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10/11 20:11:10
Name 요정 칼괴기
Subject [일반] 비스마르크의 외교에 대해

-비스마르크의 외교의 목적은 프랑스를 빼고 유럽 열강 모두와 친구가 되는 것-

지금의 대문제는 언론이나 다수결에 의해서가 아니라 오로지 철과 피(血), 곧 병기(兵器)와 병력에 의해서만 해결할 수 있다

란 유명한 연설문으로 유명했지만 정작 스스로는 감수성쩔고 섬세하기 이를 데 없는 한 정치가가 초래한 사태에 대해
약간 말해 보겠습니다.

1차 대전에 대해 연재하면 알게 된건 독일이 어떻게 19세기 후반에 만들어놓은 외교적 우세를 한 바보가 망쳐 버렸는지에
대해서 였습니다.

비스마르크는 엄청한 천재성으로 독일 역사에서 유래 없는 최고의 외교적 상태를 만들어 놓은 채로 카이저 빌헬름 2세에게
물려 주었습니다만... 이 바보가 완전히 모든 걸 망쳐 버렸죠. 심지어 독일 외무성 전체가 비스마르크가 짜놓은 유럽 질서를
이해하지 못해 카이저의 망상에 휘둘려 1910년만 해도 상상도 못할 영국-러시아 동맹 체제를 1914년에 이룩하는 공을 세우게
됩니다.

비스마르크의 목표는 최대한 신생 독일 제국의 적을 줄이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유럽에는 많은 게임 참가자가 당시에
존재 했습니다.

일단 양대 축은 영국-러시아 였습니다. 이둘은 막으려는 자와 막고자 하는 자였기 때문에 융합할 수 없는 입장이었습니다.
신생 독일 제국 입장에서 양쪽 한쪽의 편에 서는 건 둘다 리스크가 컸습니다. 일단 만약 러시아 편을 선다면 당장
영국은 독일을 견재하며 바다쪽에서 봉쇄할게 뻔했고 영국의 편을 든다면 러시아가 독일을 동프로이센 국경에서
압박할게 뻔했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파생하는 몇몇 행위자- 영국은 이탈리아와 가까웠고 러시아는 발칸 반도의 슬라브계 그리고 그리스와
가까웠기 때문에 더 큰 문제를 발생시킬 터였습니다.

여기에 더해 프랑스는 절대 보불전쟁의 원한 때문에 독일 편이 되지 않을 터이니 프랑스-러시아 동맹만은 반드시
막아했습니다. 만약 프랑스-러시아가 동맹을 맺는다면 양면에서 독일을 압박할터였으니 말이죠. 하지만 프랑스와
러시아는 이시기 가까워지기 시작했고 이는 독일 입장에서 막아야 했습니다.

이 때문에 독일은 일단 러시아와 비밀 협상을 맺습니다. 이를 위해 오스트리아를 끌어 들이는데 이를 통해 삼제 동맹을
맺으면서 러시아의 내부문제가 발생하면 보수주의 동맹으로 도와주기로 하고 오스만 투르크의 일부를 먹어도 괘념치
않겠다는 의미었습니다. 오스트리아도 오스만 영토에 흥미가 많았거든요.
이래서 일단 독일-러시아 동맹이 달성됩니다.

문제는 이렇게 되면 러시아와 사이 나쁜 영국과 오스트리아와 사이 나쁜 이탈리아 때문에 영국과 척을 질 가능성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일단 이탈리아를 자신의 편으로 끌어 들입니다. 여전히 이탈리아는 갖 통일한 이후 국내 문제에서 공화파의 위협을
받고 있었고 거기에 공기 같은 존재감을 독일이 회복시켜 준다는 약조를 하여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의 3국 동맹을
만들어 내죠. 경제적으로 영국의 영향을 받고 있었지만 열강으로 대우해준다는 독일의 약속에 솔깃한 이탈리아는 독일에
손을 들어 줍니다.

여기에 영국은 식민지 사업에서 독일이 소극적으로 대하는 반면 프랑스와 계속된 충돌 관계에 있었습니다.
비스마르크는 여기에 더욱 확실히 독일은 식민지를 만들지 않는 대신 영국이 프랑스와 싸우면 영국편을 들어준다는
약속 하여 영국을 독일 편으로 끌어 들이죠.

이렇게 1880년대 당대에 말도 안되는 영-독-러라는 외교적 축이 형성되었습니다.
프랑스는 유럽 외교에서 완전히 고립되었고 독일은 엄청나게 외교적으로 유리하게 되었습니다.
문제는 독일 외무성 조차 이런 조약을 재대로 이해하는 인간이 없었다는 거 그리고 대부분 비밀 외교인지라
좀만 잘못 대처하면 독일이 쌓은 성과가 와르륵 무너진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문제는 1890년 이후 비스마르크가 실각하면서 부터 입니다. 일단 카이저 빌헬름은 식민지 팽창 정책과 해군 증강으로
영국의 불신을 샀습니다. 영국은 이렇게 떨어져 나갑니다. 대신 영국과 프랑스가 급격히 가까워지죠.
영국과 금이 가자 영국에 경제적으로 의존하는 이탈리아와도 금이 갑니다. 거기에 카이저가 오스트리아에 너무
가깝게 접근하자 이탈리아는 오스트리아와 사이가 안좋았기에 점차 3국 동맹에서 벗어나기 시작합니다.

러시아라도 잡았어야 하는데 계속된 카이저의 뻥카와 일관성 없는 외교적 행태 때문에 러시아는 점차 멀어지기 시작합니다.
여기에 더해 러시아의 최대 투자자는 프랑스 였습니다. 프랑스가 보다 확실한 정치 경제적 약속을 하자 러시아는 바로
프랑스와 군사 동맹을 맺어 버립니다. 이에 독일은 러시아와 사이가 안좋은 오스만에 접근합니다. 그러자 오스만과 사이가
안 좋은 발칸반도 슬라브계 국가들이 일제히 반독 친러로 반독일 적 성향을 가져 버립니다.

이래서 1차 대전이 일어나자 독일은 오스트리아 편을 들고 이에 프랑스와 러시아의 동맹이 발동됩니다. 이에 원래
전쟁 당사자 세르비아를 빼고도 나머지 발칸 반도 국가들이 일제히 독일의 반대편에 서게 됩니다. 여기에 군부의
주장아래 프랑스를 치기 위해 벨기에를 공격하자 가뜩히나 독일을 싫어하던 영국은 바로 프랑스 편에 붙고
여기에 친영계 국가들(이탈리아와 미국, 일본)이 최종적으로 연합군에 붙어버리게 됩니다.
애초 1차 대전의 승리와 패배는 여기에서 갈렸다고 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티레브
13/10/11 20:42
수정 아이콘
여자들을 다수만나는걸 어릴때 해버릇하니 나중에 수상이 되고나서 열강들을 여자다루듯햇더니 외교의 신이라는 호칭을 얻었습니다
?
흐으

당연히 카사노바질안해본 독일아해들은 뻘짓을 햇을테고
(여자가 뭘원하는지 나한테바라는게뭔지를 모르는것들..)
그 남자가 떠나고나니 여자들끼리 싸운건 어찌보면 당연한 수순?

비스마르크는 열강들과의 외교 이전에
독일통일때가 더 부각될필요가 있다고 생각함니당..
꺄르르뭥미
13/10/11 22:16
수정 아이콘
비스마르크가 장기 집권을 했다면 세계 대전도 없었고.. 또 역사는 달라졌겠군요
카서스
13/10/11 22:20
수정 아이콘
빌헬름 2세와 친하기만 했어도 뭐 (...)
바스테트
13/10/11 23:13
수정 아이콘
그러나 비스마르크의 성격상 빌헬름 1세처럼 전권을 주고 밀어주는 스타일이 아니라면.......힘들 거에요 빌헬름 2세가 절대로 그런 성격이 아니였었고

지금이야 그때 비스마르크가 실각하지 않았더라면 이러지만 정작 그 당시 모든 독일사람들은 비스마르크를 내친 빌헬름 2세에게 열광하고 있었다죠-_-;;;;;(좌파쪽에선 비스마르크를 보수파의 거두라 생각해서 극딜하고 있었고 우파쪽에선 영국이나 프랑스처럼 식민제국을 건설하기 바라는데 비스마르크가 그걸 막는다고 극딜했죠....)
이오덕
13/10/11 23:57
수정 아이콘
개차반에서 성인으로 바뀐 보기죠
13/10/12 11:06
수정 아이콘
그래서 19세기 후반을 다룬 영국소설들 보면 독일인을 호의적으로 묘사하죠.
코난 도일과 애거서 크리스티 비교해보면 상당히 재미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7115 [일반] 처음으로 제 시(詩)가 상을 받았습니다. [15] 김신욱3798 13/10/17 3798 2
47114 [일반] [야구] 2013년 경찰청 야구단 합격자 소식입니다. [58] 민머리요정7385 13/10/17 7385 0
47113 [일반] 자본주의 맹아론 어떻게 생각하세요? [56] 요정 칼괴기11214 13/10/17 11214 0
47112 [일반] 짝사랑 하고 있나요? 그럼 여기 시(詩) 한번 봐보세요 [12] 김치찌개21794 13/10/17 21794 1
47111 [일반] 흔한 피잘러의 한강 라이딩 [23] 마스터충달6130 13/10/17 6130 2
47110 [일반] 지식채널e - 시험의 목적 [8] 김치찌개5045 13/10/17 5045 1
47108 [일반] 대학교 행사료.jpg [39] 김치찌개11487 13/10/17 11487 0
47106 [일반] 2014 브라질 월드컵 지역 예선 대륙별 중간 점검 - 6편 [29] 반니스텔루이6846 13/10/17 6846 1
47105 [일반] 그냥 심심해서 쓰는 온라인 광고쪽 이야기 -1- [29] 파벨네드베드6813 13/10/17 6813 8
47104 [일반] . [35] 삭제됨5671 13/10/16 5671 0
47103 [일반] 영화관 컵홀더 청소 때문에 죽겠습니다. [33] 삭제됨6268 13/10/16 6268 0
47102 [일반] 이천수선수 폭행 불구속 입건, 아내 없었다. +10.17일 수정 [88] 애패는 엄마8675 13/10/16 8675 0
47101 [일반] 테스토스테론의 위엄(?)... [15] Neandertal8174 13/10/16 8174 1
47100 [일반] 운명을 지배하는 인간, 운명 앞에 쓰러지다 - 워털루 1815 (7) - '모든 일은 소풍 나온 것처럼' [2] 신불해4474 13/10/16 4474 6
47099 [일반] 여러분은 다 속고 있는 거에요! [33] 기아트윈스7320 13/10/16 7320 7
47098 [일반] 포스트시즌까지 계속되는 실책/폭투/본헤드 [164] 미카즈키요조라6182 13/10/16 6182 0
47097 [일반] 장미여관의 데뷔앨범, <산전수전 공중전>을 추천합니다! [26] 쌈등마잉5948 13/10/16 5948 0
47096 [일반] 1910~11, 19세기를 마감하는 국제 관계 관련 두 책 [3] 요정 칼괴기4011 13/10/16 4011 0
47095 [일반] [연애] 그레코로만스타일과 프리스타일 [23] Love&Hate11454 13/10/16 11454 9
47094 [일반] 신고리 3,4호기 부품시험 불합격 [27] 니시키노 마키4781 13/10/16 4781 0
47093 [일반] 어디다 글을 남겨야될지 몰라서 이곳에 남깁니다. [67] 싼쵸가르시아6984 13/10/16 6984 4
47092 [일반] 자동차보험 만기전에 여기저기서 전화오는거 막는방법 [17] Annie5856 13/10/16 5856 8
47091 [일반] (보충) "박정희 정수장학회 불법강탈 인정" 소멸시효 완성으로 돌려받지는 못해.news [129] 삭제됨6692 13/10/16 6692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