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5/27 21:52:38
Name Leeka
File #1 it.jpg (104.8 KB), Download : 79
Subject [일반] 게임업체로 살펴보는 IT 5대 기업의 영향력


현재 전세계 시총 1~5위면서
IT 5대 기업인 위 5개 기업과 게임업계의 관계를 짤막하게 적어볼까 합니다.


제가 현재 몇년째 서비스 중인 모바일 게임을 기준으로 하면


- 애플 / 구글의 플랫폼에서 서비스 합니다.
(매출의 30%를 수수료로 줍니다..  물론 그 30% 안에는 결제 수수료와 통신사 수수료가 포함되어 있긴 합니다.)

- 마소와 애플의 소프트웨어로 개발합니다.
(마소의 윈도우 + 오피스 + 비주얼스튜디오 &  애플의 맥 + 엑스코드)

- 아마존의 서버를 사용합니다.
(글로벌 서비스 하는 게임업체의 대부분은 다 아마존 서버 씁니다.)

- 페이스북의 이용자 통계를 활용합니다.
(가입시에 페이스북으로 로그인 한번 누른. 그 내용 하나로 페이스북에서 정량화된 정보를 제공해줍니다.)

- 구글과 페북을 활용해서 유저를 모객합니다.
(구글, 페북의 광고 시스템은 정말..  글로벌 모객은 이넘들 만한게 없습니다..   네이버 광고처럼 특정 국가 특화 광고랑은 또 별개의 영역이라..)


위 내용은 '왠만한 모바일 게임 회사'는 다 통용된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마존, 페이스북에 대해선 그냥 책파는 회사, SNS 회사 정도로만 알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위 IT 5대기업이.. 생각보다 IT 업계에서 먼가 개발을 해보시면... 현재 미치고 있는 영향력이 정말 장난이 아닙니다 -.-;;


뭐 요즘엔 지들끼리 컨소시엄 구축해서 미래먹거리 표준들도 결정하는 마당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웨인루구니
17/05/27 21:56
수정 아이콘
리눅스 안쓰나요?
절름발이이리
17/05/27 22:01
수정 아이콘
서버로는 많이 쓰이지만 업무 생산도구로는 인기가 적지요.
17/05/28 08:32
수정 아이콘
아주 가끔 쓰시는분이 있긴한데.. 사내 메신저도 못쓰고 사내 지원도 잘 안되고 불편하죠.
편두통
17/05/27 22:05
수정 아이콘
iOS용은 꼭 엑스코드로 개발해야하나요?
17/05/27 22:07
수정 아이콘
넵.. 윈도우 개발이 익숙한 쪽에선 그냥 윈도우에서 다 만들고
엑스코드에서 그 소스 가지고 빌드만 합니다 -.-;

ios를 비롯한 애플의 OS에서 돌아가는 모든 소프트웨어는 원칙적으로 엑스코드에서만 빌드가 가능하고
엑스코드 프로그램 자체는 무료인데.. 이 프로그램이 맥에서만 사용이 가능하죠 -.-;
편두통
17/05/27 22:11
수정 아이콘
저 안에서도 삼대장은 정말 넘사벽인듯..
17/05/27 22:14
수정 아이콘
리액트 네이티브나 Xamarin 같은게 있긴한데 주류는 아니고, 대부분은 Xcode에서 걍 Swift나 Obj-C로 만들죠..
사고회로
17/05/27 22:19
수정 아이콘
궁금한게 왜 서버를 아마존을 써요? 서버기계 사가지고 자사가 운용하는게 더 운영측면에서 빠르고 믿음직 스럽지 않나요?
황약사
17/05/27 22:29
수정 아이콘
서버운용이야 말로 규모의 경제죠...;-)
작은 회사들은 그냥 아마존 웹서비스나 마소 애져 쓰는게 더 싸게 먹힙니다..;
애플도 구글 클라우드, 마소 애져, 아마존 웹서비스에 클라우드 데이터 나눠 저장하고 있을 정돈데요 ^^;
http://www.itworld.co.kr/news/98387
데이터 센터가 아직 완공이 안되서 그렇겠지만..
17/05/27 22:29
수정 아이콘
일반적인 케이스에서는 아마존 서버 쓰는게 더 빠르고 더 싸고 믿음직스럽습니다...

NHN 같은곳 정도 되야 본인들이 IDC 쓰는게 의미가 있는..


덧붙이자면 아마존을 쓰게 되면 서버 자체를 유동적으로 쓸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압도적인 강점이 생깁니다.
직접 구축하게 되면 '초기 이용자를 정확하게 예측하지 않는한 서버 규모가 넘치거나 모자르게 되지만
아마존을 쓰면 이용자에 맞춰서 서버를 바로바로 늘리고 줄일 수 있거든요'

아마존 비용은 계약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서버 사용 규모 * 시간' 으로 받습니다.


그리고 직접 서버를 쓰게 되면 '그 서버가 죽는순간 겜 아웃' 이지만
아마존을 쓰게 되면 A 서버가 문제 생기면 B 서버 쓰면 됩니다.

전세계 아마존 서버가 동시에 훅가는게 우리 내부 서버가 훅 갈 확률보다 훨씬 낮습니다.
하루빨리
17/05/27 22:30
수정 아이콘
초기 시설 구축 비용때문이죠.
아이고배야
17/05/27 22:31
수정 아이콘
글로벌 서비스를 해야하기에 적당한 속도 보장
+
클라우드 서버를 활용한 쉬운 확장성

2개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꼭 내부에 인프라를 갖춘다고 안정성이 보장되는건 아니라서요..
타네시마 포푸라
17/05/27 23:08
수정 아이콘
싼건 사서쓰는게 더 싼데, 믿음직한건 AWS 가 훨씬 믿음직스러워요. 확장도 좋고, 서비스 쓸것도 많고, 모니터링도 기본으로 제공해주는 내용들이 많이 있고, 무엇보다 해외서비스 같은 경우에는 해외에 서버 사서두는것도 일이고, 사업망하면 서버 또 필요없어지고, 다 나열할 수 없을정도로 클라우드 서비스가 유리합니다.
황약사
17/05/28 02:43
수정 아이콘
믿음직스럽다는 그 부분이 비용이니까요 ;-)
서버 하나 사서 IDC에 박아 두는거야 개인도 할 수 있는 일이지만,
결점없이 잘 돌아가게 관리하는 비용은 또 다른 문제죠 ^^:
17/05/27 23:35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몇개나 사야할 지 결정하는 게 너무 어렵습니다.
예상이 딱 맞으면 참 좋겠지만..
부족하다고 사서 대응 하려면 몇 주 이상 잡아먹기 때문에 유저들 다 떨어져 나가구요..
남으면 낭비인데다가, 그 다음 미래가 또 어떻게 변할지는 모르는거라서
왠만한 대기업 아니면 빌려서 쓰는게 훨씬 이득입니다.
아스트랄
17/05/27 23:48
수정 아이콘
아마존이 가장 메리트 있는게 scale out 이 굉장히 쉽습니다.
거의 실시간으로 처리를 해 주거든요.(돈은 들지만)
예를들어 처음에 디아블로3 나왔을 때 동접자를 못 버텨서 계속 에러가 났잖아요.
아마존의 경우 자동으로 서버 숫자를 늘려서 처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기업에서 직접 하려고 하면 서버를 사서 설치하고 세팅하고 등등 할 일도 많고 시간도 오래 걸리죠.

그리고 서버가 남는다 싶으면 다시 할당된 서버 숫자를 줄여줍니다. 이러면 비용이 줄어들죠.
기업에서는 이미 들어온 서버를 다시 팔거나 하기 힘들잖아요.

삼성전자도 aws쓰는 곳이 있어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7/05/27 22:20
수정 아이콘
책파는 회사랑 온라인 일기장 회사가 어케 저렇게 돈을 쓸어담나 했는데..
영원한초보
17/05/27 22:20
수정 아이콘
여기서 저한테 없어도 아무 문제 없는.회사는 애플이네요.
2000년 초반만해도 오라클과 시스코가 정말 들어가고 싶은 기업이였는데
지금은 일단 유저 많은 기업이 최고인듯합니다.
알리바바는 얼마나 성장할 수 있을지 궁금하네요
DJI같은 드론 회사도 기대되고요
아라가키
17/05/27 22:28
수정 아이콘
엥 아마존 거기 책파는곳 아닙니까 크크
pppppppppp
17/05/27 22:29
수정 아이콘
일반인들은 페이스북을 SNS회사로만 생각하는데 실제론 엄청나죠.. 진짜 대단..
황약사
17/05/27 22:32
수정 아이콘
모르는 사람들한테야 뭐..
순서대로 각각 폰팔이/ 공짜서비스+광고클릭짜증 / 윈도랑 오피스는 깔아주던데 / 책팔이 / 미국판싸이월드 죠 ;;
자곡동
17/05/27 22:38
수정 아이콘
규모로 치면 마켓 수수료 빠고 광고가 제일 크긴하죠 매출의 2~30%정도 통상적으로 발생하고 그중 구글 페북이 50%정도는 가져가게 되니까....
한국화약주식회사
17/05/27 23:19
수정 아이콘
모바일 게임에 억단위로 투자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많을줄 몰랐다고 합니다. 근데 개발자는 일단 구글이랑 애플에 30% 때서 주죠. 애플은 그걸 거의 다 먹지만, 구글은 통신사랑 수수료를 낸다 치더라도 한국의 안드로이드 비중보면 엄청날겁니다.
17/05/27 23:25
수정 아이콘
구글과 애플의 전체 매출과 수익에서 '스토어 매출 규모'는 크진 않습니다.

구글 매출의 11%가 '플레이스토어 + 안드로이드 + 픽셀 + 넥서스'
애플 매출의 11%가 '앱스토어 + 아이튠즈 + 아이북스 + 아이클라우드 + 애플뮤직 + 애플케어 + 파컷&로직등의 유료 어플 등..'

고.. 실제 스토어 매출은 둘다 전체 매출에서 한자리수죠 -.-;
애플 전체 매출의 84%는 아이폰+아이패드+맥 판매 / 구글 전체 매출의 88%가 광고 판매.. 일 정도라서..


그리고 구글은 애플하고 다르게 안드로이드 특성상 다른 스토어들하고 경쟁 문제가 있다보니
광고를 대신 해주거나 (구글플레이 광고) / 구글 행사를 크게 하고 자리를 만들어주거나.. 하는 등으로 돈을 쓰는게 꽤 있습니다..


애플 스토어군(아이튠즈, 아이북등..)의 가장 큰 롤은 '스토어에서 결제를 하면 할수록 애플 기기를 벗어나기 힘들어진다' 고
구글은 구글 스토어의 지표등을 바탕으로 그 업체가 구글 광고를 집행하는데 연결시켜서 메인디시인 광고를 섭취하는... 게 메인이죠.
한국화약주식회사
17/05/27 23:49
수정 아이콘
비중이 적다지만 그게 어지간한 한국 IT 기업 매출급이긴 하죠 (...)
17/05/28 01:00
수정 아이콘
애플 기준으로는 저 스토어군만으로 미국 100대 기업에 들어갈 정도 규모니
사실 구글/애플 기준으로 큰 비중이 아닐뿐 엄청난 규모기는...
카랑카
17/05/27 23:33
수정 아이콘
IBM하고 오라클은 순위가 어찌되나요?
Andromath
17/05/28 01:11
수정 아이콘
클라우드 시장만 보면 오라클은 top 5에 포함안되고... IBM도 AWS나 Azure랑 비교하면 갭이 큰 편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195 [일반] [한국갤럽] 6월 1주 - 문재인 대통령 역대 최고 대통령 지지율 달성 [103] 킹보검16973 17/06/02 16973 23
72193 [일반]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파리기후협약 탈퇴를 선언했습니다. [80] Misaki Mei12080 17/06/02 12080 2
72191 [일반] 삼례 나라 슈퍼 사건 [21] 솔빈12394 17/06/02 12394 48
72190 [일반] 수락산에 큰 불이 나서 아직까지 진화작업 중이라는군요. [13] The xian7317 17/06/02 7317 2
72188 [일반] JTBC의 4과방송 보셨나요? [195] 아이오아이20155 17/06/01 20155 36
72187 [일반] [정보]세계에서 가장 큰 비행기가 공개 되었습니다. [32] 여기좀10306 17/06/01 10306 2
72186 [일반] 文대통령 "가야사(史) 연구·복원사업…영호남 벽 허물 수 있어" [137] 삭제됨13078 17/06/01 13078 4
72185 [일반] 대마초와 연예인 [275] 王天君17582 17/06/01 17582 5
72184 [일반] 19대 대선 문재인/홍준표 K값은 1.6 [145] 텅트16354 17/06/01 16354 24
72183 [일반] [영화]다크나이트 7월 CGV 단독 재개봉!!! [47] 아리아10993 17/06/01 10993 0
72182 [일반] [정보] 옥션2016년 6월 이후 첫구매면 비빔면 10개 100원 [61] Croove9496 17/06/01 9496 3
72181 [일반] [미제사건]전주 여대생 실종 사건 [46] 자전거도둑14402 17/06/01 14402 4
72180 [일반] 오송역 분기가 욕먹는 더 큰 이유는 공주역의 위치 [38] 패르바티패틸13487 17/06/01 13487 1
72179 [일반] 천조국의 악명높은 의료보험을 온몸으로 경험하고 있습니다. [126] Finding Joe17290 17/06/01 17290 32
72178 [일반] 6/8 영국 총선 판세, 코빈의 노동당 대약진 [19] 루저7117 17/06/01 7117 2
72177 [일반] 기대가 없어도 실망이 크다. 대립군 후기 [14] 손금불산입12135 17/06/01 12135 3
72176 [일반]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다. 원더우먼 후기 [58] 꿈꾸는드래곤12665 17/05/31 12665 3
72175 [일반] 여기는 중환자실 [399] 아수라발발타21982 17/05/31 21982 218
72174 [일반] 박근혜 전대통령 근황, 조윤선 문자공개 [40] 순수한사랑15317 17/05/31 15317 3
72173 [일반] 임신 12주차가 되었습니다. [64] 비싼치킨10672 17/05/31 10672 60
72172 [일반] jTBC 강경화 딸 기획부동산 의혹 보도에 대한 비판 + jTBC 사과 [168] z2325124800 17/05/31 24800 36
72171 [일반] 안드로이드의 아버지가 만든 폰... [11] Neanderthal7875 17/05/31 7875 4
72170 [일반] 文대통령 "韓 국민들은 설명이 듣고싶은 것..美 이해해줘야" [20] 서현1210705 17/05/31 10705 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