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4/06 19:02:34
Name Neanderthal
Subject [일반] 입으로 말하는 게, 귀로 듣는 게 다가 아니다...
우리 인간의 언어체계는 상당히 복잡하고 정교한 원리에 의해 운영이 됩니다. 우리가 어떤 문장을 말한다고 했을 때 그것은 단순하게 그 문장이 가지고 있는 문자 그대로의 뜻만 전달하는 것이 아닙니다. 발화와 그것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는 복잡한 과정들이 우리의 무의식 속에서 진행이 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들이 아래의 문장을 들었다고 칩시다.

무정부주의자가 대통령을 암살했다.

여러분이 이 문장을 들었을 때 바로 자연스럽게 알게 되는 내용은 무엇일까요? "이런! 대통령이 정말 정치를 잘 못했는가보네." 인가요? 아닙니다. 대통령이 정말 정치를 잘 했는데 정신이 이상한 무정부주의자가 대통령을 암살했을 수도 있지 않겠습니까? 정답은 바로 "대통령이 죽었다."입니다. 우리는 "무정부주의자가 대통령을 암살했다."라는 문장을 들었을 때 바로 자연스럽게 "대통령이 죽었다."라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누가 우리에게 부연설명을 해줄 필요도 없습니다. 자연스럽게 두 번째 내용을 알게 되는 거지요.

이렇게 어떤 한 문장을 들었을 때 두 번째 문장의 내용을 바로 자연스럽게 알게 되는 경우 우리는 앞의 문장이 뒤의 문장을 [함의]한다고 합니다. 즉 위의 내용에서 "무정부주의자가 대통령을 암살했다."는 문장은 "대통령이 죽었다."는 문장을 함의합니다.

이런 함의관계의 문장들을 하나 더 살펴봅시다.

a. 철수는 오늘 개 한 마리를 샀다.
b. 철수는 오늘 동물 한 마리를 샀다.

위의 문장 a는 문장 b를 함의합니다. 즉, 우리가 문장 a를 들었을 때 우리는 자연스럽게 문장 b의 내용을 알게 됩니다. 누가 우리에게 "저기 말이야, 철수가 오늘 개를 한 마리 샀거든. 그 말은 곧 철수가 오늘 동물을 한 마리 샀다는 거야. 이제 알겠지?" 라고 친절하게 설명할 필요가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자, 이제 다른 두 문장들을 살펴보겠습니다.

a. 철수의 형은 방금 서울에서 돌아왔다.
b. 철수는 형이 있다.

위의 두 문장들의 관계에 있어서 문장 a는 문장 b를 [전제]하고 있습니다. 즉, 철수가 형이 있다는 것이 전제가 되어야 철수의 형이 방금 서울에서 돌아왔다는 말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철수에게 형이 한 사람도 없다면 문장 a는 말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어떤 분들은 이런 질문을 하실 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니, [함의][전제]나 같은 거 아닌가? 자, 보라고! 내가 [철수의 형은 방금 서울에서 돌아왔다]는 말을 너에게 들었어. 그럼 나는 당연히 자연스럽게 [철수는 형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잖아? 누가 나에게 철수는 형이 있다는 사실을 부연해서 설명해줄 필요가 없지, 안 그래? 이런 게 바로 [함의]라며? 그럼 위의 관계도 [함의]네. 결국 같은 관계를 괜히 두 가지 용어로 설명하고 있는 거로구만."

정말 그럴까요? [함의][전제]는 같은 관계에 대해 말하면서 용어만 다르게 사용하는 것일까요? 아니, 그렇지 않습니다. [함의][전제]는 다릅니다. [함의]는 앞의 문장을 부정할 경우 [함의]의 관계가 깨져버립니다. 반면에 [전제]는 앞의 문장을 부정하더라도 [전제]는 살아있습니다.


다시 대통령의 예를 들어봅시다. (이러다가 어디서 마티즈가 오는 거 아닌가 모르겠네요...--;;)

a. 무정부주의자가 대통령을 암살했다.
b. 대통령이 죽었다.

이미 말씀드렸듯이 이 관계는 [함의]입니다. 그럼 이제 문장 a를 부정해 보겠습니다.

a. 무정부주의자가 대통령을 암살하지 않았다.
b. 대통령이 죽었다.

이제 우리가 문장 a를 들었을 때 자연스럽게 문장 b의 내용도 알게 되는 지 봅시다. [무정부주의자가 대통령을 암살하지 않았다]는 말을 들었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바로 대통령이 죽었는지 살았는지 알 수가 없게 됩니다. 대통령이 암살당하지 않았더라도 다른 지병으로 사망했을 수도 있고 멀쩡하게 살아서 오늘도 업무를 보고 있을 수도 있겠습니다. 따라서 이제는 우리가 a를 들었을 때 b를 바로 알 수는 없게 되었습니다. 만약 대통령이 지병으로 사망했다면 누가 우리에게 그것에 대한 추가 정보를 주어야 합니다. [함의]의 관계가 깨져버렸습니다.


[전제]의 경우는 어떻게 될까요?

a. 철수의 형이 방금 서울에서 돌아왔다.
b. 철수는 형이 있다.

자, 이제 문장 a를 부정해 보겠습니다.

a. 철수의 형이 방금 서울에서 돌아오지 않았다.
b. 철수는 형이 있다.

이제 철수의 형이 서울에서 돌아오지 않았으므로 "철수는 형이 있다"는 [전제]가 깨졌나요? 아니, 그렇지 않습니다. 여전히 "철수는 형이 있다"는 전제는 유효합니다. 이렇듯 [전제]의 경우 앞의 문장을 부정하더라도 여전히 해당[전제]는 유효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함의][전제]는 서로 다른 관계임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아무 생각 없이 단순하게 내뱉는 문장 속에서도 이렇게 문자 그대로의 의미와 함께 여러 가지 의미론적인 관계들이 성립되고 전달되는 것입니다. 바로 이것이 인간들이 사용하는 언어의 놀라운 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우리가 말하는 것, 듣는 것 이면에는 이렇게 더 많은 것들이 숨어 있습니다.


사족 퀴즈)
다음의 문장들은 서로 [함의]의 관계일까요? 아니면 [전제]의 관계일까요?

1.
a. 영희는 철수가 담배를 핀다는 것을 알았다.
b. 철수는 담배를 핀다.

2.
a. 콩고민주공화국은 알래스카보다 크다.
b. 알래스카는 콩고민주공화국보다 작다.

3.
a. 선생님은 철수가 시험 시간에 컨닝한 것에 대해서 나무랐다.  
b. 철수는 시험 시간에 컨닝을 했다.

4.
a. 모든 학생들이 시험을 통과했다,
b. 시험을 통과하지 못한 학생은 없다.

5.
a. 철수 아버지는 도박을 다시 시작했다.
b. 철수 아버지는 예전에 도박을 했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oMbI COLa
16/04/06 19:07
수정 아이콘
1. 전제 / 2. 함의 / 3. 함의 / 4. 함의 / 5. 전제....
근데 2번의 경우는 같은 문장인데 이 경우에도 함의라고 말할 수 있나 모르겠네요. 수학의 부분집합 같이 자기 자신도 포함되는건가요?
그리고 항상 생각하는거지만, 왜 교과서의 예제는 쉬운데 연습문제는 난이도가 어려운거죠??????
Neanderthal
16/04/06 21:42
수정 아이콘
한 문제 틀리셨네요...그래도 CoMbI COLa 님을 의미론의 샛별로 인정합니다...(-:
CoMbI COLa
16/04/06 21:47
수정 아이콘
아 3번이 전제가 되겠네요.
선생님이 컨닝을 나무란 것과 별개로 철수의 컨닝 이라는 전제는 살아 있군요.
보잉737
16/04/06 19:37
수정 아이콘
의미화용론 기억이 가물가물 나네요.
Neanderthal
16/04/06 19:49
수정 아이콘
의미론 연구하는학자들 다 망했으면...ㅠㅠ
16/04/06 22:12
수정 아이콘
영어로 entail 한다는 표현이 에 있던데, 이게 함의라는 뜻이었겠네요... 에이어 책 보다가 집어치운 지 삼 년인데, 다시 볼까나....
Neanderthal
16/04/06 22:31
수정 아이콘
영어학 전공이셨군요...음운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중에서 어떤 전공이십니까?...--;;;
16/04/06 23:42
수정 아이콘
흑흑 제가 주제 파악을 못 하고 그 책을 산 것이 실수였습니다 ㅠ
16/04/06 22:12
수정 아이콘
전제는 우연이지만 함의는 필연이죠
Neanderthal
16/04/07 00:12
수정 아이콘
오! 그렇게도 볼 수 있겠네요...
윌모어
16/04/07 00:34
수정 아이콘
윽,, 국문과 전공시험때 봤던 기억이나네요
예전생각이 새록새록 납니다
파핀폐인
16/04/07 04:55
수정 아이콘
저도 모르게 정독하고 마지막에 내주신 사족문제를 열심히 풀어봤네요 크크. 유용하고 재밌는 글 감사합니다.
Neanderthal
16/04/07 08:28
수정 아이콘
의미론을 전공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칼라미티
16/04/07 08:47
수정 아이콘
전함전함전...?
Neanderthal
16/04/07 10:14
수정 아이콘
A+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4556 [일반] 과제 제출 시 이메일 예절이란 무엇일까? [229] 다크나이트22691 16/04/11 22691 2
64555 [일반] 이부프로펜, Cyclooxygenase, 아스피린 이야기 [29] 모모스201319174 16/04/11 19174 9
64554 [일반] 사직서를 두번 내며 그만둘까 합니다. [19] 팔랑스7783 16/04/11 7783 2
64553 [일반] NCT U/박진영/블락비/유성은/히스토리/샘킴의 MV, 슬리피/러블리즈/정은지의 티저 공개. [14] 효연덕후세우실5297 16/04/11 5297 1
64552 [일반] 폐결핵 조심하세요. [19] 세츠나7064 16/04/11 7064 2
64551 [일반] 출사 : 삼국지 촉서 제갈량전 40 (7. 불타오르는 적벽, 뒤흔들리는 형주) [21] 글곰4590 16/04/11 4590 36
64550 [일반] [야구] 2016프로야구 2주차 감상 [44] 이홍기7710 16/04/11 7710 0
64549 [일반] [K팝스타] 결승전이 끝이 났습니다. [18] 공룡7489 16/04/11 7489 3
64548 [일반] [I.O.I] 주간 떡밥들.. [32] Leeka7809 16/04/11 7809 0
64546 [일반] 고기 잘 굽는 남자 [18] Eternity10659 16/04/10 10659 48
64545 [일반] 그리운건 그대인지, 그때인지 [14] 김긍정쌤5167 16/04/10 5167 8
64544 [일반] 인간의 지능과 인공지능의 비교... [49] Neanderthal11537 16/04/10 11537 6
64543 [일반] 남미를 뒤흔든 어떤 전쟁 이야기: 루쏘에서 니체의 여동생까지 [16] santacroce9279 16/04/10 9279 29
64542 [일반] 드라이브나 갈까? [39] 영혼의공원7719 16/04/10 7719 30
64540 [일반] 김성근 감독 이대로 괜찮을까요? [174] 달콤한인생17247 16/04/10 17247 10
64539 [일반] 한달간 세계증시 이야기 - 미국 금리와 영국의 Brexit [6] Elvenblood5753 16/04/10 5753 10
64537 [일반] 가온 월간 스트리밍차트 탑 3 정리 및 이야기 [7] Leeka4803 16/04/10 4803 0
64536 [일반] [4.9] 김치찌개의 오늘의 메이저리그(박병호,이대호 MLB 데뷔 시즌 1호 솔로 홈런) [4] 김치찌개5536 16/04/09 5536 0
64535 [일반] [스포츠] 오승택 부상 소식/프랭크 미어 도핑 양성 반응 소식 [9] The xian6265 16/04/09 6265 0
64534 [일반] [연애가 필요한 시간] 그녀를 놀리지 말아요 [12] Eternity7701 16/04/09 7701 27
64533 [일반] 바운티 호의 반란과 뒷 이야기...문명의 의미 [15] santacroce9173 16/04/09 9173 41
64531 [일반] [NBA] 올해도 험난한 서부컨퍼런스 플레이오프 티켓전쟁 [17] SKY926233 16/04/09 6233 0
64530 [일반] 토요일 오전의 소소한 일상. [7] 라덱6086 16/04/09 6086 1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