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12/10 08:21:03
Name Neanderthal
Subject [일반] 음...now와 there가 부사가 아니라 전치사였군요...
한 영어통사론 책을 읽다보니 저자가 우리가 흔히 시간, 그리고 장소의 부사로 알고 있는 now와 there가 엄밀하게 분석해 보면 부사라기보다는 전치사로 분류를 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주장하는 내용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생각해보지 못했던 건데 나름 흥미(?)로위서 이곳 피지알에도 올려봅니다.


일반 부사들은 다른 부사들(very, extremely)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1) She repaired the car [very expertly].
(2) He drives his car [extremely slowly].


하지만 now와 there 그리고 전치사들은 다른 부사의 수식을 받지 못한다.

(3) They live [very there]. (X)
(4) He won’t leave [extremely now]. (X)
(5) They live [very on the border]. (X)


일반 부사들은 enough가 뒤에 올 수 있다.

(6) She repaired the car [expertly enough].
(7) He drives his car [slowly enough].


하지만 now와 there 그리고 전치사들은 enough가 뒤에 오지 못한다.

(8) They live [there enough]. (X)
(9) He won’t leave [now enough]. (X)
(10) The toilet is [by the elevator enough]. (X)


일반 부사들은 right의 수식을 받지 못한다.

(11) She repaired the car [right expertly]. (X)
(12) He drives his car [right slowly]. (X)


하지만 now와 there 그리고 전치사들은 right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13) They live [right there].
(14) He won’t leave [right now].
(15) We should leave [right at this moment].


일반 부사들은 형용사를 수식할 수 있다.

(16) Pauline was [reasonably happy].
(17) I was [extremely nervous].


하지만 now나 there 그리고 전치사들은 형용사를 수식할 수 없다.

(18) Pauline was [there happy]. (X)
(19) Pauline was [now happy]. (X)
(20) Pauline was [at this moment happy]. (X)


일반 부사들은 명사구 뒤에서 명사구를 수식할 수 없다.

(21) [The people expertly] are very cheerful. (X)
(22) [The issue slowly] is what to do next. (X)


하지만 now와 there 그리고 전치사들은 뒤에서 명사구를 수식할 수 있다.

(23) [The people there] are very cheerful.
(24) [The issue now] is what to do next.
(25) [The issue on the agenda] is very important.


일반 부사들은 연결동사(대표적으로 be 동사) 뒤에 올 수 없다.

(26) The park [is expertly]. (X)
(27) The time to leave [is slowly]. (X)


하지만 now와 there 그리고 전치사들은 연결동사 뒤에 올 수 있다.

(28) The park [is there].
(29) The time to leave [is now].
(30) The park [is in the center].


now나 there 그리고 전치사들은 다른 전치사들 뒤에 올 수 있지만 일반 부사들은 전치사 뒤에 올 수 없다.

(31) He may have come back [by now].
(32) This box is [from there].
(33) This box is [from under the cupboard].
(34) The movie begins [in about five minutes].

(35) [From expertly] he devised the plan. (X)
(36) [In slowly] he drives. (X)


이상의 분포적 성질들을 봤을 때 now와 there는 부사가 아니라 전치사로 봐야 하며 전치사들 가운데서도 명사구를 보충어로 갖지 않는(뒤에 명사구가 오지 않는) [자전치사]라고 봐야 한다.

출처: [English Syntax and Argumentation] by Bas Aarts


저도 이제까지 이런 생각을 안 해봤는데 위의 설명을 따라가다 보면 진짜 now와 there가 부사가 아니라 전치사로 분류돼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금만나러갑니다
15/12/10 08:38
수정 아이콘
전 진짜 전치사라는 줄 알고.....there은 대명사로 생각했는데 부사로 분류되어 있다라구요
15/12/10 08:43
수정 아이콘
신택스 공부하다보면 신기한거 정말많고 새로운 개념도 많이 등장하는데 결국 영어교사로서 현장으로 돌아가면 끽해봐야 스튜던트 그래마 이상의 수준의 논의나 개념은 안쓰이는 것같아요 저 주장도 실제 현장메 반영되기엔 너무 심도있는 논의이고.... 마치 문법설명할때 트리를 그리는 듯한 느낌이랄까 크크 읽어보셨을 수도 있지만 트랜스포메이셔널 그래마랑 신택스 이 빨간책도 읽어보시고 뒤에 있는 연습문제 같은거 풀어보심 뇌가 이렇게 인수분해가 되는구나 와 같은 멘붕경험 가능할겁니다 (래드포드 후....)
Neanderthal
15/12/10 14:41
수정 아이콘
저건 학문적 영역이라 교육현장에서의 적용과는 별개의 문제이겠지요. 저런 걸 굳이 가르칠 필요도 없겠고요. 단 학문적 영역에서 어느 정도 정리된 내용을 수준에 맞게 업데이트 시킬 필요는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The Essay
15/12/10 18:14
수정 아이콘
동감입니다!
15/12/10 09:06
수정 아이콘
저는 네덜란드님이 도대체 뭐 하시는 분이시길래 이렇게 박식하신 동시에 글을 꾸준히 올리실 시간이 나시는 지 정말로 궁금합니다. 교직에 계신 것은 대충 알고 있습니다만...

하여튼 네덜란드님 사.... 좋아합니다!
SuiteMan
15/12/10 09:06
수정 아이콘
예외 케이스가 많은 단어 정도로 분류하는걸로..
이치죠 호타루
15/12/10 09:17
수정 아이콘
영어 자체가 워낙 이것저것 섞인 잡탕언어라서 문법이 막장이 되어 생긴 파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15/12/10 09:34
수정 아이콘
와 네덜란드님이 내가 갖고 있는 책을 보셨어!
공부하면서 즐겁게 본 몇 안되는 원서 중 하나인데 말씀하신 부분의 명명법 또한 신선했습니다. 자동사/ 타동사의 분류기준을 전치사에 들이대서 이름을 지을 줄은 상상도 못해봤거든요.
기존의 영문법 지식과는 다른 분류가 등장해서 당황했던게 또 있는데 바로 구와 절의 구분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구는 미국갔단 말이야! 뭐어? 미국이 아니라 천국이겠지! " 하는 느낌으로 말이죠 크크 주어랑 finite predicator가 있어야 절인 줄로만 알았는데 그게 아니어도 절이라니.. 대신 이름은 다르게 small clause...? 눈 밑에 찍은 점도 아니고 이게 뭡니까 엉엉엉 하면서 배운 기억이 나네요.
좋은 글, 오늘도 감사합니다.
Neanderthal
15/12/10 13:16
수정 아이콘
좋은 책인 것 같아요. 음성학 책에 비하면...ㅠㅠ
15/12/10 20:49
수정 아이콘
안 그래도 음성학에 대해 조금 적었다가 지웠는데 헣 앰비실라빅이라는 개념을 배우고 나서야 이 놈의 학문은 모든 룰을 알아도 강세를 찾을 수는 없구나 라는걸 알게 되었죠. 그냥 현상을 설명하는 학문이었을 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습니다. 처음 접했을 때 가졌던 모든 현상에 대한 규칙 적용에 대한 환상이 깨지니 왜 서문이나 챕터의 인트로에서 데피니션이 그 따구였는지 알게 되었고 무척이나 실망하였...ㅠㅠ
이빠센커이페
15/12/10 14:45
수정 아이콘
전치사+명사 가 부사구를 형성하는 것 아닌가요....? 아무튼 흥미로운 관점이네요.
Neanderthal
15/12/10 15:42
수정 아이콘
통사론을 보면 핵어(Head)가 무엇이냐에 따라서 구의 종류를 결정하더군요. [전치사 + 명사구]인 경우 핵어는 전치사가 되고 명사구는 핵어가 하위범주화한 보충어가 되므로 결론적으로 전치사구라고 분류하는 것 같습니다. 위의 경우 저자는 there나 now는 전치사구 가운데서도 보충어 없이 핵어만 존재하는 전치사(구)라는 입장이고요...
이빠센커이페
15/12/10 15:49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저는 의미적으로 생각했거든요. 답변 감사합니다.
Philologist
15/12/10 16:42
수정 아이콘
재미있네요. 근데 Aarts의 주장이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쉽게 수긍이 가지도 않구요. 일단 자전치사란 용어 자체가 직관성이 매우 떨어집니다. 전치사라면 무언가의 앞에 와야 되는데, 무언가가 없는 전치사라니.. 뭐 pro라도 설정을 했나요.

그런데 위에 제시된 자료들을 보니 좀 aggressive하게 제시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일단 there와 now가 부사라는 단일 범주에 속한다.라는 가정으로 분포상 틀림없이 명사로 봐야 할 것들도 모두 부사로 보고 있습니다. 범언어적으로 볼 때, 시공간적 orientation을 가진 요소들은 부사로도, 명사로도 사용되는 일이 흔합니다(한국어만 하더라도). 위에서 제시한 예 중에서 now와 there가 보이는 일부 분포는 명사의 분포로 봐야 되고,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인 정도부사와는 분포를 달리할 수 있게 됩니다. 같은 이유에서 전치사구도 시공간적 orientation을 보일 경우 명사처럼 행동이 가능합니다. 아래쪽에 제시된 많은 예들은 이렇게 설명이 될 수 있습니다(16번 아래 예문들).
위에 나와 있는 분포 차이(15번 위 예문들)는 의미를 이용하여 설명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정도를 가지지 않는 요소인 now, there와 같은 단어에 정도부사로 수식을 하려 하면 의미상 충돌이 일어나게 됩니다. 저건 분포 때문에 비문이 되었다기보다는 의미 때문에 비문이 되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당장 저기서 예문으로 든 very나 too 등도 부사임에도 불구하고 extremely나 very로 수식이 불가능합니다. 이들은 정도부산데, 의미상 정도부사가 정도부사를 수식하는 게 그럴듯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냥 위의 저 문제는 now가 가지는 다의성(여기서는 여러 개의 품사를 가지는 것도 포함입니다)을 인정했어야 할 문제입니다. 일원적으로 해결하더라도 차라리 syntactic rule을 이용했어야지 새로운 범주를 만들어낸 것은 무리수였다고 생각합니다.
Neanderthal
15/12/10 17:10
수정 아이콘
본문의 예문들은 책 그대로는 아니고 제가 만든 것들도 있어서 저자의 본뜻이 왜곡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저도 모르게 Aarts 교수에게 누를 끼칠 수도 있을 것 같아서 미리 밝혀둡니다...--;;;
Philologist
15/12/10 17:18
수정 아이콘
그 부분을 읽어보고 왔는데, 개론서라 그런지 네덜란드님이 적어주신 대로만 적혀 있네요. 그런데 intransitive preposition에 대한 논의의 역사는 그보다는 조금 오래된 것 같네요. 기존에 있는 범주에다가 집어 넣은 것이면 기술의 경제성 혹은 자의성에 대한 제 비판은 철회해야 하겠습니다. 겸사겸사 intransitive preposition에 대해 한 번 확인해 봐야겠네요. 재밌는 내용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Neanderthal
15/12/10 17:34
수정 아이콘
나중에 보시게 되면 저한테도 의견을 좀 알려주세요...^^
Philologist
15/12/10 18:11
수정 아이콘
그 챕터만 후루루룩 읽었습니다. 앞부분에 intransitive preposition을 설정하는 내용이 나오고 나서 저 내용이 나오네요. 기존에 '첨사(particle)'이라고 불리던 요소를 자전치사로 분류를 하고, 그 다음 장에서 시간부사류 일부를 자전치사적 성격을 띄는 것이다. 라고 결론을 내린 것이군요.

뭐, 제가 이쪽 전공은 아니라서 말하긴 어렵지만 Aarts 교수처럼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엄밀히 이야기하면 Aarts 교수의 독창적 의견이라기보다는 다른 언어학자의 견해를 Aarts 교수가 받아들인 것으로 봐야 하지만). 눈앞에 보이는 사실은 명백하니까요. 분포가 동일하다. 이와 같은 분석에 있어서는 가지고 있는 전제의 차이도 한 몫을 하는 것 같습니다. 언어학을 지배하고 있는 '경제성(economy)'이라는 개념은 구조주의와 생성문법에서 매우 중시됩니다. 그런 관점에서는 어떻게든 범주를 줄이고 유사한 것들을 한데 묶는 것이 큰 몫을 합니다. 범주가 줄어들면 기술이 그만큼 간단해지고, 이론이 선명해지니까요. 어차피 이쪽 사람들에게 있어 언어학적 지식은 tacit knowledge이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화자가 인식하는 지식과의 괴리는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근데 전 그냥 시공간 관련 어휘가 명사로부터 부사로 발달해 나가면서 생기게 된 다의적 속성이라고 보고 싶습니다. 어차피 자전치사라는 범주에 속한 요소들의 분포가 명사의 분포의 부분집합이기도 하니까요.
Neanderthal
15/12/10 18:26
수정 아이콘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김정석
15/12/10 20:04
수정 아이콘
이 분 닉네임 네안데르탈 아닌가요?
왜 네덜란드라고 하죠?
네덜란드에 사시남
Helix Fossil
15/12/10 23:48
수정 아이콘
어떤분이 저렇게 읽으신후로 익스큐즈되어 저렇게 불리우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2542 [일반] COP21 "파리 협정" 타결 [19] 김피곤씨8004 15/12/14 8004 0
62541 [일반] 스베누 여러가지 근황 [92] 삭제됨24483 15/12/14 24483 0
62540 [일반] [스압/데이터] 말랑의 오브디이어 [1] 말랑7079 15/12/14 7079 0
62539 [일반] [잡담] 술.이.나.먹.자. [32] 언뜻 유재석6899 15/12/14 6899 8
62538 [일반] 솔라/윤미래/신지x앤씨아의 MV와 젤리피쉬 시즌송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6] 효연덕후세우실5298 15/12/14 5298 0
62537 [일반] 제가 가입했던 요근래 적금 상품 [16] style11103 15/12/13 11103 5
62536 [일반] 구자형의 '글을 듣다' 스페셜 "어떤 사람의 사진 - 강주룡 BY 정록" [12] 북텔러리스트4922 15/12/13 4922 22
62535 [일반] 안철수 탈당에 대한 주승용 前최고위원의 반응 [82] SkyClouD14315 15/12/13 14315 4
62534 [일반] "반국가단체 성화신국"(대법원 1956.6.29. 선고 4289형상60 판결) [6] 카우카우파이넌스5445 15/12/13 5445 0
62533 [일반] 내 생애 첫 대출 도전기...그리고 내가 진상인건가?? [66] kogang200111457 15/12/13 11457 1
62532 [일반] 기독교가 유럽전역에 퍼지기까지 꽤 시간이 걸렸군요 [5] aurelius6384 15/12/13 6384 3
62531 [일반] 비치(Bitch)론 [33] Eternity10225 15/12/13 10225 53
62530 [일반] 문재인과 안철수의 헤어짐을 바라보며 [63] 마빠이12062 15/12/13 12062 2
62529 [일반] 안철수 탈당 [410] 어강됴리31404 15/12/13 31404 23
62527 [일반] [UFC 194] 올 아메리칸이 무너졌습니다. 그리고 스카페이스도 무너졌습니다. [43] The xian10742 15/12/13 10742 2
62526 [일반] 최근 3명의 대통령을 통해서 보는 새정치의 실현 [33] kien10062 15/12/13 10062 0
62524 [일반] 많이 접해보셨겠지만, 분당 학원 건물 화재 관련 기사입니다. [30] 맥주귀신9020 15/12/13 9020 24
62523 [일반] 문재인과 안철수와 언론의 왜곡조작보도 [109] 가는세월15192 15/12/13 15192 4
62522 [일반] 공개석상에서 망신을 당하다닠... [40] DogSound-_-*11758 15/12/13 11758 5
62521 [일반] [해축] UEFA 유로 2016 24강 조편성 [9] SKY925557 15/12/13 5557 0
62520 [일반] 안떳지만 좋게 생각했던 올해의 걸그룹 노래들 [33] 좋아요8842 15/12/13 8842 2
62519 [일반] 오늘의 일기 20151212 [3] 새님4318 15/12/13 4318 3
62518 [일반]  [스포주의] WWE TLC 2015 최종 확정 대진표 [20] SHIELD5728 15/12/13 572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