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11/05 19:16:06
Name 표절작곡가
Subject [일반] 클래식 음악가가 듣는 대중가요...
안녕하세요..
제 아이디를 보면 아시다시피 저는 작곡을 전공하고 있습니다.
물론 클래식말이죠...
(설명하기 쉽게 클래식이고,, 말하자면 순수예술음악입니다.)

제목은 거창하게 썼지만,
별거 없습니다..
제가 대중가요를 전부 섭렵한 것도 아니고,
누구 팬이라서 찾아서 들은 것도 아니구요...
(물론 카라 팬이라 카라 노래는 찾아서 듣긴 했습니다??)

여기서 쓰고 싶은 건 제가 서양전통음악을 공부한 입장에서
'대중가요에 이런 것도 있구나...'
정도의 음악을 소개하고자 하는 겁니다...

먼저 전문가들이 음악을 듣는 관점은 조금 다르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넘어가겠습니다.

많은 대중들에게 다가가는 것은 
-가사에 필이 꽂히느냐,
-선율에 필이 꽂히느냐...

그 이상의 것은 물론 전문가의 영역이지요..
반주 음형, 음색의 변화, 화성의 변화, 형식의 변화 등등은
제가 주로 듣는 부분입니다..
또 저에게 특별히 흥미 있는 건 형식인데요..
저는 특히 1절이 끝나고 어떻게 2절로 넘어가느냐
그리고 2절 끝나고 어떻게 종지까지 가느냐 등등이
가장 궁금하고 가장 심도 있게 듣습니다...
(근데 가사는 잘 신경안쓴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ㅡ.,ㅡ)

암튼,
오늘 소개해줄 음악은 이렇습니다...

먼저 음악이론 공부를 좀 할까요??

선율이 연주되는 방법은 4가지가 존재합니다...
뭐가 있을까요??

간단합니다...
혼자서 가느냐 둘 이상 가느냐~~

여기서도 나뉩니다...흐흐

혼자 가기 - Monophony, Homophony.
둘 이상 가기 - Heterophony, Polyphony.

설명을 하자면..

Monophony (Mono = 하나, phony = 음)
- 그냥 단선율 자체를 아무런 반주 없이 연주하는 걸 말합니다.
대중음악이든 어떤 음악이든 딱히 들을 일은 없지만 실생활에서 많이 마주치는 일이기도 합니다...
꼭,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이라등가 등등에서 앞에 세워 놓고 노래 시키잖습니까??
무반주로~~
적용하자면 그 때 상황을 Monophony라고 할 수 있겠죠~~
원시적인 음악형태이기 때문에 각 나라의 민요든 노동요든 Monophony의 형태가
많이 남아있기는 합니다. 
참, 우리나라의 판소리도 Monophony라고 할 수 있겠네요..
(대중가요에선 실례를 찾지 못해 그냥 넘어갑니다~)

Homophony (단성음악)
- 이것도 단선율이 연주된다는 의미는 똑같은데 반드시 합주가 동반되어야합니다..
선율적으로 의미가 있는 성부는 따로 있고, 나머지 성부는 반주 음형을 하고 있어야합니다.
그래서 선율을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선율이 갖추지 못한 화성적, 리듬적 배경을 품고 있어야합니다.
쉽게 말하자면 반주위에 선율을 의미하지요...
지금 듣고 계시는 음악이 무엇입니까??
99% Homophony입니다.
반주위에 노래이든 샘플링 위에 노래이든 이런
Homophony의 정의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
(이건 실례가 너무 많아 그냥 넘어갑니다..흐흐)

자, 다음은 오늘 특별히 설명하고픈 부분입니다.

Polyphony(다성음악)
- 성부가 여러개라는 의미인데,
더 정확히 말하자면,
선율을 하는 성부가 두개 이상이어야 합니다...
하나의 성부가 다른 성부의 "시다바리"가 아닌 둘 다 주인공이 되는 겁니다.
서양음악사에선 16세기 르네상스 시대나 18세기 바로크 시절 극단적인
다성음악이 발달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옛날 가요중에 이런데 거의 근접한 음악이 있어서 소개 드립니다.

이소은의 서방님입니다.


4분 10초 쯤에 코러스가 '서방님 내 서방님'하고 있는 동시에 솔로 가수는 '난 언제라도 그대~~'를 노래하고 있습니다.
제가 들어본 가요 중에선 가장 Polyphony에 근접했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가요에서는 부분적으로 Polyphony의 아이디어를 빌려온 부분은 있긴 하지만 이렇게 긴 부분을 할애해서
독립적으로 쓰인 곡은 처음인것 같습니다.

이런 형태로 쓰여진 가요가 더 있다면 댓글로 소개해주세요~^^

Heterophony
- 한국어로 번역이 딱히 없습니다..
정의를 하자면 모두가 단선율을 연주하지만
개개인의 역량에 따라 즉흥으로 선율을 꾸미거나 해서
원선율에서 잠시 벗어났다가 다시 돌아왔다가 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Polyphony에서는 철저히 화성적 법칙에 맞아 들어가야하는데 반해
이건 그런거 신경 안씁니다...
이것도 원시적인 다성음악 형태라 서양음악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 나라의 음악형태는 Heterophony에서 발전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여초사이트라 잘 모르시겠지만,,,
군대에서 군가를 부를 때
어떤 사람은 높게, 어떤 사람은 낮게 어떤 사람은 제대로 등등
어떤 때는 단선율로 잘가는 듯하다가 높은 나올때는 
올라가는 넘 안올라가는 넘 등등 케바케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의외로 소리가 풍성해지기도 합니다..
이렇게 부르는 군가가 바로 Heterophony현상을 말해줍니다.
아님 애국가 제창할 때라든지~
아님 교회에서 반주 없이 찬송가 부를 때라든지....

제가 들은 가요에서는 이 곡 밖에 보지 못했습니다..
들어보실까요??

패닉의 '그 어릿광대의 세 아들들에 대하여'입니다.


'춤추는 광대는 서럽게 갔어도 마음은 여기 남아 해마다 그날이 되돌아올 때면 우리를 저주하네'
이 후렴부분이 바로 Heterophony입니다...
뭔가 불협화도 섞여있지만 매력적으로 들리는데 뭔가 기괴하기도 하고~~

혹시 다른 곡에도 이런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구요...
전 언제나 필력 좋은 사람이 부러울 따름입니다~~

댓글로 좋은 가수라든가 괜찮은 노래 있으면 소개시켜주세요....^^
표절을 위하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7670 [일반] 저는 당당합니다. [18] 당근매니아4650 13/11/12 4650 8
47669 [일반] 할머니, 안녕히 계세요 다음에 또 올게요.jpg [3] 김치찌개3916 13/11/12 3916 1
47668 [일반] 전 세계에서 가장 막강한 50세 이하 젊은 인물 Top10 [9] 김치찌개4515 13/11/12 4515 0
47667 [일반] 한국인, "비정상적으로 마른체형을 극단적으로 선호" [42] 김치찌개7313 13/11/12 7313 0
47666 [일반] 새누리당을 지지하는 이유, 말하기 싫은 이유. [348] 삭제됨8722 13/11/12 8722 13
47665 [일반] [중독 예방ㆍ관리 및 치료를 위한 법률안(일명 신의진법)]의 문제점과 근거자료의 오류, 그리고 제 의견 [25] 클리스4902 13/11/12 4902 1
47664 [일반] 한국의 조직문화, 회식문화에 환멸을 느낍니다. [64] 송파사랑11315 13/11/12 11315 4
47663 [일반] 계속되는 연예계 사건사고는 정말 정치계 가리기인가? [147] 김신욱8783 13/11/12 8783 2
47662 [일반] 응답하라 2002 [32] Duvet7615 13/11/12 7615 0
47661 [일반] 현 여당의 수준을 보여주는 작품. "환생경제" [50] 곰주5457 13/11/12 5457 2
47660 [일반] 대학가에도 피바람(?)이 불어 닥치나? [39] Neandertal8356 13/11/12 8356 2
47659 [일반] 잤냐 [45] 삭제됨7314 13/11/12 7314 0
47658 [일반] 응사를 보다가 되돌아보는 1994년.. [87] OrBef9193 13/11/12 9193 1
47657 [일반] 오늘까지 프로야구 fa 썰 정리. [112] 일체유심조9694 13/11/12 9694 0
47656 [일반] (연재) 14살차이 여고딩 얘기 11 [43] AraTa_Higgs8492 13/11/12 8492 4
47655 [일반] 이번 분기 애니메이션 노래중에 가장 귀에 들어오는 곡 [5] 투투피치4611 13/11/12 4611 0
47654 [일반] 11월 1주차 스맛폰 판매량 Top10 [64] B와D사이의C7981 13/11/11 7981 1
47653 [일반] 영국 출신 듣보잡 가수 제임스 블런트 [16] Neandertal9229 13/11/11 9229 1
47652 [일반] 난, 오늘도 여전히 행복하고 설레는 내일을 기다린다.Jpg [3] 김치찌개3496 13/11/11 3496 3
47651 [일반] 싸이월드에서 샀던 국내 노래 10곡이요. [12] 4278 13/11/11 4278 0
47649 [일반] 피지알에 어울리는 글(下) [16] 습격왕라인갱킹3546 13/11/11 3546 1
47648 [일반] PGR에 어울리는 저의 이야기 [34] 세상의빛3878 13/11/11 3878 9
47646 [일반] 피지알에 어울리는 글(上) [5] 습격왕라인갱킹4048 13/11/11 404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