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7/29 22:49:54
Name Neanderthal
Subject [일반] 당신이 말하는 것이 바로 당신 자신이다...
우리의 언어에는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인식체계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예는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지만 대표적으로 우리의 공간적인 경험이 공간과는 상관없는 다른 관점을 묘사할 때도 그대로 사용이 되는 예를 생각할 수 있지요. 특히 영어에 이러한 현상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것들입니다.


행복한 것은 "UP",  슬픈 것은 "DOWN"
I’m feeling up.
My spirits rose.
You’re in high spirits.

I’m feeling down.
I’m depressed.
He’s really low these days.
My spirits sank.

의식이 있는 상태는 "UP", 의식이 없는 상태는 "DOWN"
Wake up.

He fell asleep.
He dropped off to sleep
He’s under hypnosis.
He sank into a coma.

건강이나 생명은 "UP", 아프거나 죽음은 "DOWN"
He’s at the peak of health.
He’s in top shape.

He fell ill.
He’s sinking fast.
He came down with flu.
His health is declining.

통제를 하고 있거나 힘을 가진 것은 "UP",  통제나 힘의 대상이 되는 것은 "DOWN"
I have control over her.
He’s at the height of his power.
He’s in a superior position.
He ranks above me in strength.

He is under my control
He fell from power.
He is my social inferior.

좋은 것은 "UP", 나쁜 것은 "DOWN"
Things are looking up.
We hit a peak last year, but it’s been downhill ever since.
He does high-quality work.

Things are at an all-time low.
We hit a peak last year, but it's been downhill ever since.

미덕은 "UP", 악행은 "DOWN"
He is high-minded.
She has high standards.
She is an upstanding citizen.

That was a low trick.
Don’t be underhanded.
I wouldn’t stoop to that.
That was a low-down thing to do.


위와 같은 언어 표현들은 사람들의 신체적 경험이 언어에 반영이 된 경우들이라고 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의식이 있는 것은 "UP"으로 그렇지 못한 것은 "DOWN"의 공간적 경험을 적용하는 것은 우리가 잘 때는(의식이 없을 때) 누워 있다가 깨어나면(의식이 있을 때) 일어나는 신체의 경험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신체의 경험으로부터 나온 언어의 표현 영역이 다른 상황에까지 확장된 것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지요.

또 다른 예를 하나 들어보면 인생을 여행에 비유하는 것도 있습니다. 즉, 탄생을 출발, 죽음을 도착에다 맞추어 놓고 그 가운데의 삶의 진행을 이런 저런 여정에 비유하는 것이지요. 다시 말해서 시간의 흐름을 공간적 이동으로 변환시켜 표현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Path schema). 아래와 같은 영어 표현들을 이러한 경우에 대한 예시로 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Parents should give their children a good start in life.
He’s over the hill.
I was bogged down in a dead-end job.
Her career is at a standstill.
They’re embarking on a new career.
He’s gone off the rails.
Are you at a cross-road in your life?
I’m past it (= I’m too old).
He’s getting on (= he’s ageing).


하지만 또 재미있는 게 이러한 것은 일방통행입니다. 인생을 여행에 비유하기는 하지만 거꾸로 여행을 인생에 비유하지는 않습니다.

비행기가 출발할 때 "비행기가 태어났다"고 하지 않고 배가 목적지에 도착했다고 "그 여객선이 죽었다"고 하지는 않지요.

아무튼 우리가 인식하고 있든 그렇지 않든 우리가 하는 말에는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인식체계가 반영이 되어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가 하는 말은 우리 자신이라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What we say is what we are!"

지난 한 주 동안 우리는 무슨 말을 했고 무슨 글을 썼을까요? 거기에 드러난 우리의 모습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한번쯤 돌아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7/29 22:58
수정 아이콘
고급진 글이군요. 잘 봤습니다. 때가 되면 알게 되겠죠. 자신이 어떤 모습으로 보여지는지를...
16/07/29 23:02
수정 아이콘
가장 최근에 쓴 글이 어제 블로그에 올린 글인데... 정말 밋밋하게 썼네요.

今日の夜ご飯は仕事仲間とチキンにビール。
Mom's touchは初めてだからドキドキ。(笑)
美味しければいいな~

정말 단순하구나...
다혜헤헿
16/07/29 23:13
수정 아이콘
그래서 치킨은 잘드셨나요 크크크
16/07/29 23:15
수정 아이콘
기대했던 치킨은 그저 그랬는데 정황상 어쩔 수 없이 시킨 파닭이 맛있었습니다. 크크크
Neanderthal
16/07/29 23:31
수정 아이콘
일본어나 불어를 좀 배워보고 싶은데 아는 단어는..."기모..."...--;;
16/07/29 23:34
수정 아이콘
기모옷 좋아하시나 보네요.
Neanderthal
16/07/29 23:37
수정 아이콘
역시 겨울엔 "기모"죠...보온성 짱!...--;;
마스터충달
16/07/29 23:09
수정 아이콘
실존은 본질에 앞서는 법이죠. 사람은 말과 행동으로 평가하고, 평가 받는 게 맞습니다. 진영이나 미화된 목적이 아니라, 행동과 말로 평가 받아야죠.
새강이
16/07/29 23:35
수정 아이콘
긍정뉘앙스의 단어와 부정뉘앙스의 단어..평소에 부정뉘앙스의 단어를 많이 썼었는데 긍정뉘앙스의 단어로 일부러라도 고쳐서 말하려하니 도움이 많이 되더군요
레몬사탕
16/07/29 23:36
수정 아이콘
며칠 전 마션을 다시 보고 감동먹어서 카톡 상태메세지를

You just begin 으로...

바꾸고 오겠습니다.
아세춘
16/07/30 00:00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언행을 올바르게 한다는 것이 참 어렵다고 느끼는 요즘이네요.
슈퍼집강아지
16/07/30 00:09
수정 아이콘
Good~ thumbs up!
지금뭐하고있니
16/07/30 00:22
수정 아이콘
아 글이 좋습니다.
생각하는 바도 담백하고, 읽으면서 느끼는 바도 깔끔하구요.
Philologist
16/07/30 00:34
수정 아이콘
오잉? 생성문법하시는 줄 알았더니 인지문법으로 발을 넓히셨네요? 흐흐
Neanderthal
16/07/30 00:36
수정 아이콘
부끄럽습니다...열심히 읽어보려고요...--;;
Philologist
16/07/30 00:55
수정 아이콘
저도 요새 공간이론이랑 씨름하고 있어서 남일 같지 않네요.. 건승하세요!!
스테비아
16/07/30 01:03
수정 아이콘
힘들어? 힘내.
어쩌면 같은 말일지도 모르겠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아저게안죽네
16/07/30 13:04
수정 아이콘
제목만 보고 네덜란드님 글인 걸 알아채지 못한 첫번째 글이네요.
좋은 글 잘 봤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179 [일반] 광고업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5) (完) [26] 설탕가루인형5527 16/08/23 5527 13
67178 [일반] 귀하의 점수는 삼만사천일백칠십점입니다. [38] 글곰9319 16/08/23 9319 30
67176 [일반] 영화배우 엄태웅 마사지업소서 성폭행 혐의 피소 [112] swear16881 16/08/23 16881 1
67175 [일반] 동해/일본해 표기문제는 전략부터가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다 [65] 군디츠마라8329 16/08/23 8329 17
67174 [일반] 고전 한국 영화를 간단하게 보기. KMDB VOD [5] 드라고나6619 16/08/23 6619 2
67173 [일반] 시사IN 기사 요약 [160] 일각여삼추14310 16/08/23 14310 14
67172 [일반] 사드 제 3후보지 논쟁은 논점일탈이다. [22] 이순신정네거리4980 16/08/23 4980 1
67171 [일반] [야구] 잔여경기로 본 4,5위 경쟁팀 필요성적 [32] 이홍기6147 16/08/23 6147 1
67170 [일반] 절독자들을 표지로 조롱했다는 의혹을 받는 시사IN [216] pgr-29251318284 16/08/23 18284 8
67169 [일반] [계층] 공학 수학을 공부해봅시다 - 미방이란? [83] OrBef9611 16/08/23 9611 50
67168 [일반] [에필로그] 한 여름 밤의 꿈, 그리고 I.B.I(1) [10] 몽필담4698 16/08/23 4698 17
67167 [일반] '쉐이빙가즘' part. 1 [17] 삭제됨4250 16/08/23 4250 1
67166 [일반] 요즘 일본에 대해 다시 생각하고 있습니다. [141] 아이폰6s Plus13407 16/08/23 13407 7
67163 [일반] [야구] 2017 롯데의 신인 드래프트 픽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26] 키스도사7631 16/08/22 7631 3
67162 [일반] 2년 후 평창올림픽 개막식은 무엇을 보여줄까요? [49] 자전거도둑8832 16/08/22 8832 0
67161 [일반] [K리그] 아무도 모릅니다. [24] 흐흐흐흐흐흐3979 16/08/22 3979 0
67160 [일반] [스압] 우리는 변화를 한 번만 겪은 것이 아닙니다 [9] cienbuss10048 16/08/22 10048 10
67159 [일반] [야구] 한화 김민우 어깨 관절와순 손상 [116] 이홍기11244 16/08/22 11244 1
67158 [일반] 불편해 할 권리 [247] 토다에11173 16/08/22 11173 4
67157 [일반] 게임에의한 폭력성이 이번에도... [41] 보드타고싶다8349 16/08/22 8349 1
67156 [일반] 동물의 고백(3) [15] 깐딩4948 16/08/22 4948 6
67155 [일반] 슈틸리케 호, 9월 러시아 월드컵 최종예선 소집 명단 발표 [43] 닭, Chicken, 鷄8007 16/08/22 8007 0
67154 [일반] [KBO] 2016 KBO 신인 2차 드래프트가 오늘 열립니다. [28] ll Apink ll5041 16/08/22 504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