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8/20 20:22:57
Name Canna
Subject 프로게이머들이 농구선수가 된다면.. (SKT1편)
밑에 준혁님께서 쓰신 "프로게이머들이 축구선수가 된다면.."이라는 글을 보고 필받아서 씁니다~^^;
아무래도 농구는 축구보다 인원이 적으니까 팀별로도 만들어볼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도 들고요.
우선 첫번째로 T1편을 마련해 보았습니다.

C- 최연성
PF - 박용욱
SF - 이창훈
SG - 김성제
PG - 임요환
후보선수 - 박정길, 성학승, 김현진

설명 순서는 제 맘대로..^^;;

1. Point Guard - 임요환
10여년 전 데뷔하자마자 화려한 플레이로 팬들을 매료시키며 코트의 황제라 불리는 임요환. 탁월한 경기 운영에 적절한 곳에 찔러주는 패스(드랍쉽). 뛰어난 볼컨트롤. 거기다가 누구라도 막아낼 수 있는 수비능력까지. 그는 최고의 포인트가드로써의 기량을 갖추고 있다.
최근 슬럼프도 겪었고, 득점 능력이 부족하다는 평을 받고 있기는 하지만 포인트가드로써 팀을 이끄는 능력을 갖춘 그는 여전히 코트의 황제로 불릴만하다.
- 만약에 농구 선수로 비교한다면 임요환 선수만큼 포인트 가드에 어울릴만한 선수가 누가 있을까요. 특히 적절한 곳에 찔러주는 드랍쉽은 포인트 가드가 갖춰야 할 패싱 능력을 연상시킵니다.

2. Shooting Guard - 김성제
현역 선수 중 최상급의 외모로 소녀팬들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는 김성제. 뛰어난 볼컨트롤에 중요한 시점에 팀의 분위기를 살려주는 3점슛(리버)까지 갖추고 있다. 특히 스몰포워드를 맡고 있는 이창훈과 보여주는 콤비 플레이는 최상급이라고 알려져 있다.
- 김성제 선수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리버는 3점슛을 연상하게 합니다. 그리고 힘보다는 컨트롤과 전략을 활용한 플레이는 슈팅가드를 연상하게 합니다.

3. Small Forward - 이창훈
KTF Ever배 리그 결승에서 당시 한빛 팀의 영웅이라 불리는 박정석을 성공적으로 마크하면서 결승전 MVP로 뽑혔던 이창훈. 그는 특별히 화려한 플레이도 없고 대인 마크 능력 또한 팀동료들에 비해 부족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그러나 어느 팀원과도 어울려서 콤비 플레이를 펼칠 수 있는 뛰어난 화합력을 갖추고 있다. 특히 김성제와의 콤비 플레이는 연재 최상급으로 알려져 있다.
- T1에서 스몰포워드를 누가 맡으면 좋을까 고민했는데요. 특별히 스몰포워드의 특징에 맞는 선수가 있는 것도 아니고. 그래서 그냥 팀플에 능한 이창훈 선수를 그 포지션에 넣었습니다.

4. Power Forward - 박용욱
강력한 힘과 볼컨트롤을 겸비한 그는 강력한 수비력으로 상대를 서서히 조여나가는 플레이를 펼쳐 악마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 데뷔 초기에 OBL에서 신인왕을 차지하며 관심을 끌었지만 학업 때문에 잠시 코트를 떠났다가 돌아와 OBL MVP를 차지한 이후, 최근 MBL MVP 자리를 놓고 팀동료인 최연성과 다투고 있다.
- 박용욱 선수의 특징은 물량과 컨트롤이 바탕이 된 강력한 힘싸움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점에서 파워포워드라는 포지션을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다만 리바운드라는 요소가 중요한데 이건 어떻게 고려해야 할지 잘 모르겠네요.

5. Center - 최연성
팀동료인 박용욱과 맞먹는 강력한 힘에 뛰어난 득점력까지 갖춘 최연성. 그는 데뷔한 이후 MBL 2연속 MVP를 차지하면서 최고의 선수로 꼽히고 있다. 힘과 득점력에 비해 볼컨트롤이 약간 부족하다는 평이 있지만 센터로서 그의 기량만큼은 최고라고 할만하다.
- 뛰어난 힘싸움과 물량을 갖춘 최연성 선수는 센터에 가장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거기다가 최연성 선수 본인도 키가 크죠.

이렇게 쓰자니까 쉽지 않네요.
만약에 재밌게 보셨다면 다른 팀편도 만들어 보려고요..
아마도 이 다음 차례는 KTF가 아닐까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04/08/20 20:42
수정 아이콘
SF에는 박정길!
CoNan_ShinGO
04/08/21 04:00
수정 아이콘
센터 는 정말 동감이 갑니다 =_=...
막둥이
04/08/21 06:17
수정 아이콘
KTF 팀으로는 그냥 야구팀하나.. ^^ 그 선수들 중 5명 뽑기가 좀 그렇죠.. ㅋ
OnePageMemories
04/08/21 09:58
수정 아이콘
SG에 임요환선수!! 농구의황제도 SG였으니까 흐흐흐
04/08/21 11:14
수정 아이콘
으헉.... 골밑을 들어가기가 싫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07 윤여광님의 글을보고.[온게임넷에 바란다] [13] OnePageMemories3657 04/08/22 3657 0
7106 나쁘지 않은 선택 - 최연성 [58] 킁킁6042 04/08/22 6042 0
7105 여러분들의 명경기,명장면들은 무엇이었습니까? [40] 시원시원하게3971 04/08/22 3971 0
7104 금요일. 에버 스타리그 조 지명식을 다녀와서.. [69] 윤여광5475 04/08/22 5475 0
7103 슈마GO의 팀리그 결승 선봉권 지명,, [45] 지네된지단5646 04/08/22 5646 0
7101 EVER 스타리그 각조 각 선수끼리의 상대전적-D조 [10] 김민수4524 04/08/22 4524 0
7100 전보다 왠지 기대대는 EVER 스타리그 [12] ㅇㅇ/3297 04/08/22 3297 0
7099 EVER 스타리그 각조 각 선수끼리의 상대전적-C조 [7] 김민수3417 04/08/22 3417 0
7098 EVER 스타리그 각조 각 선수끼리의 상대전적-B조 [9] 김민수3837 04/08/22 3837 0
7097 EVER 스타리그 각조 각 선수끼리의 상대전적-A조 [6] 김민수3604 04/08/22 3604 0
7096 임요환의 왼손.....(물량부족의원인?) [16] 락이5744 04/08/22 5744 0
7095 3백은 이제 버려야합니다.. [39] 샤프리 ♬4058 04/08/22 4058 0
7094 4강 테란-역전의 용사들. [7] 시퐁3644 04/08/22 3644 0
7093 한국vs파라과이 [36] mint..!!3106 04/08/22 3106 0
7092 [잡담] 음...전 그 선수를 응원합니다. [4] 안전제일3290 04/08/22 3290 0
7091 임선수의 안티 아닌 안티 [51] 건방진천사3459 04/08/22 3459 0
7090 조심스러운 EVER 스타리그 예상 [32] TheBeSt3359 04/08/22 3359 0
7089 한국 vs 파라과이..결전의 날,가자 4강으로~!! [16] Ryoma~*3265 04/08/22 3265 0
7088 Dr. Callihan [9] 테리아3743 04/08/22 3743 0
7087 EVER배 스타리그 1주차 경기내용 예상 [13] 그대는눈물겹3558 04/08/21 3558 0
7086 같은팀이 한조에 들어가면 불리할까요? [12] 미나리3264 04/08/21 3264 0
7085 "임요환 3패" [90] Narcis7180 04/08/21 7180 0
7084 my Boxer.. [18] [Hunter]Killua3178 04/08/21 317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