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7/15 14:02:48
Name 설탕가루인형
Subject [일반] 광고업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2)

큰 경쟁 피티가 끝나고 할 일이 없어 시작한 월급루팡짓에 
보여주신 성원에 힘입어 2부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 시대의 모든 광고인들, 광고주분들 화이팅입니다. 

이 글은 업계 구력이 10년도 채 되지 않은 나부랭이의 사견이며, 
귀차니즘으로 인해 인용된 내용 중 일부는 부정확할 수 있다는 점 다시 한 번 말씀드립니다. 


광고업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2)
부제: 카피 앤 아트의 종말



#1. 전설의 레전드


스타판 태초에 신주영과 이기석이라는 전설의 레전드급 프로게이머가 있었듯이,
광고계에도 그런 두 분이 있습니다.

바로 데이비드 오길비(David Ogilvy)와 빌 번벅(William Bill Bernbach)이 그 두 분이죠.


글로벌 광고회사인 오길비 앤 매더와 DDB의 설립자이기도 한 두 분이 광고계에 끼친 영향력은 대단했습니다.

말 나온 김에 전설의 레전드의 작품들을 잠깐 살펴볼까요?







오길비를 만나기 전 100여 년 간 그저 그런 브랜드였던 해서웨이 셔츠는 이 광고 한 방으로 매출을 세 배 가까이 올리며
미국인들의 국민셔츠로 자리 잡습니다.


원래는 다른 셔츠 광고처럼 촬영할 예정이었으나,
오길비가 촬영 직전 주목도를 높이기 위해 모델에게 안대를 차게 했다고 하죠.
새하얀 셔츠와 대비되는 검은 안대를 한 모델이 등장하는
(여태까지 듣도 보도 못한)이 광고는 이후 해서웨이 셔츠의 상징이 됩니다.






[60마일로 달리는 신형 롤스로이스에서 들리는 가장 큰 소리는 전자시계 소리]

여러분은 방금 자동차 광고 역사상 가장 유명한 카피를 보셨습니다.
이 광고를 본 소비자들은 '신형 롤스 로이스가 나왔는데 겁나 조용하구나!'라는 메시지를
스펀지처럼 흡수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엔 빌 번벅의 작품입니다. think small이라는 카피와 그에 걸맞는 작은 비틀의 이미지.

비틀은 이 광고 한 방으로 대형차를 선호하던 미국인들에게 큰 충격을 선사합니다.







[당신의 아내를 가져오십시오. 싼 가격에 새 여자를 드리겠습니다]


불편하신 분들의 심기를 더 불편하게 만들 충격적인 광고를 통해,
촌스러운 패션 가게 오박(Ohrbach's)은  저가격 고품질의 하이패션 부티끄로 거듭나게 됩니다.





#2. 퓨-전!!! 합!!


광고업에 계신 분들이라면 대부분 아실 듯한 전설의 레전드 두 분을 굳이 소환한 이유는,
콩 번째로 두 번째로 소개한 빌 번벅의 영향력을 논하기 위함입니다.


오길비가 [광고는 이성과 과학의 영역]이라고 생각했던 것에 반해,
번벅은 [광고는 감성과 직관의 영역]으로 정의 했습니다.


광고의 핵심은 카피라이팅이라고 생각했던 시기이기에, 
대부분의 광고는 이미 주어진 제품 이미지에
독창적인 카피를 넣는 형식으로 만들어지고 있었죠.

그에 반해 번벅은 카피는 하나의 크리에이티브 요소일 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지도 카피라이터였으면서!!)

늘 새로운 크리에이티브를 갈망했던 번벅이 DDB를 설립하고 가장 먼저 한 일은,
카피라이터와 아트 디렉터를 한 층에 몰아 넣는 작업이었습니다.


그는 글자와 이미지의 시너지에 주목했고,
광고 기획 단계부터 이 둘이 함께 논의한다면 더 새로운 크리에이티브가 나올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수 년간의 작업을 통해 번벅은 광고업계 최초로
카피라이터 한 명과, 아트 디렉터 한 명이 페어를 이루며 작업을 하는
2인조 크리에이티브 팀 방식을  도입하게 됩니다.


이것이 저 유명한 [아트와 카피의 통합] 입니다.
Integration between art & copy, 줄여서 아트 앤 카피라고도 하죠.



이 방식은 현재까지도 대부분의 광고대행사 제작팀에서 운영하고 있을 정도로
탁월한 크리에이티브 발상을 이끌어 냈습니다.



#3. 불편한 삼각관계



신문과 잡지, TV를 거쳐 온라인으로 광고 영역이 확장된 다음에도,
"아트 앤 카피" 방식은 여전히 유효했습니다.

동영상 광고는 TV CF와 같은 방식으로 기획되었고,
배너 광고는 신문잡지 광고와 같은 방식으로 기획되었죠.

그저 매체가 달라진 것 뿐이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놀라운 광고 캠페인이 하나 나타납니다.



2004년, 버거킹은 치킨 샌드위치를 홍보하기 위해 기괴한 캠페인을 벌입니다.
이른바 '복종하는 닭(Subservient Chicken)' 캠페인이 그것입니다.


캠페인 사이트에 들어가면,
닭 코스튬을 한 사람이 하나 서 있고, 그 아래에는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공간이 있습니다.

이 공간에 명령어를 입력하면, 명령어와 어울리는 웃긴 행동을 닭 코스어 하는 것이죠.

어떤 명령어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어느 수위(?)까지 닭이 반응하는지 궁금한 사람들은 몰려들었고,
캠페인 사이트가 오픈한지 3주가 되지 않아 무려 1억 5천 페이지뷰를 기록하게 됩니다.  









[버거킹의 치킨 버거는 마음대로 내용물을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이 캠페인의 기록적인 성공은 광고업계에 거대한 파장을 일으킵니다.


척 보면 아시겠지만, 이 캠페인은 수 많은 명령어에 해당하는 영상을 미리 촬영한 후에
명령어가 입력되면 그 영상을 불러오는 간단한 프로그래밍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그렇습니다.
반백년 가까이 지속되던 "아트 앤 카피"의 달달한 로맨스에 "코딩"이란 놈이 나타난 것이죠.


이 캠페인 이후로, 광고업계는 고도로 디지털화 된 세상에서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 위해서
더 이상 "아트 앤 카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깨닫게 됩니다.



#4. 우리는 광고대행사가 아닙니다


2014 애드위크 선정 올해의 디지털 에이전시,
2015 애드 에이지 선정 올해의 에이전시로 선정된,
세계 최고의 디지털 에이전시로 불리는 R/GA의 CCO(Chief Creative Officer) 닉 로우는
한 인터뷰에서 이렇게 이야기 했습니다.


[R/GA는 이제 에이전시라고 소개하지 않아요. 이제 그냥 회사(Company)라고 소개하죠]

[우리의 지난 10년은 성공적이었어요.
그 비결은 R/GA가 한 쪽 발은 (기술 기반의) 실리콘 벨리에,
나머지 한 쪽은 (광고업 기반의) 메디슨 에비뉴에 걸쳤기 때문입니다.
늘 성공적이었던 것은 아니었지만, 양쪽에서 잘 하지 못한 것을 우리가 해 왔어요.
특히 전통적인 광고업계가 놓치고 있던 걸 계속 해 왔던 게 빛을 발했죠]







광고업계에 길이 남을 나이키 플러스 캠페인은 이런 R/GA의 방침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아이튠즈와 연동되는 디지털 기기를 나이키 런닝화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달리기를 기록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혼자만의 외로운 운동이었던 런닝이, 나이키 플러스 캠페인을 통해 비로소 놀이가 된 것이죠.





2013년, 구글은 자회사(?) '구글 크리에이티브 랩'을 설립하며,

[Art, Copy & Code] 프로젝트를 선언합니다.  





기존 광고대행사의 업무 프로세스를 완전히 바꾸는 작업을 통해,
구글 크리에이티브 랩은 'Burberry Kisses' 캠페인을 선보입니다.






https://kr.burberry.com/make-up-lips/
(아직도 캠페인 사이트가 작동하네요)


캠페인 사이트에 들어가면, 마우스나 터치로 입술을 립스틱으로 칠할 수 있고,
맘에 드는 컬러로 칠한 입술은 나의 소셜 친구들에게 전송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구글이 광고를 만들면 이렇게 하거든?"
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충분한 캠페인이었죠.


2005년, 깐느 광고제에 사이버 부문이 신설된 이후
[아트 앤 카피 앤 코드]는 성공적인 캠페인의 필수요소가 되었습니다. 


코드의 요소가 들어가지 않은 캠페인을 찾는 것이 더 쉬울 정도로요. 

그렇다면 광고회사는 모두 이렇게 기술과의 결합을 통해 
디지털 에이전시로 거듭나야 하는 것일까요?



이후 내용은 기약 없는 3부에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518 [일반] 일본 우익 작가의 만화 목록들 [201] 비타100019022 16/07/23 19022 7
66517 [일반] 지금 서브컬쳐계는 이성을 잃은거 같습니다. [207] 사유라16714 16/07/23 16714 2
66516 [일반] 펌) 지금 인터넷을 흔드는 일련의 사건에 대한 펌글 (장문) [176] Bernardeschi18475 16/07/23 18475 13
66514 [일반] [미술] 최고의 반항아, 마르셀 뒤샹. [19] Basquiat9861 16/07/23 9861 15
66513 [일반] 사태는 이제 노가드, 노실드로 까지 흘러가려고 하는군요(+ 수정, 추가글) [516] 신용운27596 16/07/23 27596 1
66512 [일반] [웹툰 보이콧 관련] 지금 사태가 심상치 않습니다. [107] 세인16627 16/07/23 16627 0
66511 [일반] 일본인은 어디에서 왔는가? - 재레드 다이아몬드 [18] 모모스201314000 16/07/23 14000 6
66510 [일반] (노스포)부산행 블라인드시사회 후기 [19] 아스트란맥6423 16/07/23 6423 1
66509 [일반] 대한민국 흔한 딸 아빠의 첫돌 맞이 시 한 편 [27] Timeless5611 16/07/23 5611 8
66508 [일반] 한국인의 조상들이 온 곳 [10] blackroc14089 16/07/23 14089 1
66507 [일반] [야구] 승부조작 자진신고 받는다(예전 영상추가) [65] 이홍기9684 16/07/23 9684 3
66506 [일반] 독일 뮌헨에서 총격 사건이 벌어졌네요. [7] 흑마법사7974 16/07/23 7974 1
66505 [일반] 메갈 & 워마드 덕에 한 여초 사이트가 터져나가고 있습니다. [65] 삭제됨17748 16/07/23 17748 0
66504 [일반] 집도 절도 없는 언어 - 한국어... [39] Neanderthal12295 16/07/23 12295 15
66503 [일반] 똑같은 대한민국 사람입니다. [46] 오빠나추워7190 16/07/23 7190 25
66502 [일반] 제가 겪은 버스 불친절 + 불법 사례들 [71] 달토끼10221 16/07/23 10221 0
66501 [일반] 큐브엔터테인먼트 홍승성 대표 사직 [14] 좋아요8247 16/07/22 8247 0
66500 [일반] 연합뉴스) IOC "베이징·런던 올림픽 45명 도핑 추가 확인" [24] 닭, Chicken, 鷄8166 16/07/22 8166 0
66499 [일반] 혼성그룹들... [62] 비익조7245 16/07/22 7245 4
66498 [일반] 재미없는 구경거리 [76] 삭제됨12050 16/07/22 12050 35
66497 [일반] 그렇게 나는 불편러가 되었다. [55] 착한 외계인8401 16/07/22 8401 10
66496 [일반] [야구] 송은범이 우측 어깨근육 손상으로 1군에서 말소되었습니다. [52] 원시제8281 16/07/22 8281 0
66494 [일반] 정의당의 재미있는 미러링 [103] blackroc11697 16/07/22 11697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