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4/18 15:00:02
Name a-ha
File #1 1.jpg (489.0 KB), Download : 1421
Subject [일반] QCY 무선 이어폰 품질 생각보다 괜찮네요 (광고글 X) (수정됨)


2년 가까이 쓰던 갤럭시 버즈 2를 얼마 전에 분실하는 바람에 새 무선이어폰을 하나 주문은 했습니다. 그런데 이게 운동할 때 늘 무선이어폰을 쓰다가 갑자기 1주일 정도 없이 지내려니까 답답해지더군요. 혹시 집에 남는 이어폰 없나 뒤져보니 예전에 딸한테 사줬다가 딸이 안 쓰고 구석에 처박아 두었던 QCY 이어폰을 하나 발견했습니다(그때도 아마 딸이 원래 쓰던 거 잃어버려서 잠깐만 쓰라고 사줬었던 것 같습니다). 아쉬운 대로 새로 주문한 제품 올 때까지만 써보자 하고 사용하고 있는데 생각보다 음질이 괜찮네요. 예전부터 가성비 이어폰으로 알려져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기대 이상이었습니다. 이전에 쓰던 버즈 2 음질에 크게 뒤지지 않는 것 같습니다. 물론 아주 고가의 좋은 이어폰들에 비길 바는 아니겠지만 급할 때 예비용으로 하나 쟁여 놓을 만은 한 것 같습니다. 이 정도면 향후 QCY에서 가격대 좀 있는 제품 출시하더라도 구매를 고려해 볼 것 같습니다.

(오해하실까봐 하는 말이지만 절대 광고글 아니고 그냥 내돈내산 감상평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불쌍한오빠
25/04/18 15:04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유선이어폰 시대를 끝낸건 에어팟이 아니라 QCY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크크
25/04/18 15:09
수정 아이콘
광고를 할 필요가 없는 제품이라 바이럴 우려는 없습니다
형광굴비
25/04/18 15: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차이팟(Sotar)사용해 보시면 또다른 세계를 경험하실듯.. 절대 광고아닙니다. 조금 다른 얘기이지만 미국이 아닌 트럼프가 하고 있는 관세전쟁에서 중국이 이길거 같다는 생각이 드는 부분이 이런 점입니다. 절대 인도에서나 다른 나라에서 중국만큼의 생산성을 올리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 전세계에서 생산해야 되는 물자량이 있을터인데.. 그걸 중국외의 다른 나라가 대체가 안될거 같다는 느낌입니다.
25/04/18 15:15
수정 아이콘
QCY는 뭐 광고가 필요없는 수준까지 이르렀죠.

개인적으로 제 다음 제품도 QCY 일듯하네요. 작년도에 평이 좋았던...
25/04/18 15:16
수정 아이콘
중국이 제조업을 장악한 이상, 가성비 면에선 그 어느 나라도 중국을 이길 수 없죠. 기술 특허 따윈 개무시하고 다 집어넣기도 하고요.
차이파이 쪽에 관심이 있는데, 가성비 뿐만 아니라 고가 모델 기술력도 장난 아닙니다.
25/04/18 15:17
수정 아이콘
t13이군요
저도 운동할 때나 급할 때 잘 쓰고 있습니다.
무선 이어폰은 적당한 수준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해서
t13만 해도 들을 만한 편이고
버즈3나 t13x나 뭐 큰 차이 없네? 라고 느끼며 사용하고 있습니다.
덴드로븀
25/04/18 15:19
수정 아이콘
구매 후 : 아니 이 가격에 이게 말이 돼?
청음 후 : 흠...그래도 음질이 좀 아쉬운데 어디보자
(에어팟 or 버즈 가격 확인후)

QCY 충성충성
25/04/19 15:18
수정 아이콘
저같은 막귀 일반인은 그 차이조차 못 느낄 정도에요.
Bose 이어버즈 울트라랑 QCY 꺼 쓰고 있는데,
가격이 딱 열배 차이 나는데도 잘 모르겠습니다;;
분명 뭔가 다르다는 건 느껴지는데 그 정둔가?? 싶은 느낌
덴드로븀
25/04/19 15:26
수정 아이콘
가격대만큼의 차이는 분명 있는데
사람마다 느끼는게 천차만별이긴 하죠 흐흐
철판닭갈비
25/04/18 15:22
수정 아이콘
QCY t13 한 번 쓴 이후로 계속 이것만 씁니다 가성비가 미쳤...
포프의대모험
25/04/18 15:23
수정 아이콘
분실했을때 가장 밸류가 높아지는 이어폰 크크
raindraw
25/04/18 15:31
수정 아이콘
qcy가 진짜 좋긴 좋습니다. 물론 가격대비
25/04/18 15:33
수정 아이콘
이게 또 qcy T13이 나온지 좀 됐는데 이만한 가성비 모델이 또 없나봐요. 그 이후 모델들은 이런 소리가 안 나오네요. 저는 잘 쓰고 있는데 망가지면 같은 모델로 또 살까 생각중입니다.
철판닭갈비
25/04/18 15:44
수정 아이콘
저도 실제로 2년만엔가 망가져서 같은걸로 바로 샀습니다 크크
다른 대안은 제가 못 찾은건지 마땅한게 없더라고요...
25/04/18 16:06
수정 아이콘
전 알리에서 2천원 정도 하는 거 사봤는데 작동은 되더라구요? 물론 품질은 2천원이라 굳이... 싶긴 해서 그냥 담에도 t13사려구요. 특히 t13은 뽐뿌 같은데 보다보면 이상하게 싸게 나올 때가 있더라구요.
MeMoRieS
25/04/18 15:34
수정 아이콘
저도 t13 출시하자마자 사용하고 있는데 만족하고 있습니다.
3년 반 가까이 사용하는데도 아직까지 기기의 별 문제가 없네요
아엠포유
25/04/18 15:38
수정 아이콘
저도 운동용으로 t13 쓰고 있는데 최곱니다 크크크
치킨피자탕수육
25/04/18 15:47
수정 아이콘
저도 쓰고 있는 모델이군요 크크
에어팟 프로로 넘어갈까도 생각하는데 2개의 가격 차이가 넘사벽이라 만족감이 있을지 모르겠네요
25/04/18 15:51
수정 아이콘
아아주 잘쓰고있습니다.
타카이
25/04/18 15:54
수정 아이콘
저도 t13쓰는데 좋습니다 노캔있는 ht07도 세일 때 2만원 정도에 업어와서 잘 쓰고 있...
세이밥누님
25/04/18 15:55
수정 아이콘
T13 저도 추천받고 샀는데
이가격에 이정도 음질에 이정도 통화품질???
하면서 쓰고있네요 크크
노래하는몽상가
25/04/18 15:56
수정 아이콘
너무 좋아요 진짜
'가성비' 라는말은 qcy를 보고 말하라...
안군시대
25/04/18 16:16
수정 아이콘
QCY가 좋은 이유는, 운동하다가 떨어뜨려 분실해도 크게 부담이 없다는 점..
거의 약간 비싼 밥 한 끼 정도 가격이니 뭐..
데스크탑
25/04/18 16:18
수정 아이콘
중국에 제조업 혁명이 일어난건지 내수침체로 밀어내는건지
아니 이가격에 이게 말이되나 싶은 제품들이 요몇년 많죠
25/04/18 16:25
수정 아이콘
첫 무선이어폰으로 가장 싸고 오픈형으로 QCY T29 사용중인데 상당히 만족합니다.
이게 이정도면 이것보다 10배이상 비싼 에어팟은 얼마나 신세계일까 합니다...
stumpjumper
25/04/18 16:32
수정 아이콘
예전 모델들은 배터리수명이 너무 짧아서 두세달에 한번 새거샀었는데 요즘 모델들은 그래도 좀 나아졌더군요.
25/04/18 16:34
수정 아이콘
저도 저거 씁니다.
고장나면 바꿔야지 하는데 고장이 않나요...
25/04/18 16:34
수정 아이콘
문제는 무선이어폰 뿐만이 아니라는거죠..대형가전빼고는 중국산이 가격이 싼데 퀄리티도 좋습니다..
가끔 가격이 생각보다 훨씬싼 제품들이 나오기도하구요..그리고 신기한게 업그레이드해서 계속 나옵니다.
코우사카 호노카
25/04/18 16:46
수정 아이콘
저도 t13 anc랑 t13 두개 가지고있네요
취급주의
25/04/18 16:49
수정 아이콘
t13 고장나면 바꿀 생각이었는데 2년째 고장이 안 나요...
25/04/18 16:58
수정 아이콘
저도 저거 쓰고 있는데 다 좋은데 마이크 성능이 아쉽습니다ㅠㅠ
Silver Scrapes
25/04/18 17:19
수정 아이콘
1, 5, 13, 17, 13x 순서로 써 봤는데 13x가 확실히 괜찮더군요. 어플로 만져줘야하는 귀찮음은 있었습니다.
1과 5는 배터리 광탈로 보내줬고, 요즘엔 HT10 프로 플러스 쓰는데 이 이상 뭐가 가능할까 싶기는 합니다. 크크
Grateful Days~
25/04/18 17:55
수정 아이콘
중국의 실수 시리즈 중 하나죠.
25/04/18 18:29
수정 아이콘
저같은 막귀에겐 특가 만원짜리 t13이나 에이팟 프로나 차이가 없습니다. 진짜 너무좋아요 지금도 끼고있는중
성야무인
25/04/18 18:31
수정 아이콘
QCY내구력 끝내줍니다.

제가 2년전에 QCY스마트 워치랑

겨울에 귀마개 대용으로 산 멀티 포인트 QCY해드폰이 있는데

스마트 위치는 기능은 떨어지는 데

표면이 고릴라 그래스인데다가

티탄늄 소재를 썼는지 흡짐하나 안나도

보통 다른 저가 해드셋은

머리 고정하는 부분 가죽하고

귀마개 부분이 쉽게

헐어버리는데

악명높은 한국 여름과 겨울을

2년 견뎠음애도 불구하고

멀쩡합니다.
25/04/18 19:21
수정 아이콘
전 QCY음질 나름 괜찮다고 해서 입문해서 잘 쓰다 나중에 버즈2 써보고는 여태 속은 느낌이었는데 말이죠. 음질 차이가 많더라구요.
안군시대
25/04/18 19:48
수정 아이콘
음질에 대한 선호는 개인차도 커서요. 허준님이 막귀가 아니신것에 가깝다고 봐야죠.
미드웨이
25/04/18 21:03
수정 아이콘
가격대비 괜찮다는거지 버즈2만큼 음질 나오면 누가 버즈2 사겠나요
스웨이드
25/04/18 19:55
수정 아이콘
저는qcy t33이라는 3만원짜리 클립형 이어폰 쓰는데 만족감 최고네요 이어폰 헤드폰에 못해도 2천 이상은 쓴거같은데 돈이 아깝다는 생각까지 들어서 당근에 하나씩 처분중이에요 크크크
헝그르르
25/04/18 20:39
수정 아이콘
막귀라 무지성으로 가성비만 따져서 qcy 사용중입니다.
모델명도 몰랐는데 t13 호평 리플이 많길래 확인해보니 제꺼도 t13이네요.
괜히 안목이 생긴거 같아 뿌듯합니다
25/04/19 07:24
수정 아이콘
T5, HT08(멜로버즈 프로), HT10(에일리버즈 프로) 이렇게 샀는데 전부 만족스러웠어요.
원래 노캔 이어버즈는 소니 WF-1000XM3를 작년까지 계속 썼는데 배터리 문제 때문에 보내주고 HT10를 샀었죠.
HT10은 진짜 이 가격대에서 적수가 없을 정도로 좋습니다. QCY 하나만 산다면 HT10추천하고 싶네요.
그에 비해 커널형이고 더 비싼 HT08는 이상하게 음질이 좀 구립니다. EQ로 뭔 짓을 해도 먹먹함을 지울 수가 없네요.
그래도 2~3만원 대에서는 HT08조차 적수가 없습니다.
네오크로우
25/04/19 09:24
수정 아이콘
qcy 글 올라올 때마다 같은 댓글 다는 거 같은데, 아직도 예전부터 쓰던 t1이 건재합니다. 원래 헬스장서 쓰다가 큰맘 먹고(?) t13 바꾸고
t1은 그냥 산책할 때 쓰는데 여전히 뭐 들어줄 만합니다. 주로 음악 같은 거 보다는 멘트가 많은 팟캐스트들을 들어서 그런지
음질에 관한 불만도 없네요.
에베레스트
25/04/19 10:25
수정 아이콘
전 처음에 산게 t10이었는데 이건 별로였습니다. 음질도 연결도 좀 아쉬운 편이었는데 몇달만에 고장나서 버렸습니다.
그리고는 있던 유선 사용하다 t13 추천글 보고 한번 더 속아볼까하는 기분으로 사봤는데 이건 좋더군요.
그런데 작년에 폰을 s24로 바꾸면서 버즈도 한번 사용해보고 싶어서 fe로 구매했는데 음질은 이 쪽이 좀더 제 귀에 맞아서 폰은 이걸로 쓰고 컴터는 t13으로 쓰고 있네요.
고민시
25/04/19 12:11
수정 아이콘
역체감만 없으면 qcy 음질도 들을만해요. 잃어버렸을때 가치가 제일 높은게 리얼 크크
모두안녕
25/04/19 18:48
수정 아이콘
t13 t13x t13anc 사고 에어팟프로 모멘텀와이어리스 다 방츌했습니다..
유료도로당
25/04/20 08:13
수정 아이콘
QCY의 문제는 케이스에 그려져있는 로고가 못생겼다는 점입니다... 크크크 성능이야 가격생각하면 사기죠
25/04/20 09:33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저도 이번에 먼저 주문했던 것 취소하고 QCY ANC 되는 모델로 주문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102 [일반] 최근 1년동안 했던 게임들, 소소하게 평가를 해봅니다(2) [1] 공놀이가뭐라고1259 25/04/21 1259 2
104100 [일반]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62] 제논5474 25/04/21 5474 11
104099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8 [8] Poe2599 25/04/21 2599 24
104097 [일반] 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41] Kaestro8790 25/04/20 8790 7
104096 [일반] 아청법 관련) 슬슬 또 스텝을 밟기 시작하는 제도권 [49] 실제상황입니다13205 25/04/20 13205 13
104095 [일반] 이게 그거였구나 [5] 如是我聞5984 25/04/20 5984 16
104094 [일반] 저물가의 시대 이제는 끝인걸까? [20] 김홍기9498 25/04/19 9498 0
104093 [일반] 인터넷이 거대한 망무새가 되어간다 [83] 고무닦이12266 25/04/19 12266 44
104092 [일반] "문과 놈들이 해먹는 나라"…이국종 교수, 국방부에 사과 [198] Davi4ever11775 25/04/19 11775 7
104091 [일반] 콜드플레이 2일차 후기 [26] aDayInTheLife3266 25/04/19 3266 1
104090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1) - 한경제에서 용릉후 가문이 나오기까지 [7] 계층방정2133 25/04/19 2133 6
104089 [일반] 최근 사용한 AI툴들 목록 [36] Kaestro4529 25/04/19 4529 30
104088 [일반] (로이터 통신) 외계 행성에서 생명체 존재 가능성의 가장 강력한 증거 발견 [39] 잉어킹6318 25/04/18 6318 3
104087 [일반] 백종원씨 사태에 대한 대중 반응 변화 [106] 깐부9104 25/04/18 9104 2
104086 [일반] '메탄올 실명' 노동자 이진희씨 별세 [38] 수리검6576 25/04/18 6576 49
104085 [일반] QCY 무선 이어폰 품질 생각보다 괜찮네요 (광고글 X) [47] a-ha5105 25/04/18 5105 1
104084 [일반] 건법 앞의 평등 - 미국 유나이티드헬스케어 [61] 맥스훼인6269 25/04/18 6269 1
104083 [일반] 인구구조 문제는 절대로 해결 불가능한 문제일까요 [81] liten5007 25/04/18 5007 1
104082 [일반] 영남권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기부 인증 이벤트 결산 [7] 及時雨2324 25/04/17 2324 12
104081 [일반] 폭싹 속았수다 재밌게 잘 봤습니다 (약스포) [50] 빵pro점쟁이6153 25/04/17 6153 2
104080 [일반] '한 문제에 50만원' 현직교사 포함한 사교육 카르텔 100 여명 검찰송치 [41] EnergyFlow9094 25/04/17 9094 6
104079 [일반] <야당> - 뻔하다는 건? 말아먹진 않는다는 것. (노스포) [25] aDayInTheLife7684 25/04/16 7684 3
104078 [일반] 출생아가 두 배로 늘어나는 방법? - 적극적 이민 정책을 촉구하며 [283] 사부작12189 25/04/16 12189 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