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5/07/22 19:50:51
Name arias
Subject [기타] 문명온라인 파이널테스트 참여 후 소감


(영상 출처 : 디스이즈게임)


문명온라인의 파이널테스트가 저번 주 토요일을 끝으로 종료가 됐습니다.
승리는 이집트가 문화적 승리를 거두면서 막을 내렸습니다.

참고로 문명온라인은 승리 방식이 다양한데 이번 파이널테스트에서는 전쟁을 통한 점령전과
불가사의 같은 유적을 승리 조건에 맞게끔 건설하여 문화적으로 승리를 거두는 방식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집트는 후자인 문화적으로 승리를 거둔 것이죠.

여기에는 어뷰징이라는 다소 옳지 못한 방법이 내포돼있지만 이집트가 결국 승리를 거두는 데까지
절묘한 협동 플레이와 노력이 있었음을 부정할 수는 없습니다.

특히 위에 첨부한 이집트의 마시리아 공방전 영상을 보시면 꽤나 치열한 접전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러 갑론을박이 펼쳐치고 치명적인 문제점들도 발견이 되었지만 이번 파이널테스트는 꽤 성공적이지 않았나 싶을 정도로
여러 에피소드를 낳았습니다. 로마의 몰락, 아즈텍의 반격, 그리고 이집트의 승리 등
단순히 게임을 플레이하고 품질 테스트만 해왔던 CBT 수준은 벗어났다고 보입니다.

다른 게임에서는 볼 수 없는 진기한 광경도 목격이 되는데 예를 들면 무기나 방어구를 제작하는 사람들은
유니크한 아이템을 경매장에 단돈 1원에 올립니다. 
개인의 부를 축적하기 위함이 아닌 조금이라도 강한 사람들을 양성하기 위함이죠.
비싼 탱크를 아낌없이 기부하거나 혹은 싸우고 싶은 마음을 억누르고 건물 건설에 앞장서기도 합니다.

...............................

정식 오픈 게임이 아님에도 그 열기는 뜨거웠습니다.
며칠간 열심히 달렸던 유저들은 하나 같이 게임 중 있었던 사건을 계속 회상합니다.

저 역시도 아직 그 여운이 채 가시질 않습니다.
물론 제가 승리 국가인 이집트였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억울하게 승리를 빼앗긴 다른 문명 유저들은 억한 감정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다만 이렇게까지 열정적으로 게임을 했던게 언제였는지 다시 생각하게 만든 시간이었습니다.


※ 여담이지만 게임이 워낙 생소하고 어려워서 처음에는 게임 삭제 충동을 한 두번 느낀 게 아니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성의우시오
15/07/22 19:54
수정 아이콘
하면서 이상하게 택티컬 커맨더스가 생각나는 게임이더군요. 전혀 다른 장르인데 플레이하는 느낌이..
15/07/22 19:59
수정 아이콘
택티컬은 스타 같은 게임 아니었나요? 아닌가..
마성의우시오
15/07/22 20:06
수정 아이콘
네 그래서 전혀 다른 장르인데 이상하게 플레이하는 느낌만 비슷하다고 썼습니다.
15/07/22 23:39
수정 아이콘
스타같이 유닛 부대 굴리는게임이긴한데 결국 region vs region 이라 비슷한듯
어이!경운기
15/07/23 00:36
수정 아이콘
택티컬 하고 싶네요..
크롬에서 하다가 화성이였나로 간거 같은데... 정말 재밌게 한 게임이여서 그런지
오래 기억에 남네요.
15/07/22 19:55
수정 아이콘
잘 알지는 못하겠지만 이집트가 진리인 건 알겠네요.
15/07/22 19:56
수정 아이콘
슴집트로 대동단결~
저 신경쓰여요
15/07/22 20:00
수정 아이콘
남자라면 갓집트... 마음이 시키는...
15/07/22 20:04
수정 아이콘
하트셉수트의 가슴이 시키는...하하
도로시-Mk2
15/07/22 20:00
수정 아이콘
직접 해본적은 없지만, 본문 글만 읽으니 흥미진진 하네요.

자신의 국가의 승리를 위하여 유니크 아이템을 1원에 올린다니 ㅠㅠ

진정한 영웅임.... 감동!!
하루빨리
15/07/22 20:04
수정 아이콘
차피 세션이 끝나면 모든 부는 사라지거든요. 남는건 게임에서의 공헌도와 카드 뿐입니다. 그러니깐 좋은 무기와 방어구 찍으면 그냥 뿌리는거죠.

웃긴건 그래서 이집트 유저들이 자국 군사도시를 깨기 위해 (문화승리를 하기 위해선 자국 문화도시 비율을 올려야 합니다.) 타 국가 케릭을 만들어서 그 국가에 초보인양 행세하니 사람들이 비싼 공성병기들을 잔뜩 지원해줘서 그걸로 이집트 문화승리에 기여했다는 웃지못할 에피소드가 기사로 쓰였습니다. 크크크

http://www.thisisgame.com/webzine/game/nboard/16/?n=59417
저 신경쓰여요
15/07/22 20:26
수정 아이콘
오... 재밌게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15/07/22 20:05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희생을 감수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놀랬습니다
하루빨리
15/07/22 20:06
수정 아이콘
희생이라기 보단 소속 문명의 승리는 곧 나의 승리니깐요. 시스템이 그런것일 뿐입니다.
15/07/22 20:08
수정 아이콘
네 그 부분을 저는 희생(?)으로 보고 있습니다 솔직히 제작하는게 재미있는 부분은 아니니까요 ^^
하루빨리
15/07/22 20:11
수정 아이콘
차피 공성 시간대는 따로 있으니깐 공성하지 않는 시간대에 제작하고 건물올리고 하면 되니깐요.
이 게임은 전직이 자유롭고 패널티도 없어서 건물 올릴 시간에 건물 올리고 제작할 시간에 제작하고 전쟁할 시간에 전쟁하면 됩니다. 그래서 제작이 딱히 희생은 아니에요. 그 시간대에 할 수 있는 플레이를 하는 것일뿐이죠.
하루빨리
15/07/22 20:01
수정 아이콘
1차 클베때 재밌게 해서 이번 3차에 신청하고 해봤습니다만, 전쟁때 엄청난 렉과 함께 보이지는 않지만 있는 적과 쉐도우복싱 아닌 쉐도우 복싱을 하면서 그냥 접었습니다.

1차 클베는 게임 시스템이 참신해서 다 감안하고 플레이 했었는데, 3차 클베까지 왔으면서 렉을 전혀 못잡는다는게... 제 컴터가 구린것도 아닌데 컴터가 비명을 지르는거에 짜증나서 못하겠더군요. 금광에 금이 있다고 툴팁엔 뜨는데 금이 젠되지 않는등의 버그는 빈번하게 발생하고요.
15/07/22 20:10
수정 아이콘
네 최적화 문제는 꼭 이뤄져야 할거 같아요 일단 게임 자체가 사람들이 많아야하는 게임이기 때문에 말이죠
15/07/22 20:16
수정 아이콘
그냥 이거 하나만 물어보고싶네요.

재미있나요?
15/07/22 20:26
수정 아이콘
무슨 게임이든 취향따라 호불호가 갈리니.. 뭐라 말씀드리기가.. 협동 플레이랑 시뮬레이션 요소 같은거에 부담을 안느끼신다면 충분히 즐길만한 게임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루빨리
15/07/22 20:30
수정 아이콘
문명이란 이름을 쓰기에 아깝지 않은 게임성이 있습니다. (문명이란 이름을 쓰기에 아깝지 않은 게임이라곤 못하겠네요. 렉때문에...)

처음에는 재미가 없는데 건물 하나 하나 올리면서 시간을 버리는 재미를 얻게 되죠. 크...
이홍기
15/07/22 21:31
수정 아이콘
와 후기만 보면 엄청 재밌어보이네요!
코카스
15/07/22 21:56
수정 아이콘
사정상 초반 하루 이틀 정도만 해서 후반부를 해 보지 못했는데 일단 기대는 됩니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건 케릭터 조작이 좀 불편하다고 해야 하나 저한테는 좀 어려웠습니다.
라라 안티포바
15/07/22 22:33
수정 아이콘
오...현지화(?)에 대한 걱정과 우려가 있었는데
이정도면 꽤 잘 뽑힌 것 같습니다.
15/07/23 00:10
수정 아이콘
기존 온라인 게임과 다르게 매번 레벨이나 아이템, 재산 등이 초기화되는 방식인가요? 재밌겠네요
15/07/23 12:43
수정 아이콘
네 세션이 끝나면 새로운 세션이 시작됩니다 그리고 이전 세션에서 성장시킨만큼 보상이 들어오구요
티오 플라토
15/07/23 01:04
수정 아이콘
중국으로 플레이했던 유저입니다. 저는 마지막날에만 제대로 게임했는데, 개인적으로는 정말 재미있었어요.
플레이의 큰 부분이 길드 중심으로 돌아가지만 길드 가입은 길드탭 열어서 그냥 신청누르면 바로 가입되는 부분이라 편했고
나름 중국 대형길드 길마끼리 레이드콜을 하면서 작전회의를 통해 서로 공략 지역과 길드 규모에 따라 병력 편성했다는 걸 듣고 정말 인상적이었어요.
탱크 타고 적 방어시설 다 밀어버리면서 진격전하는 것도 재밌었구요.
결국 로마랑 피터지게 싸우는 와중에 이집트가 문화승리해버리긴 했지만, 이집트가 전략을 잘 세운 것 같아 져도 아쉽지는 않네요.
외교 시스템이 없는 점, 렉이 있었다는 점 등이 아쉬웠지만, 이정도면 돈주고 즐길만 하다고 생각해요.
15/07/23 06:55
수정 아이콘
저도 시스템 자체는 좋았는데 조작감이 별로 좋지는 않았어요. 인터페이스도 약간 불편하고 오픈베타에서는 얼마나 개선 될지는 궁금합니다.
흑백수
15/07/23 11:21
수정 아이콘
아, 바빠서 파이날에 참가를 못했네요.. 흑흑..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7350 [기타] 킹오파 95 20주년 [56] minyuhee9693 15/07/30 9693 2
57349 [LOL] 윈터 시즌, 어떻게 진행될까요? [47] 다크템플러8672 15/07/30 8672 2
57348 [스타2] 2015년 7월 넷째주 WP 랭킹 (15.7.26 기준) - 조성주, 상처뿐인 1위 [4] Davi4ever5453 15/07/30 5453 1
57347 [스타2] 최병현 선수...그리고 PRIME 힘내세요 [58] 골든봄버9692 15/07/30 9692 8
57346 [하스스톤] 7번째 난투 너무나도 불안정한 차원문이 시작되었습니다. [44] 환상9826 15/07/30 9826 0
57345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8강 B조 결과 및 내용요약 [21] 쿠우의 절규7860 15/07/29 7860 3
57344 [기타] [WOW] 와우 PvP, 하지 않겠는가? (3) 전장으로!! -2- 거점 전장 [9] Heroes7624 15/07/29 7624 2
57343 [기타] [WOW] 와우 PvP, 하지 않겠는가? (3) 전장으로!! -1- 깃 전장 [11] Heroes9401 15/07/29 9401 2
57342 [스타1] 임이최X 택뱅리쌍 콩의 데뷔후 전적 [57] 전설의황제13494 15/07/29 13494 4
57341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8강 2일차 Preview [8] JaeS6170 15/07/29 6170 2
57339 [기타] 일관성이 좀 희미해진듯한 OGN 편성표 [12] Tad9504 15/07/28 9504 1
57338 [스타1] 트위치 테켄크래쉬에 나왔던 스타1 리그 BGM들 [6] SKY9213281 15/07/27 13281 5
57337 [히어로즈] 히어로즈 리그 이야기 : 온게임넷 슈퍼리그 최종 진출 8팀 소개 [31] 은하관제9203 15/07/27 9203 5
57335 [LOL] (스포주의) EU/NA LCS 9주차 추천 경기 [15] 에스퍼란자6108 15/07/27 6108 7
57334 [LOL] 시즌5 서머 시즌 7월 4주차 정리 [16] 류시프6108 15/07/27 6108 4
57333 [하스스톤] 지금까지 공개된 신규 마상시합 카드 정리 [40] 탈리스만11722 15/07/27 11722 1
57332 [기타] 만렙 확장을앞둔 메이플2의 암울한현상황 [65] 태랑ap11599 15/07/26 11599 6
57331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8강 A조 결과 및 내용요약 [16] 쿠우의 절규8084 15/07/26 8084 3
57330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8강 1일차 Preview [11] JaeS6035 15/07/26 6035 1
57329 [LOL] 포스트시즌 진출팀 예상 [48] CoNd.XellOs9058 15/07/26 9058 1
57328 [LOL] 새로운 스타가 필요한 LCK [44] CoNd.XellOs10113 15/07/26 10113 0
57327 [문명] 영국의 미학(1) 스타팅 설정 [17] 잘생김용현15734 15/07/26 15734 8
57326 [LOL] 더욱 강해지길 기대하며, SKT T1의 롤드컵 진출을 축하합니다. [40] Vesta9081 15/07/26 9081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