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4/18 23:33:03
Name MiracleKid
File #1 VCS_플옵.JPG (19.8 KB), Download : 34
File #2 TF.jpg (683.4 KB), Download : 30
Link #1 https://www.facebook.com/vnesportstv
Subject [LOL] 일단은 탄생한 2020 MSI 첫 참가 확정팀 (수정됨)





베트남 리그의 Team Flash가

한국에도 잘 알려진 GAM Esports(구 기가바이트 마린즈)를 업셋으로 꺾고

2020 VCS 스프링 시즌을 우승하며

일단 열릴수 있는지는 둘째치고 2020 MSI에 처음으로 참가를 확정지었습니다.


GAM Esports는 정규시즌 13승 1패(+ 22)의 압도적인 성적에도 불구하고 결승에서의 석패로 아쉽게 준우승에 머무르고 말았습니다.
(유일한 1패가 Team Flash 상대이긴 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미카엘
20/04/18 23:35
수정 아이콘
점멸!
20/04/18 23:38
수정 아이콘
베트남은 큰 중단 없이 대회가 진행됬었나보네요.

엄청 빠르네;;
비역슨
20/04/18 23:38
수정 아이콘
마지막 세트만 봤는데 GAM이 AP 수확 쉬바나 + 2원딜을 낀 상당히 어려운 조합을 꺼낸것 치고는 플레이가 너무 느슨하고 밋밋해서 좀 실망스러웠네요.
슬레이더가 MVP를 받았네요. 결국 원딜차이가 극복이 안된건지..
다레니안
20/04/18 23:58
수정 아이콘
한국만 잠잠해질 뿐 전세계가 코로나로 난리라서 MSI개최가능성은 한없이 0에 가까워지네요. ㅠㅠ 아쉽습니다.
페로몬아돌
20/04/19 00:18
수정 아이콘
Msi 무리같아 슬픔 ㅡㅜ
스위치 메이커
20/04/19 00:35
수정 아이콘
지금 이런 상황이면 MSI는 무관중 아니면 힘들다고 봐야 되는데

문제는 무관중 경기라도 할려면 선수들이 입국-출국이 가능한 상황이여야 한다는 거죠. 근데 이게 진짜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미 1옵션 물 건너가고 2옵션 미국 개최로 바뀌었는데... 연다면 선수들만 초청 + 무관중으로 해야..
소금사탕
20/04/19 00:42
수정 아이콘
MSI 하긴 할까요? 시기를 생각하면 갔다온다 해도 2주 자가격리 해야될 판국같은데... 롤드컵도 불투명합니다 솔직히
20/04/19 01:00
수정 아이콘
그냥 MSI 안 하고 롤드컵이나 제대로 열었으면
갓럭시
20/04/19 01:33
수정 아이콘
올해 므시던 롤드컵이던 다 취소하는게 맞지않나요?
20/04/19 01:55
수정 아이콘
상황봐서 정하겠죠...

실제로 7월 므시는 그냥 LCS 경기장에서 하는 정도로 축소 발표를 1차로 지난번에 하기도 했고..
(발표 이후 북미 상황이 더 안좋다보니 므시는 접히고 롤드컵만 미국에서 가볍게 하고
2020 중국 롤드컵을 2021 중국으로 2021 북미 롤드컵을 2022 북미로.. 하는식으로 조정할 확률도 있을거 같네요)

기본적으로 '선수들이 입출국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지역만 있으면 이스포츠는 국제대회 진행이 가능하니까요.
이미 코로나 심해진 상황에서 라이엇도 그쪽 관련으로 여러 계획 잡고 있고..
20/04/19 11:17
수정 아이콘
msi는 박살 가능성이 높고 월챔은 아모른직다~
코우사카 호노카
20/04/19 01:40
수정 아이콘
한국인 체감으론 한국이 좀 일찍 마무리될것도 같은데 한국에서 할것도 아니고..
모르겠네요 그냥 안하거나 섬이라도 빌려서 무관중 대회하는게 맞는것 같은데
20/04/19 01:56
수정 아이콘
큰 틀에선 코로나가 지금 분위기로 가면.. 므시는 취소될 확률이 높을것 같고..

롤드컵은 무관중 전후 사이즈로 해서 한곳에 모여서 진행될것 같습니다.
2020 중국 롤드컵 원래 그림은 2021로 미루고....


이스포츠 특성상 기본적으로 '선수들이 한 국가에 모일수만' 있으면.. 대회 자체는 할 수 있기 때문에 (국제대회는 핑 이슈로 모이긴 해야 되서..)


7월 기준으론 입출국 이슈때문에 무관중으로도 진행이 쉽지 않을거 같은데
롤드컵이 펼쳐지는 10월이면 무관중 진행은 가능할거 같습니다..
신불해
20/04/19 02: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본 LJL은 한참전에 3월 초에 정규리그 끝나고 한참 한 거진 2주는 쉬다가 대뜸 다시 플레이오프 하더니 다시 남은 일정이 5월 3일날에 하고 결승전은 아직 롤위키 보면 일자도 안나왔네요.

정규시즌 끝날때는 체감상 가장 빨리 리그 끝나는 느낌이었는데.
MiracleKid
20/04/19 02:32
수정 아이콘
블랭크 결승 갔다! 소식 들은게 한참 전인데 크크
결승은 롤위키에는 팀이 안정해져서 TBD라고 되어있지만 LJL 트위터에 일정으로 5/4 결승이 진행한다고 되어있습니다.
신불해
20/04/19 03:0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20/04/19 11:53
수정 아이콘
MSI를 한국에서 하는건 안되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336 [LOL] 이왕 한번 해봤으면 하는 이벤트 대회 [37] 라면11520 20/04/24 11520 0
68335 [LOL] 2020 MSI 취소, 새로운 롤드컵 시드권 배분 확정 [57] 비역슨13230 20/04/24 13230 0
68334 [LOL] 개인적으로 뽑는2012시즌 명장면(?)들 [19] prohibit10297 20/04/23 10297 2
68333 [LOL] 젠지의 기묘한 토너먼트 성적 [3] ELESIS10891 20/04/23 10891 0
68332 [LOL] 재미로 보는 동남아 지역 롤드컵 티켓 변천사 파란무테7828 20/04/23 7828 2
68331 [LOL] 삭제예정 [114] 삭제됨14848 20/04/23 14848 4
68330 [LOL] LCK 올프로팀 선정, 투표자 소속별 차이는 어땠나? [53] 민트밍크13547 20/04/23 13547 8
68329 [LOL] 이틀 전에 쓰는 결승 예측 [66] roqur13506 20/04/23 13506 0
68328 [기타] 파판 한국서버도 절렉 가시는 분들이 있군요 [11] 이츠키쇼난10201 20/04/23 10201 0
68327 [LOL] LPL, LEC 4장 / VCS, PCS 2장 지급? [125] Leeka12557 20/04/23 12557 0
68326 [LOL] 간단한 어제 경기 감상 + 결승 전망 [28] 베스타12339 20/04/23 12339 9
68325 [LOL] LCK 올프로팀 & MVP가 선정되었습니다. [149] Leeka16081 20/04/23 16081 2
68324 [LOL] MSI가 취소되었습니다. [48] 라면11310 20/04/23 11310 0
68323 [LOL] 롤판의 신인에 대한 평가를 볼때 느끼는 관점차이 [173] 프테라양날박치기13582 20/04/23 13582 4
68322 [LOL] 4세트 초반 T1이 그라가스를 잡은 배경 [11] 민초단장김채원10951 20/04/23 10951 0
68321 [LOL] 이번결승 티원팬이 엄살(?)부리는 이유 [30] Dunn11143 20/04/23 11143 0
68320 [LOL] 젠지, LCK 정규 1위 & 결승전 진출 기념 음원 BOMB 공개 [3] Leeka10426 20/04/23 10426 0
68319 [LOL] 타팀팬이 생각하는 T1 다전제가 힘들게 느껴지는 이유 [47] Kurzweil12959 20/04/23 12959 2
68318 [LOL] 주관적인 어제 4세트 밴픽 복기(표식 살리기) [21] qwerasdf11706 20/04/23 11706 3
68317 [기타] 피파 시리즈의 근본적인 한계 [17] 긴 하루의 끝에서15773 20/04/23 15773 2
68316 [LOL] 젠지 vs T1. 과연 반지원정대는? [55] Leeka14668 20/04/23 14668 1
68315 [LOL] LCK 10번째 결승전에 진출한 페이커. [50] Leeka15171 20/04/22 15171 3
68314 [LOL] 이변의 연속, T1 vs DRX 후기 [304] roqur22804 20/04/22 22804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