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4/23 15:16:29
Name 솔빈
Subject [일반] 독후감, 후불제 민주주의 -유시민
이명박 정부 시절 어떤 비판과 반대에도 불구하고 불도저처럼 무작정 밀어붙이는 정치권력의 야만적인 행태와 시민의 자유와 인권을 억압하면서 헌법 정신과 민주주의 절차를 짓밟고 있을 당시 `정치인` 유시민이 아닌 `지식소매상` 유시민이 이명박 정부에 대한 울분을 헌법의 정신과 가치를 되짚어 보면서 감정을 삭힌 것 같은 느낌을 주는 책이다. (하지만 박근혜가 있을지는 몰랐겠지!) 
 
1부와 2부로 나뉜 `후불제 민주주의`는 1부에서는 헌법을 읽으며 헌법의 중요한 가치와 헌법의 당위에 관해서 설명하고 2부에서는 `정치인`유시민의 정치 입문과 공직자로서 경험담과 소회를 풀고 있다. 2부 내용을 계속 보면 누누이 다신 정치를 하지 않겠다는 유시민의 발언들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그가 느꼈던 감정과 후회들을 통해 정치라는 것이 말처럼 쉬운 게 아님을 다시 깨닫게 된다. 
 
아리송한 책의 제목은 과연 이 책이 무슨 책일까 궁금증을 자아내게도 할 수 있고 무시하게 되는 원인이기도 한다. 그렇지만 `후불제 민주주의`라 제목 지은 이 책은 호기심과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민주주의의 값을 아직 치르지 못하고 있나 하는 의아함을 자아냈기에 기꺼이 손이 갔다.(작가빨도 있다) 
 
프랑스, 영국, 독일, 미국 같은 선진국들이 수 백 년에 걸쳐 이룩한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우리 대한민국은 불과 반세기 만에 이뤄냈다. 충분히 자랑스러운 일이지만, 다른 많은 나라가 수 백 년 동안 자유와 평등을 위해 왕의 목을 자르기도 또한 국민 끼리 분열돼 내전을 겪으며 민주주의의 대한 대가를 치렀다. 그렇지만 대한민국은 건국과 동시에 어떠한 값도 치르지 않고 유럽과 미국의 헌법을 가져와 바로 민주주의공화국이 되었다.

그런 대한민국 초기에는 잘못된 지도자들이 나타나 독재와 부정축재를 위해 시민들을 억압하고 헌법을 짓밟으며 자신에 입맛에 맞게 헌법을 바꾸기도 했다. 그렇게 대가 없이 받은 민주주의가 불러온 비극이었다. 하지만 유럽과 미국에서 그랬듯이 시민들이 분노해서 대통령을 내쫓거나 정권을 내려놓게 하였다. 민주주의에 대한 값을 추후에 치르는 것이라고 말한다.  
 
영국과 프랑스, 미국에서 민주주의가 뿌리내리기까지 수없이 많은 사람들이 흘린 피들을 안다. 그런 수많은 피들이 민주주의 정신으로 문화적 유전자가 되어 자식에서 자식으로 손자에게 계승되었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불과 한 세기 전에도 왕이 통치하는 왕조국가였다. 그런 나라가 하루아침에 민주주의공화국이 되어버렸기에 건국 당시 대한민국 국민의 정신은 아직 왕이 다스리는 나라의 백성으로 답보하고 있었다. 그래서 건국 초기에 독재자들이 나타나 다시 왕이 되려고 했다. 하지만 왕의 백성에서 벗어나 자유를 만끽하려는 움직임은 4·19혁명 5.18민주화운동 6.10만 주 항쟁이 되었고 민주주의공화국에 왕이 되려는 `독재자`들을 내쫓았다. 
 
수많은 시민들이 대가를 치른 덕분에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정신은 나날이 성장하고 있다. 그렇지만 아직 제대로 값을 치르지 못한 빚에 대한 반동으로 이명박과 박근혜라는 추악한 권력자를 만들어 냈다. 헌법의 가치를 훼손하고 시민들에 대한 경외심 없이 독단적이고 광폭한 횡포에 지친  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있는 지금에 비추어 보면 언제쯤이면 남은 민주주의에 대한 빚을 청산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세상을보고올게
17/04/23 16:34
수정 아이콘
중고책방에 다른 책을 사러 갔다가 후불제 민주주의 싸인북!을 발견하고 보물을 발견한 심정으로 사와서 아직 읽지 못하고 있습니다.
17/04/23 16:39
수정 아이콘
와. 레어네요. 한번 꼭 읽어보세요. 얼마전에 유작가가 출현한 차이나는 클레스를 보시면 책 내용을 말로 풀어서 쉽게 설명해주니 방송 먼저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미네랄배달
17/04/24 00:41
수정 아이콘
이 리플보고 차이나는 클라스 유시민 작가님 출연분(1~4회)을 봤는데,
너무 재미있고 유익하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아점화한틱
17/04/23 18:29
수정 아이콘
마침 오늘 하루종일 방 가구 재배치하면서 방에있던 책장 빼곡히 박혀있던 책들을 다시 정리하던 참에 발견한 책들이 오랜만에 눈에 들어오더라구요.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진보의 미래', 노무현재단이 엮고 유시민씨가 완성한 '운명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문재인씨의 '운명'이라는 책이 눈에 들어오더라구요. 언젠가 짬을 내서 읽어봐야겠습니다. 후불제 민주주의도 사서 읽어봐야지 했었던건데 책이라는게 참... 읽을 여유가 잘 안생기다보니 ㅠㅠ
BetterThanYesterday
17/04/23 22:0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언젠가 유시민 전 장관이 대통령이 되길 바라는 마음이라

저도 후불제 민주주의 참 좋게 읽었습니다,,,

요즘 토론 볼 때마다 문재인님 자리에 유시민님이 앉아 있었더라면 참 명쾌했을 것 같다는 생각 많이 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725 [일반] 막장으로 가버린 1939년, 정상 라인업. [11] 상계동 신선8106 17/05/10 8106 0
71723 [일반] 성별 가산점..? [20] 탐랑8022 17/05/10 8022 4
71722 [일반] 평생 [9] 누구겠소5087 17/05/10 5087 9
71719 [일반] [매우스포] 에일리언 커버넌트 관련 잡생각 [46] 경성아재11267 17/05/09 11267 7
71718 [일반] 일본 벛꽃구경 스냅들 (칸사이 여행기 - 2) [14] 스타슈터8363 17/05/09 8363 3
71716 [일반] 아...중국 산둥성 웨이하이시에서 교통사고나서 우리나라 유치원생들이 숨졌네요.. [49] QD10172 17/05/09 10172 1
71715 [일반] 다이노코어에 빠진 아들 (공룡,자동차,변신로봇) [21] 파란무테8292 17/05/09 8292 9
71714 [일반] [스포듬뿍] 에일리언:커버넌트 - 떡밥은 잘 회수 했지만 갈길이 멀다 [63] ㈜스틸야드17773 17/05/09 17773 4
71713 [일반] 타이완의 음주운전 처벌 강화 정책 [40] 순수한사랑8611 17/05/09 8611 8
71712 [일반] 당일치기 부산여행기 [11] 마제스티8850 17/05/09 8850 8
71711 [일반] 2000년대 이전 최고의 악역 vs 2000년대 이후 최고의 악역.jpg [66] Ensis15072 17/05/08 15072 5
71710 [일반] 우리 엄마는 바보입니다 [6] 삭제됨7418 17/05/08 7418 9
71709 [일반] [단편] 비결 [13] 마스터충달5002 17/05/08 5002 6
71708 [일반] 회사를 조퇴하고 나와서 쓰는글(푸념주의) [17] 북극9825 17/05/08 9825 11
71707 [일반] 동물의 고백(11) [21] 깐딩5906 17/05/08 5906 8
71706 [일반] 대기업에서 스타트업까지 [73] 감마스터13435 17/05/08 13435 4
71705 [일반] cu 도시락 리뷰 [43] 세이젤13977 17/05/08 13977 6
71704 [일반] 외할머니께.. [4] 끼낏뀨꺄꺄4220 17/05/08 4220 15
71703 [일반] (약스포)가족주의 히어로물 두편 : 로건과 가오갤2 [11] 영원한초보6536 17/05/07 6536 0
71702 [일반] 에어컨 구입에 대한 결정장애 + 가격정보 공유 [39] 이날11640 17/05/07 11640 0
71700 [일반] 러일전쟁과 대한제국(사진) [14] 상계동 신선13919 17/05/07 13919 6
71699 [일반] 샘 오취리, 영어로 인터뷰를 보았는데 참 멋있네요! [12] the3j10988 17/05/07 10988 6
71697 [일반] 무료한 일요일에 일찍 일어나서 써보는 애니메이션 추천글... [38] 푸른늑대18626 17/05/07 18626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