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11/28 05:45:49
Name OrBef
Subject [일반] 영화알못이지만 이 영화들이 위대한 영화라는 것은 의심할 수 없습니다.
글의 업로드 시점과 제목이 좀 이상하긴 한데, 절대로 이번 천하제2 키배대회 참가 글 아닙니다.

저는 영화에 대해서 조예가 깊은 사람이 아닙니다. 대학생 시절에는 칸 영화제 수상작들도 좀 찾아보고 독립영화 비디오 확보한 비디오방 있다고 하면 멀리 찾아가서라도 보고 (당시에는 인터넷이 없었기 때문에 정말로 발품을 팔아야 했는데) 그랬었는데, 그런 고통의 시절을 몇 년 겪고 나서 내린 결론은,

'이런 영화가 맞는 사람들은 따로 있다. 난 포기'

였습니다.

해서 영화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도 포기하고, 해당 감독의 필모그래피를 알아야만 논할 수 있는 이야기도 포기하고, 그냥 제가 좋아했던 영화 몇 편 얘기나 할까 합니다.

1. (1992) Bruce Campbell vs the Army of Darkness "사람이 팔이 잘리고 저주를 받고 고문 당하고 몸 속에서 괴물이 태어나지만, 그래도 이 영화는 공포 영화가 아닙니다"

지금도 가끔 고민 많은 날 밤에 혼자 술 마시면서 틀어보는 영화입니다. 전형적인 공포영화로 시작했던 Evil dead 1, 공포 코미디였던 Evil dead 2 를 거쳐서 완전한 개그물이 되어버린 Evil dead 3 입니다. 위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심도있는 분석을 할 깜냥은 안되고, 뭐랄까 영화 전체에서 느껴지는

'우히히히 낄낄낄낄'
'이런 장면 넣으면, 많이 웃기겠지? 낄낄낄'
'너희들이 정말로 보고 싶은 장면은 이런 거잖아? 크크크크'

의 B 급 센스가 시대를 초월하는 명작을 낳은 것 아닌가 싶습니다.

2. (1975) Monty Python and the Holy Grail "다른 영화들이 B 급 센스를 활용했을 지 모르지만, 나는 B 급 센스를 인류에게 가르쳐주었지."


[아서: 네놈 팔을 떨어뜨렸으니 내 승리다]
[흑기사: 그냥 긁힌 거야]
[아서: 저기 떨어져있는 건 그럼 뭐냐]
[흑기사: 난 원래 팔이 없었어. 덤벼라 겁쟁이!]

B 급 센스에는 여러가지 정의가 있을 수 있지만, 그 중 하나가 '어이없을 정도로 싸구려임' 이라는 느낌이죠. 근데 이게 수위 조절이 정말로 중요한 지라, 성공을 위해서 일부러 싸구려 느낌으로 만드는 B 급 영화 (Asylum 영화들이 그렇죠) 들은 보통 끔찍하게 재미없는 결과로 이어지곤 합니다. 근데 그런 수위 조절을 가장 성공적으로 수행한 영화가 B 급 영화의 선구자 중 하나로 알려진 1975년작  '몬티 파이썬과 성배' 라는 것은 참 대단합니다. 이 영화는 처음부터 끝까지 앞뒤가 전혀 맞지 않고, 개연성이라고는 제비 눈물만큼도 없으며, 앞뒤가 맞지 않는 수준에서 끝날 줄 알았더니 그 이상으로 괴랄한 엔딩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미칠 듯이 웃기죠. 이 영화에서 제일 유명한 장면은 위에 나오는 흑기사지만, 이 영화가 얼마나 어이없는지를 더 잘 보여주는 영상은 아래에서 보여주는 1분짜리 란슬롯의 돌격 장면이죠.



????? 도대체 뭐 어쩌자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근데 웃기죠. 그래서 이 영화가 위대한 겁니다.

3. (1975) Rocky horror picture show "노노노 B 급 센스를 창조한 것은 니가 아니라 나임."

'몬티 파이썬과 성배' 와 같은 1975년에 나온 이 영화 역시 극단적인 말 안됨, 부조리함, 근데 웃김의 콤보를 보여줍니다. 신혼 여행 중에 자동차가 고장난 부부가 근처의 저택에 전화기를 빌려 쓰려고 들어갔더니 거긴 드라큘라를 닮은 크로스 드레서가 주인인 집이었고 그 집 손님들은 전부 춤 매니아인데 알고보니 주인장은 프랑켄슈타인과 비슷한 인조인간을 만드는 중이었고 그걸 만들었더니 여주인공이 그 괴물과 사랑에 빠지는데 알고보니 그 집 사람들은 외계인이었고 근데.....

이런 이상한 스토리라인을 가진 영화지만, 그런 말도 안되는 스토리라인을 정말 재미있는 뮤지컬로 승화했지요. 노래는 정말 멋지고, 춤은 정말 잘 추며, 주인장은 정말로 매력적입니다. 주인장의 등장 씬 보시죠.



아아 다시봐도 멋집니다. 저런 친구 한 명 있으면 인생이 두 배로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이 영화 역시 인생이 울적하다고 느낄 때 맥주 한 팩과 함께 종종 다시 틀어보는 영화 중 하나입니다.

-----------------

다 쓰고 나니 제 영화 취향은 대체로 B 급이었군요. 저 자신에 대한 새로운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웰메이드 B 급 영화들은 오늘날에도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작 중에서는 Cabin in the woods 가 '종종 다시 틀어보는 영화 목록' 에 추가되었네요. 이 영화 역시 공포라기보다는 자체 패러디성 코미디에 가깝지만, 공포영화를 많이 보지 않은 분들에게는 상당히 끔찍한 공포영화로 보일 수 있기에 영상은 올리지 않겠습니다.  이런 고마운 영화들을 만들어주는 감독님들과 제작사들에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11/28 07:01
수정 아이콘
캐빈인더우즈 저도 재밌게 봤습니다. 공포영화의 대표적인 클리셰들을 이리저리 꼬아서 전개하는게 엄청 웃기더라고요.
15/11/28 07:21
수정 아이콘
이거 진짜 웃기죠. 여주인공이 '난 처녀 아닌데?' 했더니 시고니 위버가 '뭐 가진 걸로 대충 하는 거지' 라고 대답하는 데서 웃다가 쓰러지는 줄 알았습니다.
15/11/28 07:04
수정 아이콘
Orbef님은 분명 blackadder 시리즈도 좋아하실듯...
15/11/28 07:20
수정 아이콘
으음...??? 처음 들어보는 시리즈인데, 말씀 듣고 소개글을 찾아보니 범상치 않군요!!!! 감사합니다 흑흑
마스터충달
15/11/28 07:20
수정 아이콘
이 영화들을 관통하는 단 하나의 단어가 있긴 한데 벌점각이라 쓸 수가 없네요;;;;
15/11/28 07:21
수정 아이콘
하지만 저도 그 단어가 무엇인지 아니까 괜찮습니다?
치맛살
15/11/28 09:06
수정 아이콘
궁금합니다 크크 쪽지라도
Jannaphile
15/11/28 17:39
수정 아이콘
혹시 비읍과 미음이 들어가는 두 글자짜리 단어입니까?
Jace Beleren
15/11/28 21:46
수정 아이콘
댓글 추천 기능이 시급합니다 크크크 보자마자 바로 떠올랐어
Neanderthal
15/11/28 09:11
수정 아이콘
위에서 언급한 영화들과는 좀 다를 수도 있지만 [13일의 금요일]시리즈도 1, 2, 3편 정도는 봐줄만 한데 5편 이상부터는 그냥 코미디 비슷하게 되더군요...패턴이 너무 똑 같아서 "아 저기서 제인슨 나오겠네..." 하면 여지없이 제이슨이 나오고..."쟤 저러다 죽겠는데..." 그러면 여지없이 죽고...제이슨은 귀엽다 못해 안쓰러워 지기까지 하고...공포감은 확 죽고 개그감은 확 사는 영화로 탈바꿈 하더군요...--;;;
15/11/28 09:30
수정 아이콘
사실 제이슨은 방법이 조금 과격할 뿐, 문란한 10 대에게 올바른 성생활을 교육하려고 최선을 다했을 뿐입니다.....
15/11/28 09:12
수정 아이콘
저런 친구 있으면 내 여친, 내 마눌에 의처증을 피할 수가 없을 터라.... 어쩌면 나 자신조차도!
OrBef님 글 늘 잘 보고 있습니다
15/11/28 09:29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마누라는 절대로 소개시켜주면 안 되는 놈이군요!!! 큰일날 뻔 했네요. 감사합니다!!!
노노리리
15/11/28 10:34
수정 아이콘
몬티 파이쏜은 정말 최고입니다...

날도 꾸물꾸물한데 코코넛 껍데기 찾아서 말이라도 타러 가볼까...(먼산)
15/11/28 11:23
수정 아이콘
정말 좋아하던 영화들이네요. 어렸을적 이블데드와 데드얼라이브를 보고 와 이거 뭔가 막 잔인한데 웃기네?
하면서 재미있게 보았던 기억이 나네요 크크
15/11/28 11:46
수정 아이콘
데드 얼라이브는 진짜 어후......... 징그럽죠...

근데 재밌어... 어?????
이걸나진이
15/11/28 14:18
수정 아이콘
Sgt. Hammer
15/11/28 15:06
수정 아이콘
롴키 호러 핔쳐 쇼는 홍록기 선생이 해야 제맛입니다.
Sgt. Hammer
15/11/28 15:06
수정 아이콘
그리고 이블데드는 아무리 그래도 1편이 가장 위대하다능 ㅠㅠ
15/11/28 15:16
수정 아이콘
1편도 위대하고 3편도 위대한데 장르가 다르다능!
우리는 하나의 빛
15/11/28 16:47
수정 아이콘
1, 2, 3 다 봤지만 개인적인 취향으로는 이블데드2가 가장 재미있었습니다. 3는.. 저한테는 별로더라구요. 아, 물론 재미라는 측면에서요.
Sgt. Hammer
15/11/28 16:48
수정 아이콘
이블 데드 시리즈가 독특한게, 호러에서 시작해서 코미디로 끝나죠 크크크
스타로드
15/11/29 11:35
수정 아이콘
캐빈 인 도 우즈 진짜 재밌어요.
제가 거의 유일하게 좋아하는 공포(?)영화입니다.
2편 안나올려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2319 [일반] 화장실로 가라, 아랫배가 말했다. [28] 글곰7677 15/12/01 7677 30
62318 [일반] [K리그] 2013년도 마지막 6라운드 회상 [12] 막강테란4217 15/12/01 4217 1
62317 [일반] 현대 프랑스어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게르만어의 흔적 [17] aurelius8461 15/12/01 8461 2
62316 [일반] 싸이의 MV와 소녀시대 태티서/스타쉽 플래닛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44] 효연덕후세우실9763 15/12/01 9763 0
62315 [일반] 한의학 글을 올렸던 본인입니다. [132] 삭제됨15616 15/12/01 15616 14
62314 [일반] 타인에게 사랑하는 여자를 빼앗긴 사람을 위로하는 글 [8] 면역결핍6489 15/12/01 6489 1
62313 [일반] 삼행시 대회 피자 이벤트 추첨 결과입니다. [18] 원시제7575 15/11/30 7575 8
62310 [일반] [야구] FA 이동만 놓고 보는 2016 시즌 전망, 다들 어떻게 보십니까? [71] 고러쉬9539 15/11/30 9539 0
62309 [일반] [야구] 롯데도 통 큰 투자 했습니다. 관심 좀... [56] 일체유심조10924 15/11/30 10924 0
62308 [일반] 어느 직딩 이야기 (이직 관련) [21] 흰둥7119 15/11/30 7119 0
62307 [일반] [단상] 유럽은 왜 세속화할 수 있었고 이슬람은 못했는가? [27] aurelius8935 15/11/30 8935 2
62306 [일반] 마이 리틀 텔레비전 왕중왕전이 다가오나 봅니다. [40] 샤르미에티미10066 15/11/30 10066 0
62304 [일반] 글 써서 남 주기 대회 수상자 발표 및 정리입니다. [24] OrBef7279 15/11/30 7279 12
62303 [일반] 글쓰기 버튼의 무거움이란 [19] 마스터충달6191 15/11/30 6191 14
62301 [일반] [야구] 한화, FA 정우람 84억-심수창 13억 전격 영입 [201] Igor.G.Ne15329 15/11/30 15329 6
62299 [일반] [야구] NC, 박석민 4년 86억 전격 영입(+옵션 10억, 총 96억) [124] 대치동박선생11212 15/11/30 11212 0
62298 [일반] [야구] 구자욱선수의 2015시즌 기록과 내년시즌에 대한 망상 [18] karalove5507 15/11/30 5507 1
62297 [일반] 글쓰기 버튼의 무거움 2 [15] Jace Beleren4573 15/11/30 4573 8
62295 [일반] [야구] KBO 보류선수명단 공시(임창용 방출) [82] 이홍기10014 15/11/30 10014 0
62294 [일반] 노홍철의 방송재개(tvN)와 복귀 심경 [64] 파란무테11008 15/11/30 11008 1
62293 [일반] 박보람/방탄소년단/백예린/버벌진트의 MV와 팬텀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6] 효연덕후세우실5003 15/11/30 5003 0
62292 [일반] PGR내의 두개의 세력 [61] kien11845 15/11/30 11845 5
62291 [일반] [KBO] 2015 타이어뱅크 KBO 골든글러브 후보 확정 [41] 조교5897 15/11/30 589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