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08/07 01:14:16
Name Leeka
File #1 99b983892094b5c6d2fc3736e15da7d1_6.png (525.5 KB), Download : 8
Subject [LOL] 가이드) 이스포츠매니저 고숙련도 챔피언의 중요성 (수정됨)


-> 최근 PvP 이긴 경기로 보는 각 선수들의 고숙련도 챔피언의 중요성 가이드


-> 이긴 경기. 잘 보면 위에 숫자는 픽 순서
(상대 유저는 노틸을 1픽, 징크스를 2픽, 갈리오를 5픽으로 뽑았다 뭐 이런것...)

-> 테두리가 멋지게 있는건 '각자 해당 선수의 고숙련도 챔피언 픽 정보
(그레이브즈도 고숙련도 픽인데 테두리가 안떠있는건 버그인거 같음..)


근데 저기서 표시되는것과 별개로.. '고숙련도 챔피언의 업그레이드 스킬'을 쓰기 위해선

1 - SSR 선수의 고숙련도 챔피언 픽
2 - 해당 챔피언 숙련도 레벨이 10 이상

2가지를 동시에 만족해야만 써짐..
(숙련도 레벨이 부족하면. 고숙련도 챔피언 스탯 보너스등은 적용받지만..   고유 스킬은 적용 못받음)




1659802486_9f6bdb4096c7997ab4b3f00cbc1408c8.png
-> 그 결과. 한타때 돌린 스킬

상대는 럼블 2번 + 그라가스 1번 + 갈리오 1번 + 노틸 1번 사용

맨 위에는 'CC 점수' / 중간은 데미지 점수 / 하단은 회복&보호막 점수.



노틸러스가 고숙련도 챔피언이지만..  실제 상대 유저는 숙련도가 모잘라서 일반 노틸 스킬로 나갔기 때문에 CC 점수 15에 딜 174가 들어감





1659802474_a743858ae7be30f8ed2f2c5945513068.png
-> 반대로 내가 쓴 스킬 지표.

저는 자르반을 제외한 4명으로 각 1번 돌림..

전부 고숙련도 챔프 픽이긴 하지만.. '그레이브즈와 레오나만 숙련도 10이라 상위 스킬' 이 터짐.


그래서 잘 보시면.. '그레이브즈는 스킬 한방에 2천딜..' (다른 챔피언은 1천딜이고 상대 유저의 스킬 딜 봐도 뻑해야 천임..)

레오나는 스킬 한번에 '씨씨점수 134점을 넣고도 데미지 7백에 보호막 20...'





1659802456_b564d3fa6aaceb6f6a3be27f2d6f071d.png


그래서 골드 지표 보면 초중반에 3천골 이상 벌어지고 밀리고 있었으나..  중반 용 한타를 기점으로 역전에 성공..

성공한 이유는 결국 더샤이의 그레이브즈와 메이코의 레오나 업글 스킬의 힘..



이게 보이는 투력 이상으로 업그레이드 스킬 한번 잘 쓰는게 한타를 크게 바꾸기 때문에..

이게 일반 숙련도 챔피언이 주는건 스탯보너스인데.. 그정도는 사실 '오피 / 시너지 ' 맞춰서 픽하기만 해도 챙겨갈 수 있는 수준이라

최상급 숙련도 챔피언을 중심으로 밴/픽을 짜고. 카운터 치는게 전략의 기본이 됨.





+@ 당연하겠지만 챔피언마다 스탯, 평타, 스킬등 밸런스가 황밸이 아니기 때문에..
'성능 좋은 챔피언을 고숙련도로 가지고 있는 선수' 가 꽤 좋음..



+@@ 신드라같은 경우엔 일반 선수로 쓰면 딜링 스킬이지만.. '나이트가 숙련도 10 찍고 쓰면'..  딜링+광역 CC 로 변해서 아에 파괴력이 바뀌는
극단적으로 변하는 케이스들도 있음.



----------

덤으로 어제부터 191~200번 신섭도 오픈되었으니.. 지금 시작하기에 나쁜 시기는 아닙니다.

저랑 같이 하실분은 171번 서버로 오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승률대폭상승!
22/08/07 08:36
수정 아이콘
lck판 언제나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983 [PC] 하루에 중국팀과 일본팀을 이긴 한국팀이 있다? [16] League of Legend11861 22/08/13 11861 2
74982 [모바일] [우마무스메] 어떤 의미로는 완벽했던 '스페셜 위크'의 은퇴 이야기 | 일본 경마 이야기 감독판 3화 [6] 캬옹쉬바나9325 22/08/13 9325 3
74981 [LOL] 확정된 플레이오프 대진과 일정 [43] Leeka14923 22/08/13 14923 3
74980 [LOL] 젠지. LCK 최초 +30 득실 달성 [82] Leeka16029 22/08/13 16029 6
74979 [LOL] 현재 추가되고 있는 티원 디스코드 논란들 [38] 아슬릿16166 22/08/13 16166 2
74978 [LOL] 정규 시즌 이틀 남은 LEC 근황..jpg [31] Silver Scrapes11946 22/08/13 11946 1
74977 [LOL] 오늘 담원기아 경기결과 상관없이 팬미팅 전원 참석.twit [74] 융융융17846 22/08/13 17846 1
74976 [LOL] 아케인 에미상 3관왕 [19] 카트만두에서만두11990 22/08/13 11990 0
74975 [LOL] 한화생명 텐텐 달성 [62] Leeka14399 22/08/13 14399 0
74974 [LOL] 현재 논란인 T1 멤버쉽 컨텐츠 유출 논란 + 조마쉬 해명문 [99] 아슬릿23602 22/08/12 23602 4
74973 [LOL] 아케인의 흥미로운 제작비화 [11] slo starer12236 22/08/12 12236 1
74972 [스타2] 2022 GSL Season 3 Code S 20강 조편성 [4] SKY9212355 22/08/12 12355 1
74971 [기타] 롤 격투게임[프로젝트 L]은 얼마나 흥행할수있을까 [38] 꿈꾸는드래곤10607 22/08/12 10607 1
74970 [LOL] 광농브한 올스타를 뽑아보면? [57] qwerasdfzxcv11669 22/08/12 11669 0
74969 [LOL] 담원기아가 롤드컵 진출시 탄생하는 기록 [54] Leeka16210 22/08/12 16210 1
74968 [LOL] 2022 LCK 섬머 결승 2차 판매분 좌석이 공개됐습니다 [6] 지성파크9842 22/08/12 9842 0
74967 [LOL] 역대 롤드컵 우승팀의 1년 전적과 올해 주요팀들의 1년 전적 [15] 니시노 나나세10185 22/08/12 10185 0
74966 [LOL] 2022 시즌 신인왕, 빅라냐 카엘이냐 [227] Leeka15121 22/08/12 15121 1
74965 [기타] 패스오브엑자일 "칼란드라 호수" 3.19 시즌 [17] 타란티노11336 22/08/12 11336 1
74964 [LOL] 역대 2라운드 1위팀의 LCK 최종 성적 [43] Leeka13441 22/08/12 13441 1
74963 [LOL] 담원과의 계약에서 피해를 봤다고 하는 블루스카이의 인터뷰가 올라왔습니다 [26] 아슬릿17237 22/08/12 17237 7
74962 [오버워치] [OWL] 서머 쇼다운 프리뷰 [6] Riina10366 22/08/11 10366 0
74961 [LOL] 플옵 진출팀 선수별 4세트 이상 기용한 챔프 종류와 승률 [14] qwerasdfzxcv10092 22/08/11 10092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