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1/12 15:36:14
Name 영웅과몽상가
Subject [기타] [스타1] 몽군 대 박준오
글이 너무 길어질까봐 글을 다시 적는 영웅과몽상가입니다.

박준오와 몽군을 개인적으로도 기대를 했던 것은 사실입니다.

왜냐면 번번히 높은 무대에 가기전 몽군을 좌절시키고 높은 자리를 차지했던 것이 바로 박준오였기 때문이죠.

다전제에서 실제로 몽군은 박준오를 소스파에서 이겨본적이 없는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 와중에 김봉준에 의해서 결국 박준오와 몽군의 매치는 성사되었다고 할 수 있죠.

이 두 선수들은 만날 때마다 치열한 경기를 펼쳐왔습니다.

물론 거의 다 경기는 공식전에서는 박준오가 이겨왔지만 온라인 상에서는 반반일 정도로 팽팽하다고 하더군요.

결국 첫 다전제는 박준오가 2:1로 힘겹게 승리.

최종전에서 만난 몽군 제대로 칼을 갈면서 벙커링 성공을 통해서 1세트를 따냈죠.

2세트 매치포인트 정말 박준오의 운영이 너무도 빛난 한판이었습니다.

마린을 끊어먹는 거하고 러커의 적절한 배치를 통한 수비를 통해서 2세트 탈취.

마지막 운명의 3SET 드디어 몽군은 주사위를 던집니다.

몽군의 선택은 5배럭 하필이면 박준오는 이것을 저글링 2마리를 집어넣음으로써 본진 정찰에 성공.

박준오는 본진에 7성큰 건설을 통한 뮤탈흔들기와 히드라 2기를 빼놓음으로써 11시 3가스 확보에 성공합니다.

이 때 주요했던 것은 몽군이 무리한 부분도 있긴했으나 테크를 다시금 올려놔서 11시를 치기위한 탱크를 확보합니다.

다시 탱크와 마메의 진출. 11시가 운명의 키를 쥐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힘겹게 언덕을 지키던 박준오 결국 디파일러의 타이밍 부재로 인해서 12시를 빼앗기고 경기는 급속도로 몽군에게 기울게 됩니다.

하지만 박준오는 불리한 것에 머물지 않고 9시 멀티와 5시 멀티를 성공시키지만 이미 몽군은 12시 확보와 9시 가스견제 그리고 5시를 밀어내지는

못했지만 견제를 통해 압박에 성공합니다.

그리고 마인매설을 통해 시야를 차단하는 것으로 레메를 시전하죠.

박준오의 멀티테스킹이 돋보였던 게 당하는 와중에도 3시 견제와 정말 그전에도 투혼에서 나왔던 미칠 듯한 울트라와 퀸의 활용 등등 박준오의

힘은 가스의 부재로 인해서 떨어지긴 했지만 그래도 정말 이번 경기는 대단했습니다.

솔직히 몽군과 박준오의 구도는 개인적으로는 염보성 대 박준오만큼 다시금 기대가 되네요.

이 경기후 몽군은 박준오를 떨어뜨린 것에 대해서 아쉬움을 전했습니다.

자기가 박준오의 몫까지 해낼 것이라고...

P.S 몽군과 박준오 리매치 어떤 경기가 나올 지 기대가 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1/12 16:51
수정 아이콘
이런 경기는 어디서 열리는건가요? 다시보기는 어디서 가능하죠?
14/01/12 17:03
수정 아이콘
소닉스타리그입니다. 아프리카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하늘이어두워
14/01/12 17:03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tv bj소닉이 개최하는 리그입니다.
인터넷방송리그치고는 메인스폰서도있고 오프라인스튜디오도 있습니다. 퀄리티가 상당해요. 다시보기는 유투브소닉채널에 vod업로드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 그리고 아프리카에서 소닉님이 계속 재방송을 틀고있구요
하늘이어두워
14/01/12 17:05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에는 이번시즌 몽군이 뭔가 해낼것같더군요. 새벽까지 방송을하면서 연습하던테란은 몽군이유일하던..
김장독
14/01/12 17:14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생각인데 소닉은 경기적인 해설은 안했으면하는... 경기가 소닉으로인해 질떨어져 보일떄가 많아서
14/01/13 11:20
수정 아이콘
김태형 해설 목소리 나오다가 소닉 목소리 나오면 왠지 싼티가 크크
14/01/12 18:30
수정 아이콘
박준오가 광탈한건 충격이었죠.
침착한침전
14/01/12 21:32
수정 아이콘
제가 아프리카에 예전부터 있던 선수들을 잘 모르는데
몽군이라는 선수가 잘하더라구요. 염보성이나 여타 유명 테란과 비슷한 정도인거 같습니다.
14/01/12 22:04
수정 아이콘
몽군이라는 선수가 예전에 데뷰전에서 몰수패당했던 CJ 선수 맞나요? 이름이 비슷했던 것 같은데..

LOL은 SKT 팬이지만 스1은 오랫동안 CJ팬이었던지라 그때 많이 안타까웠는데 아프리카에서 빛을 보고 있다니 반갑네요.
영웅과몽상가
14/01/13 01:59
수정 아이콘
내 맞습니다. 몽수패라는 오명을 쓰기도 했죠. 그러나 지금은 아프리카의 이영호라고 불릴만큼 뛰어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288 [LOL] 훌륭한 꿀의 표본이로군 [49] 향냄새12381 14/01/21 12381 2
53287 [도타2] 추천 서포터 영웅 or 서포터로 사용하는 영웅 [14] Quelzaram14768 14/01/21 14768 0
53286 [LOL] 심심해서 쓰는 롤 관련 주저리 [119] 주환14606 14/01/21 14606 2
53285 [LOL] 프로 롤 매니저 카드명단 엑셀파일입니다. v1.04 [9] RookieKid8956 14/01/21 8956 3
53284 [스타2] 슬슬 따져보는 프로리그 1R 경우의 수 [18] 저퀴7838 14/01/20 7838 3
53283 [기타] [스타1] 오랜만에 해봤습니다. 재밌네요! [10] 해바라기7357 14/01/20 7357 0
53282 [LOL] 원딜과 생존기에 대해서. [69] 세이젤11007 14/01/20 11007 1
53281 [LOL] 조이럭의 정글도감 진행률 68% 카드입니다. [27] JoyLuck15085 14/01/20 15085 10
53280 [기타] [스타1] 원시토스 [3] 영웅과몽상가8039 14/01/20 8039 1
53279 [LOL] [프로롤매니저] 전체 선수 및 팀 명단입니다. [26] Akhorahil10453 14/01/20 10453 2
53277 [LOL] 정글등급표 우선 작업한 11개 카드입니다. [25] 삭제됨9797 14/01/20 9797 7
53276 [스타2] 2014년 1월 셋째주 WP 랭킹(2014.1.19 기준) - 코드 S들의 급상승! [2] Davi4ever8050 14/01/20 8050 3
53274 [LOL] NLB 13-14 윈터 결승 직관후기 [26] 10136 14/01/19 10136 0
53273 [스타2] 군단의 심장 2.1 패치가 1월 22일(수)에 됩니다. [16] 민트홀릭11290 14/01/19 11290 0
53272 [LOL] 1월 19일 긴급 패치노트 적용. [6] Leeka9474 14/01/19 9474 0
53271 [LOL] 최초의 2회우승이 걸린 승부!. 오존 VS SKT 결승 프리뷰. [47] Leeka10988 14/01/19 10988 1
53270 [기타] 안녕하세요. PGR 여러분 워3 선수였던. 노재욱입니다. 먼저 진심으로 죄송하다는 말을 전해드리고 싶어요. [15] 노재욱16522 14/01/19 16522 11
53269 [스타2] PGR21 Starcraft2 Team League(PSTL) Pre-match [11] azurespace8203 14/01/19 8203 2
53268 [LOL] 결승전에 가져갈 피켓(?)을 만들었습니다. + 잡담 [25] 장인어른8974 14/01/19 8974 1
53267 [기타] [WOT] 월드오브탱크 코리안 리그 2013-2014 최후의 결승전 [8] Quelzaram8170 14/01/18 8170 0
53263 [기타] 배너 사가 리뷰 [9] 저퀴17099 14/01/18 17099 0
53262 [LOL] 배치고사 안녕들 하십니까. [66] 다이아1인데미필12794 14/01/18 12794 2
53260 [LOL] 롤 마스터즈 레딧 반응 [72] 장인어른14711 14/01/18 1471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