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12/24 03:47:39
Name The xian
Subject [일반] 잠 못 이루는 크리스마스 이브의 새벽
작년. 내가 담당하던 프로젝트의 런칭을 전후해 엄청난 크런치(야근 및 철야 등을 일컫는 말) 모드였던 때. 나는 런칭을 전후해 한 번씩, 한 달 걸러 두 번 실신하고 말았다. 그 일이 있고 난 후. 일 년 전 이맘때. 나는 - 이젠 '전 회사'가 되어 버린 - 다니던 회사의 제의에 따라 휴직신청을 했다. 그 동안 내가 담당하던 부분에 참견하지 못해 안달을 냈던 어떤 높으신 양반은 - 심지어 휴직 제의는 회사에서 먼저 했다 - 정당한 휴직신청을 하는데도 앞으로 회사의 미래에 함께 하네 마네 하는 되도 않는 소리로 내 속을 긁었고, 나는 쫓겨나듯 회사 문을 나왔다.

한 달 동안 나는 돈을 못 버는 신세가 되니 고스란히 손해가 되지만, 손해를 보든 말든 그 땐 쉬어야 했다. 정말 지긋지긋했다. 어떻게 봐도 회사 상황에서 내가 크런치 상태에 놓이지 않을 가능성은 없었고, 한 달 걸러 두 번 실신해서 이미 망가진 녀석이 또 크런치를 한다면 어떻게 될까?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 내가 먼저 쉬겠다고 해도 도와주어야 할 의무가 있는 분들께서 심지어 나에게 '먼저' 휴직 제의를 해 놓고 저런 푸대접을 하는데. 저 작자들이 내가 죽는다 한들 눈 하나 깜빡하려나 싶었다.


집에는 그 동안 쓰지 못한 휴가를 쓰기로 했다는 식으로 둘러댔다. 가족들이 걱정할까봐 그런 것이기도 했지만, 생각의 간극을 좁힐 수 없는 문제 때문도 있다. 그래서일까. 혼자가 익숙한 나에게도 일 년 전 오늘. 크리스마스 이브는 정말 지옥 같았다. 거의 10년 동안 고락을 같이했던 사람들과의 관계는 그렇게 서서히, 그리고 돌이킬 수 없이 부서져 가기 시작했고, 가족도 내 편이 되어 주지는 못했다. '마션'의 첫머리에 나오는 말처럼 정말 뭐 된 기분이었다. 당연히 나는 잠을 잘 수 없었다. 회사에 당분간 나가지 않아도 되니 잠을 덜 자든 말든 무슨 상관이냐 하겠지만, 도무지 잘 수가 없었다. 크리스마스를 어떻게 보냈는지조차 기억나지도 않을 만큼, 일 년 전 크리스마스 이브의 새벽부터 시작된 나의 연말 분위기는 정말 엉망이었다.

작년의 그 일이 있은 후, 해가 바뀐 뒤 휴직 기간을 마치고 다시 돌아온 나를 고깝게 보던 높으신 양반은 결국 내가 나온 당일날 무엇이 그리도 급했는지 권고사직을 종용했고, 나도 더 이상 그 양반과 엮이기 싫었다. 이해는 한다. 돈이 없는 상황에서는 가족도 웬수가 되는 법인데 남이야 말로 해서 무엇할까. 그래도 그 보기싫은 양반을 부리고 있는 대표님에게는 아무런 악감정이 없었기 때문에 대표님과 마지막 면담 때에는 원망하지 않으니 괜찮다고 말했고, 다른 사람들에게도 별 소리 하지 않고 줄 거 다 주고 떠났다.

수면 시간을 늘려야 한다고, 늘리고 있다고 말은 하지만, 사실 큰 틀에서 보면 별로 달라진 게 없다. 야근을 하고 들어오든 정시 퇴근하든 나는 여전히 한 번에, 그리고 하루에 다섯 시간 반 이상 자 본 적이 거의 없다. 못 자면 어떻게 되느냐. 멍한 상태로 깨고 좀비처럼 걸어다닌다. 당연히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휴일에도 한 시간 정도 어거지로 낮잠을 자야 그만큼만 더 자는 상태고, 그 다섯 시간 반도 한 번에 잘 자는 날이 손에 꼽힐 정도다. 당연히 좋은 일이 아니다. 잠이 다시 들려면 정말 미칠 지경이다. 그나마 불행 중 다행인 건 지금 겪고 있는 수면장애 상태는 작년에 비해 별 것 아니라서. 다시 잠들기까지 한 시간 걸리던 게 이젠 10분, 20분으로 줄어서 예전보다 잠들기 한결 수월해졌다는 거. (그런데 이걸 다행이라고 해야 하나? 허 참.-_-)


어느덧, 벌써 다시 일 년이 지나 많은 것이 바뀌었지만... 크리스마스 이브의 시작을 맞고 있는 지금도 나는 잠을 제대로 잘 수 없다. 젠장. 내일 출근해야 하는데 말이지. 일 년 전 그 때에는 괜찮다고 말했었는데, 지금까지도 잠을 못 이루는 나날이 많은 걸 보면 사실 별로 괜찮지 않았던 것 같다. 말로는 가는 사람 안 잡고 오는 사람 안 막는다고 하면서 돈이 없어서 그랬겠다 했지만 거의 10년 가까운 인연을 내팽개쳐 버린 그 사람들에게 미련이 남아 있는 것일까. 일년 전 이맘때와 많은 것이 달라졌지만. 크리스마스 이브에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것도. 여전히 한 번에 잘 자기 참 어려운 것도. 변하지 않았다.

각오는 했지만, 지워지지 않는 상처가 깊고 오래 남을 것 같다. 얼마 전 그 곳을 나온 사람에게 듣자하니 나를 내치신 분들은 없는 사람들(당연히 나도 포함되겠지) 씹고 뜯으면서 자기위안하고 계신다더라. 나약하다고? 노력이 부족했어? 젠장. 내가 해 준게 얼만데. 좋을 대로 말하라지. 이젠 다 귀찮다. 그냥 이 글을 다 쓰고 나면 잠이나 잘 수 있었으면 좋겠다.


- The xian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해원맥
15/12/24 04:38
수정 아이콘
잠이라도 푹 주무셨으면 좋겠네요
마티치
15/12/24 05:50
수정 아이콘
잠이라도 푹 주무셨으면 좋겠네요 (2)
그래도 전년도에 건강 안 좋아지셨던거 같아 걱정하던건 조금 나아지신거 같아 다행이네요.
힘내십쇼!
불대가리
15/12/24 07:08
수정 아이콘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DSP.First
15/12/24 10:10
수정 아이콘
제 개인적으로는 수면욕이 최고인것 같아요.
푹 주무시고, 쉬셨으면 좋겠네요.
리니시아
15/12/24 14:54
수정 아이콘
밀린 잠 푹 주무세요... 힘듬이 느껴집니다..
15/12/24 16:34
수정 아이콘
수면부족이 실신도 일으킨다고 하던데 하루라도 푹 주무시길..
동중산
15/12/24 17:40
수정 아이콘
분야는 다르지만 저도 한동안 수면부족에 시달린 적이 있었습니다.
사람이 망가지는 건 금방이더군요.

부디 하루빨리 안정을 되찾으시길...
15/12/25 07:54
수정 아이콘
내년에는 잠도 푹 주무실 수 있고 행복하시길 바랄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2825 [일반] 젊음의 피를 드릴테니 노동개혁으로 답해주세요 [33] 어강됴리7529 15/12/29 7529 10
62824 [일반] [잔인함 주의] 어느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의 이야기 -문신 [21] 저 신경쓰여요7432 15/12/29 7432 38
62823 [일반] 임금피크제..찬성하십니까? [48] 굿리치[alt]7750 15/12/29 7750 0
62822 댓글잠금 [일반] 위안부 문제 협상 - "박근혜 정부 잘했다." [43] 삭제됨8841 15/12/29 8841 0
62821 [일반] 엄마. 나야. 책 나눔 후기입니다. [2] 내장미남2721 15/12/29 2721 4
62820 [일반] 수학은 왜 공부해야 하는가? (중고등학생의 외침) [109] 파란무테13513 15/12/29 13513 3
62819 [일반] 안철수 의원 더불어민주당 당명가지고 조롱 [203] 에버그린14170 15/12/29 14170 1
62817 [일반] 나의 연극이야기3 [24] 정짱5428 15/12/29 5428 7
62815 [일반] 가디언지, 위안부 협상 합의는 일본과 미국의 승리 (기사번역) [51] aurelius10597 15/12/29 10597 16
62814 [일반] 크리스마스에 단합대회로 산에 올라갔다가 사망한 사건입니다. [70] 무한궤도15498 15/12/29 15498 1
62813 [일반] 안 그럴거 같죠? 백프롭니다. [93] 에버그린18942 15/12/29 18942 86
62812 [일반] 이별했네요.. [15] 하루하루7209 15/12/28 7209 0
62811 [일반] [사진 압박] 동물 보호소 이야기. [24] OrBef6456 15/12/29 6456 13
62810 [일반] 헌법재판소의 '한일협정' 사건 판단에 대해서 [32] 이순신정네거리5844 15/12/29 5844 5
62809 [일반]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흥행 수입을 올린 공룡 영화 Top10 [4] 김치찌개4517 15/12/29 4517 1
62808 [일반]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연구개발비를 투자하고 있는 기업 Top10 [6] 김치찌개5328 15/12/29 5328 1
62807 [일반] [다양성 영화] 소녀가 또 [6] 양주오4974 15/12/28 4974 2
62806 [일반] 배드민턴... 배드민턴을 (시작해)보자! [19] 별이돌이7664 15/12/28 7664 7
62805 [일반] 2015 올해의 말 [29] 어강됴리7830 15/12/28 7830 4
62804 [일반]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Top10 [4] 김치찌개4987 15/12/28 4987 1
62803 [일반] 동네형님 재능기부 후기 - 참고 해야 하는데 [9] 불타는밀밭4679 15/12/28 4679 2
62802 [일반] nice, ill, alive, utter 가운데 가장 형용사다운 형용사는? [19] Neanderthal5605 15/12/28 5605 2
62801 [일반] [K리그] 클래식 개막전이 벌써부터 기다려집니다. [43] 흐흐흐흐흐흐5096 15/12/28 509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