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12/04 17:49:17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고대 로마의 유산 중 가장 위대한 것?
공화국, Republic

RES PUBLICA의 개념이 아닌가 합니다.

RES = Thing, 것

PUBLICA = Public, 공공의

이를 영어로 번역하면 Commonwealth가 되죠.

로마인들은 자기들의 국가를 지칭할 때 RES PUBLICA라고 했는데, 이는 사실 어떻게 보면 상당히 생소한 개념입니다.

당대 다른 나라들과 달리 국가를 개인이나 씨족을 초월하여 시민들 모두의 것이라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죠.

기원전 사회는 대부분 눈으로 또는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무언가, 즉 그것이 혈통이든, 왕이든 또는 전통이든 이런 것으로 사회를 지탱했었는데

로마인들은 국가라는 개념을 <추상화>시켰습니다.

즉, 로마는 어떤 가문이나 개인의 소유, 또는 먼 옛날로부터 내려오는 전통이 아니라 하나의 <개념>이었던 셈이죠.

그렇기 때문에 가뭄이 발생하면 귀족들의 집에 흐르는 물을 제일 먼저 잠구고, 그 다음에 공공목욕탕의 물을 끊었으며, 시민들의 물은 마지막으로 끊었던 것이죠.

그리고 이미 그 당시에도 로마인들은 스스로 <사람이 아닌 법의 지배를 받는다>라며 자부심을 가졌다고 합니다.

국가라는 개념을 추상화시키고, 이를 공동의 것이라고 명명한 것은 분명 큰 의의가 있다고 봅니다.

물론 당대의 공화정 개념과 민주주의는 현대의 그것과 매우 다르지만, 이들의 개념은 후일 근대 민주주의자들에게 영감을 주고 이들이 우리가 알고 있는 민주정을 탄생시켰기 때문입니다.

성에 울타리를 친 것을 형상화시킨 나라 국 "國"이라는 개념
또는 한 왕조를 나타내는 <종묘사직>과는 대비되는 개념입니다.

로마의 수많은 유산들 중에서도 이것이 가장 중요한 유산이 아닌가 싶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티레브
15/12/04 19:14
수정 아이콘
현실을 뒤로 하고 유산이 되버린 후에는 숭고하고 찬란한 사상이 되었어요
가장자리
15/12/04 19:44
수정 아이콘
피쟐의 정체성에 맞게 수세식 화장실 생각하고 들어왔는데....
이런 글 좋아요, 흐흐
카시우스.
15/12/04 23:42
수정 아이콘
그리스에도 이런 개념이 있지않았나요? 시기로만 따지면 그리스가 더 먼저 아닌지..
aurelius
15/12/04 23:47
수정 아이콘
그리스의 국가는 Polis, 또는 Politeia인데 이것도 매우 의미심장하죠. 뜻을 풀이하면 <시민의 권리를 행사하다> 정도입니다. 하지만 세계사적 중요성을 생각하면 역사 거대제국을 이룩한 로마가 더 우위에 있기 때문에... 로마는 제국이 되었어도 멸망할 때까지 Res Publica라는 허울 또는 개념은 끝까지 가져가려고 했기 때문에... 그리고 그래서 다행히 그런 개념들이 후대에도 전승될 수 있었죠.
절름발이이리
15/12/05 01:46
수정 아이콘
사실 어떠한 '개념'이 실제로 얼마나 후세에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서는 다소 회의적인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만, 어쨌건 좋아하는 얘기기도 합니다. 흥미롭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2423 [일반] [야구] kt 위즈 장성호 은퇴 [33] 지니팅커벨여행7841 15/12/07 7841 1
62422 [일반] 독일인 친구가 전하는 독일 정치 상황 [28] aurelius10352 15/12/07 10352 3
62420 [일반] 뜬금없이 1등석에 타 봤던 이야기 [36] Rorschach15590 15/12/07 15590 5
62418 [일반] 뭔가 이상하다, 뭔가 이상해 [86] 수면왕 김수면12139 15/12/07 12139 1
62417 [일반] 부패와 사회주의 포퓰리즘으로 인해 벼랑끝에 선 나라 [87] 밴가드13533 15/12/07 13533 5
62416 [일반] 남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겠어요! (경계선에 대해) [21] 파란무테9584 15/12/07 9584 11
62415 [일반] EXID, 한 해 3연속 공중파 1위 달성, 역대 6번째 기록 [56] 리콜한방10202 15/12/07 10202 1
62414 [일반] [야구] 박재상. 1+1년 총액 5억 5천만원 잔류. [25] The xian7767 15/12/07 7767 1
62413 [일반] [야구] 원정도박혐의 오승환 곧 소환조사 [16] 이홍기8502 15/12/07 8502 1
62412 [일반] 프랑스 극우정당 국민전선의 비약적인 승리.gisa [30] aurelius8886 15/12/07 8886 0
62411 [일반] 시리아 난민들, 캐나다행을 거부하다. [19] 달과별10605 15/12/07 10605 1
62410 [일반] 세븐틴x에일리/지코/러블리즈/인피니트의 MV와 윤하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9] 효연덕후세우실5046 15/12/07 5046 0
62409 [일반] 조선 왕조의 영의정, 조준에 대한 이모저모 [29] 신불해13605 15/12/07 13605 106
62408 [일반] 일본발 랜섬웨어 조심하세요 [51] 인간흑인대머리남캐21604 15/12/06 21604 1
62407 [일반] 쓰레기 스펙남의 유쾌발랄한 인생사 -1- [8] 가브라멜렉9495 15/12/06 9495 12
62406 [일반] 10년, 20년 전의 장르소설들과 요즘 장르소설들은 왜 다른가? [65] 큐브10655 15/12/06 10655 9
62405 [일반] 보이저 1호는 과연 태양계를 벗어났나?... [36] Neanderthal11765 15/12/06 11765 34
62404 [일반] 김어준이 또 슬슬 카더라 시동거나요? [89] 삭제됨17772 15/12/06 17772 4
62402 [일반] 안철수 기자 회견 발표 내용과 평가 [470] kien25367 15/12/06 25367 4
62401 [일반] 냉장고를부탁해 "미카엘"출연료 가압류 [55] 여덟글자가뭐가짧17765 15/12/06 17765 0
62399 [일반] [KBO] SK, FA 정상호 보상선수로 LG 최승준 지명. [41] SKY928407 15/12/06 8407 0
62398 [일반] 예전에 썼던 '로스쿨 다니며 느낀 점' [5] 일모도원12407 15/12/06 12407 20
62397 [일반] 한 학생으로서 법무부 '사시 폐지 유예'에 대한 소견 [79] 임팬더굿12170 15/12/06 12170 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