙긴 합니다만 연 0.2% 이자주는 통장에서 몇 개월 더 돈이 있다고 해서 이자 얼마 붙을까요?

정말 잔고가 충분한데도 위 두 가지 경우를 고려해서 무이자 할부가 더 이익이라고 생각해서 그러는 걸까요?
카미트리아
17/07/11 00:18
수정 아이콘
저도 이해는 못했습니다..

걍 이야기하다 저 말 나오고 끝났거든요.
다만 성향 고려했을때 그랬을지는 의문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910 [일반] 김영수 소령이 고발당한 모양입니다. [37] 삭제됨13166 17/07/17 13166 0
72908 [일반] 김동철 "제보 조작 사건, 사실상 종결 "국민의당, 지지율 오를 일만 남아" [60] galaxy11450 17/07/17 11450 5
72907 [일반] 푸시알람 기능 안내 [42] 진성6223 17/07/17 6223 11
72906 [일반] 한달간 제주여행하기 2탄 [5] 모모스20136479 17/07/17 6479 3
72905 [일반] 왓챠 300개인 영린이가 쓰는 5점영화 추천글 [30] 이슬먹고살죠8939 17/07/17 8939 0
72904 [일반] 산업용 전기요금은 정말 원가보다 비쌀까? (내용추가) [60] 홍승식9926 17/07/17 9926 10
72903 [일반] "문정부 적폐청산특위 설치 않기로 가닥" [34] 삭제됨8192 17/07/17 8192 3
72901 [일반] 靑 “정무수석실 캐비넷에서도 朴정부 문건 다량 발견”(속보) [106] 길갈10913 17/07/17 10913 11
72900 [일반] 이상형.. 그리고 솔로 [56] 삭제됨6774 17/07/17 6774 10
72898 [일반] 아이폰8 최신유출 사진 [43] Galvatron9246 17/07/17 9246 0
72897 [일반] 국내 경제를 파탄낼 정책 [94] 루트에리노13024 17/07/17 13024 29
72896 [일반] 연애 노래의 장인과 보일러의 귀재 [3] 헥스밤5467 17/07/17 5467 5
72895 [일반] 기자왈 "이것이 아이폰 8 최종 디자인" [129] Neanderthal13453 17/07/17 13453 2
72894 [일반] 김영란법 변경을 계속해서 시도하는 정부. [63] 김블쏜10854 17/07/17 10854 7
72893 [일반] [기사단장 죽이기] 하루키의 자기복제 (스포 약간) [20] 글곰8655 17/07/17 8655 9
72892 [일반] 북한에 가스관은 불가합니다 [125] 일각여삼추13069 17/07/17 13069 46
72891 [일반] 2008~2017 년도별 내가 들었던 숨겨진(?) 걸그룹(여성) 노래들 [25] spike668248 17/07/17 8248 2
72890 [일반] 어린 시절 이야기 [9] 삭제됨3294 17/07/17 3294 1
72889 [일반] 썩토지수로 줄 세워본 마블 영화들... [60] Neanderthal9692 17/07/17 9692 4
72888 [일반] 최근에 해본 독서방법에 관한 연구 [20] 위버멘쉬7906 17/07/16 7906 25
72887 [일반] 정유라: 시호언니가 울엄마 비자금 숨겼어요 [42] 크아아아14470 17/07/16 14470 5
72886 [일반] 한국형 기동헬기사업(수리온)의 감사결과 총체적 부실이 드러났습니다. [42] The xian9149 17/07/16 9149 9
72885 [일반] 독일 등 탈원전 국가들의 현재 상황 정리 [172] metaljet17762 17/07/16 17762 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