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3/21 18:55:35
Name 靑龍
Link #1 http://blog.naver.com/smh2829/220932544044
Subject [일반] 중국사학과 서양사학의 차이. (그리고 사견)
(이하 내용은 서양의 학자들이 중국사학과의 차이를 평한 내용입니다)

(생략)
만약 동양의 학자가 서양 사학으로부터 계시를 받는다면 그러면 서양학자는 그가 동양을 이해할 때까지 그가 직면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의 오묘함을 영원히 깨닫지 못할 것이다. 일단 우리는 우리 자신의 사상계를 초월하여 중서 양대 사학의 계통을 나란히 두고 관찰해보면 중요한 차이점이 바로 남김없이 드러난다. 이 양대 문화는 역사와 전통에 대하여 모두 두려울만큼의 선입견을 가지고 있다. 양자의 역사정신은 서로가 너무 다르며 양자의 사상계통은 너무 복잡하다.
(생략)
중국의 풍부한 역사 전적들은 마치 관료들에게 가끔씩 참고하도록 비치되어있는 것이지 많은 대중들에게 주어지는 보통의 읽을거리는 아닌듯하다. 서양 사학이 링케의 건전한 지침에서 벗어나는 때가 이와 동일한 노선을 벗어나는 것이 아닌가라고 나는 늘 회의하곤 한다. 여기에는 아마도 왜 서양학자가 동양을 살펴야 하는가라는 더욱 진일보한 원인이 있을 것이다. 동양 학자들은 아마 나를 용인하지 못하겠지만 만약에 내가 서양학자는 오로지 사학이 어떻게 길을 잘못 들 수 있는지를 알기위해서 반드시 중국의 경우를 주시해야한다고 말한다면 그들은 나를 이해할 것이다.
역사저술은 그 전통이 형성된 장구한 세월동안 중국과 서양이 단절된채 완전히 각자 따로 발전하여 '편협'의 극단으로 치우쳤다. 같은 이유로 중국의 저술들은 서양사학의 발전의 한 요인이 되지 못한다. 하지만 이러한 것들이 모두 중국의 성취가 우리에게 조금도 중요하지않다고 하는 것은 아니다. 역사 저술의 기원을 인류 초기의 신앙과 연결시키고 또 민족의 역사적 경험과 연계시키고자 하면, 이것은 비교적 기초적인 일례로서 비교적 깊은 수준까지 토론할 수 있다.
중국의 자연과학이나 사학 중 어느 것이든 유럽의 그것과 비교하는 일이 세계사 연구에 있어서 적절한 기점이다. 비록 이 두 전통이 기원과 성장에 있어서 각기 독립적이지만, 피차 소통할 수 없을만큼 그렇게 격리되어있었던 것은 아니다. 만약에 서양인이 중국 사학의 섬세한 부분들을 놓친다고는 하더라도 그들은 또한 그 뛰어난 점을 알아볼 수는 있다. 이 두 계통 사이의 차이점을 살펴보려는 시도는 우리들로 하여금 '세계사'의 특질을 통찰하게 할 수 있게하고 또한 문화의 비교연구 속에 내재된 의미를 살펴보게 할 수도 있다.
(생략)



- 중국과 서양의 고대사학 비교中, 어문학사, 두유운 지음, 이준희 옮김 -


(책의 전반적인 내용은 중국 고대사학의 우월성을 예시, 입증하는 내용입니다)

========================

(이하는 중국사학과 서양사학에 대한 사견입니다)
중국과 서양의 고대사학을 비교하는 책을 읽어보니 확실히 고대엔 중국의 사학이 훨씬 발전했었던 것 같다.
진실을 추구하는 구진求眞개념, 믿을 수 있는건 그대로 기록하고 의심스러운 것은 제쳐두는 궐의闕疑 개념 등이 그것인데 사서에 어떤 기록이 실려있으면 그것을 기록한 사가史家들에 의해 자체 검증되었을 것으므로 신뢰할 수 있는 사가에의한 기록들은 믿어도 좋을 듯 하다.
반면 서양의 고대사학은 서사적이고 묘사적이며 창의적이었으므로 구진 개념이 좀 약했었기에 시대가 가면 갈수록 비판 사학으로 발전한 것으로 생각하는데 비록 고대에는 사학의 발전이 뛰어나지 않았으나 중세와 근현대를 지나면서 사학의 구조적 방법을 발견, 계승하여 진화시키면서 여전히 답보 상태였던 중국 사학을 추월하고 우위에 서게된 것이 아닌가 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내일은
17/03/21 21:27
수정 아이콘
중국사학은 사마천이 너무 사기죠. 서양사학이 사마천 수준에 올라선게 15세기 정도?
17/03/21 21:55
수정 아이콘
엇! 사견이지만, 피지알에도 삼도하시는 분이 계시군요. 괜히 반갑네요.
17/03/21 22:15
수정 아이콘
반갑습니다 ^^
17/03/21 22:32
수정 아이콘
선진이 후진이 되고 후진이 선진이 되고..
최초의인간
17/03/22 00:44
수정 아이콘
그랬던 중국이.. 울 사마 형 땅속에서 광광 우러욧.. ㅠㅠ
보통블빠
17/03/22 09:07
수정 아이콘
이게 다 홍위맨들 때문입니다..
발터벤야민
17/03/22 09:28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다만 글 내용에서 비판하고 있는 고대 이후의 중국의 사학에 대해 궁금해지는 글이네요 조금 덧붙여 주실 수 있으신지요
17/03/22 11:06
수정 아이콘
중국사학은 그이후로도 그냥 구조적으로는 발전하지않은 채 전례만 운운하고 고대를 숭앙하는 풍조때문에 사학적으로 더이상 발전이 힘들었던 것 같습니다. 미시적으로나 지엽적으로는 분명 귀중한 사료들이고 양도 풍부하지만 서양사학처럼 거시적으로는 하나의 체례같은 단계에는 많이 미치지 못했다고나 할까요?
류지나
17/03/22 10:05
수정 아이콘
저는 거꾸로 전쟁사에서는 중국 기록은 뜬구름잡는 얘기만 많아서... 그런 부분이 아쉽더라구요.
17/03/22 10:11
수정 아이콘
저도 전쟁기록들을 보면 이상하리만큼 두루뭉술하게 기록되어 있는 게 아쉬웠습니다.
임진왜란에서조차 구체적으로 어떤 전술이 어떻게 쓰였는지 알기가 어려울 정도인데 그보다 더 이전 시대는..
17/03/22 11:06
수정 아이콘
전쟁사쪽은 아무래도 중국사학쪽이 좀 약할 겁니다.
언어물리
17/03/22 17:01
수정 아이콘
왜 전쟁사쪽은 중국사학이 약할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368 [일반] [팩트체크] 유리천장이 정말 존재하나 확인해보니 [258] 남성인권위23200 17/04/07 23200 44
71367 [일반] 2017년 3월 국내자동차 판매량 [38] G7011606 17/04/07 11606 0
71366 [일반] 미국, 토마호크 미사일로 시리아 정부군 기지 초토화 [64] 군디츠마라13047 17/04/07 13047 0
71365 [일반] 일부 보수 개신교 교회의 이상한 세계관 [22] Anyname10920 17/04/07 10920 1
71364 [일반] 2017 제1차 엘꼴라시코가 오늘 시작됩니다. [42] 처음느낌8402 17/04/07 8402 0
71363 [일반] 백상예술대상 후보가 공개됐습니다. [28] 여망9110 17/04/07 9110 1
71362 [일반] 첫사랑과 우연히, 억지로 만난 썰 [22] 마제스티10311 17/04/07 10311 13
71361 [일반] [동네형칼럼] 재능기부 몇번째더라;; 직장인 여름맞이불금 [28] 삭제됨7409 17/04/06 7409 9
71360 [일반] 이번 시리아 화학무기 사태에서 이스라엘의 반응이 의외네요 [76] 군디츠마라12137 17/04/06 12137 4
71358 [일반] 그것이 알고 싶다 배정훈 PD의 방금 트윗 (소름) [46] ZeroOne18416 17/04/06 18416 18
71357 [일반] 시간을 달리는 소녀 원작자, 소녀상 관련 망언 [64] ZeroOne11408 17/04/06 11408 3
71356 [일반] [미국 일상 얘기] 안전이 중요하긴 한데... [60] OrBef11285 17/04/06 11285 15
71355 [일반] 미중 정상회담이 잘 될까요? [58] 아수8995 17/04/06 8995 0
71354 [일반] 브라질리언 왁싱 후기!! [125] 주니뭐해62182 17/04/06 62182 13
71353 [일반] 꼴값떠는 순정 [9] 삭제됨6265 17/04/06 6265 0
71352 [일반] [WWE] 난 어김없이 눈물짓고야 말았다 [17] 삭제됨6321 17/04/05 6321 6
71350 [일반] 사드배치 성주에 고속도로·경전철 들어서고 ‘성주참외’는 군부대 납품 [149] 군디츠마라17027 17/04/05 17027 1
71349 [일반] 하와이 이민 자료 공유 [28] Jun91119031 17/04/05 19031 8
71348 [일반] 축구 대표팀 슈틸리케가 시리아 전을 앞두고 내린 전술지시 [122] 삭제됨17108 17/04/05 17108 6
71346 [일반] '4월은 너의 거짓말' 을 보았습니다. [35] 카페알파9908 17/04/05 9908 0
71345 [일반] 가해자가 학교폭력방지의 모델이 되었다 [86] Dalek12953 17/04/05 12953 5
71344 [일반] 임대인 vs 임차인 상가임대차보호법 [36] RnR11608 17/04/05 11608 1
71343 [일반] 계단 강의실 고집한 대학생들...(삭제 수정) [47] 카미트리아14720 17/04/05 1472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