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10/31 15:57:27
Name Tail
Subject 스타크래프트 2 Q&A 19번째
배틀넷 RTS 커뮤니티 매니져 Karune가 커뮤니티로부터 질문을 모아 개발자에게서 답변을 받는 Q&A 19번째 분량입니다.


개발진과의 대화: 테란 코브라가 프로토스 스테이시스 오브의 느려지는 기술을 가져간 이후로, 프로토스 오브는 역장(Force Field) 기술을 포함한 몇 개의 새로운 기술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는 초반 팀 게임에 있어서 굉장히 흥미로운 변경이었는데, 이제 상대의 병목 구간에 역장을 사용하여 지원군이 같은 팀을 도우는 것을 막을 수 있는거죠. 보다시피, 개발진은 각기 유닛들에 여러가지 능력을 테스팅중이며, 심지어 기사단은 예전의 환영(Hallucination) 기술을 돌려 받기까지 했습니다.


1. 프로토스에게 유닛이나 건물을 복구시킬 방법을 줄 계획이 없나요?

전투를 벗어난 경우 보호막의 재생 속도가 오리지날 스타크래프트의 두배가 되는 지금으로썬 프로토스에게 어떤 회복 기술도 줄 계획이 없습니다.


2. 새로운 물리 엔진을 사용했는데, 이제 폭발이 주변에 영향을 주나요? (유닛을 밀어내거나 피해를 주거나, 장식물(doodad)을 파괴하거나 등등)

폭발이 유닛을 밀어내지는 못합니다만, 장식물을 파괴할 수는 있습니다. 사실, 일부 맵에서는 특정 장식물을 파괴하는 일이 꽤나 중요한데요. 왜냐하면 확장 기지나 다른 전술적 위치로 접근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죠. 더 나아가 폭발이 유닛을 밀어내는 것은 유닛이 절벽 아래로 떨어져 예상치 못한 위치에 끼이거나 아니면 플레이어가 조종할 수 없는 위치에서 방황하게 만드는 등은 게임 플레이와 밸런스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기에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3. 유닛을 컨셉 단계에서 플레이 가능한 유닛으로 만드는데 보통 얼마나 걸리나요?

컨셉이 완료된 이후로 게임에 유닛을 만드는 일은 몇 일에서 길게는 몇 달까지 걸립니다. 이 시간의 길이가 얼마나 길어지는가는 다른 개발 목표와 유닛간의 우선 순위와 유닛을 완벽하게 다듬기 위한 반복에 달려 있습니다. 저그 베인링은 컨셉을 완료한 이후 고작 몇 일만에 만들어진 예이며, 프로토스 추적자는 여러번의 반복 끝에 만들어졌기에 4~5달이 걸렸습니다.


4. 공식 사이트에 올라온 유닛들은 확정된 것인가요, 아니면 지금 시점에선 어떤 것이라도 바뀔 수 있나요?

아직 개발진은 스타크래프트 2의 개발 단계에 있기 때문에 웹사이트에 올라온 어떤 유닛도 100% 완료된 것은 아닙니다. 우린 여전히 스타크래프트 2를 최적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몇몇의 새 유닛, 기술, 메커니즘을 테스팅중입니다.


5. 프로토스는 뭘 먹나요? (그리고 어디에서 에너지와 육체가 만들어집니까?)

프로토스는 햇빛이나 급할 때는 달빛(햇빛이 반사된 것이지만 어쨌건)을 피부로 흡수해서 영양을 얻습니다. 햇빛 없이도 장기간 생존할 수도 있죠. 필요한 약간의 수분 역시 피부로 흡수됩니다.


출처 - http://www.battle.net/forums/thread.aspx?fn=sc2-general&t=60845&p=1&

이전의 Q&A 번역은 http://www.sc2forum.kr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10/31 16:13
수정 아이콘
프로토스가 달빛을 흡수할 수 있군요... 로템보다 루나에서 강력한 이유는 그것인가요?^^
삐꾸돼지
07/10/31 16:17
수정 아이콘
5번 질문은 좀 ;;
꿀호떡a
07/10/31 16:22
수정 아이콘
아하. 어렸을적 바라본 다알빛..(...)
은빛사막
07/10/31 16:35
수정 아이콘
꿀호떡님의 리플을 보면서 나도 모르게 흥얼거리며
문득 떠오르는 한 사람
=ㅅ=
수험생
07/10/31 17:04
수정 아이콘
전투를 벗어난 경우 보호막의 재생 속도가 오리지날 스타크래프트의 두배가 되는 지금으로썬
-> 오 감사합니다...
信主NISSI
07/10/31 18:03
수정 아이콘
이야.. 프로토스는 이슬만먹고사는구나...
허저비
07/10/31 18:45
수정 아이콘
광합성...? -_-
알프레도흥부
07/10/31 18:48
수정 아이콘
밸런스를 어떻게 기준으로 잡을건지가 궁금하네요 불과 몇달전만 하더라도 토스로 저그이기기가 너무 힘들다는게
여론이였는데 이제는 그런말이 쏙들어간 상태라. 만약 몇년전에 블리자드가 토스업그레이드를 해줬다면 역사가
바뀌었겠죠
07/10/31 21:49
수정 아이콘
대신 디파일러 플레이그 맞으면 2배로 빨리 깎이겠지요
信主NISSI
07/10/31 22:13
수정 아이콘
음.. 플래그는 실드엔 영향없는데... 어느게 더 손해일지...
Judas Pain
07/10/31 22:59
수정 아이콘
휴식시 실드*2배속은 멋지군요. 언젠가 전투중엔 이젠 실드 안찬다는 루머를 듣기도 했는데 리스크로 전투중엔 안찬다던가 하는건 없으면 좋겠습니다. 그거 은근히 크거든요.

그나저나 단순한 열에너지가 아니라 햇빛과 수분을 통해 소규모 핵융합을 일으켜 폭발적 에너지를 얻는다고 해야 프로토스의 강대한 초능력과 육체적 힘이 설명이 될것 같은데... 나메크인?
07/11/01 12:37
수정 아이콘
식물의경지~!~!?프로토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714 허허......이런 사건이 일어나기도 하네요. [41] 리콜한방9711 07/11/05 9711 0
32713 [공지] 질문/게임뉴스 게시판 글쓰기 권한 변경 안내 anistar4162 07/11/05 4162 0
32712 곰TV 4강. 김택용 VS GO 출신 우승자 매치. 3라운드. [55] Leeka5960 07/11/05 5960 0
32709 이번 MSL 4강은 최고의 밸런스가 아닌가 싶네요. [32] 彌親男6484 07/11/05 6484 0
32708 2006년에 논란에 중심에 있었던 마재윤 선수 [46] 펠릭스~7026 07/11/04 7026 0
32707 스타크래프트2 트레일러에 숨겨진 이스터 에그 [10] Mercury5866 07/11/04 5866 0
32706 엠겜 팬 입장에서 본 오늘 프로리그 경기 [8] ls5793 07/11/04 5793 0
32705 꼭 봐야할 스타 명경기 - 베스트 Terran vs Protoss 전 (추가) [53] 리콜한방7589 07/11/04 7589 0
32704 2007.11.04일자 PP 랭킹 [3] 프렐루드4801 07/11/04 4801 0
32703 온게임넷의 피크는 이윤열 대 마재윤의 결승전... [88] 레모네이드9598 07/11/04 9598 0
32702 사람들이 이제는 조별리그보다 토너먼트를 원하네요. [28] 유라시아5336 07/11/04 5336 0
32701 서지훈 VS 김택용 예고 [서지훈편] [11] UZOO5746 07/11/04 5746 0
32700 XellOs[yG], 퍼펙트 테란. [3] zephyrus4514 07/11/04 4514 0
32699 [명맵,명경기] 그 날의 감동을 다시 한번… #.2 루나_당신은골프왕 : 박태민vs이윤열 [15] 점쟁이8451 07/11/04 8451 0
32697 높은 곳에서의 당신의 모습, 반갑습니다. [6] .JunE.5071 07/11/04 5071 0
32696 [알림] 11월 신규 평가위원 명단. [7] 메딕아빠4173 07/11/03 4173 0
32695 엠비씨 게임 스토리.. [32] 바람이시작되6254 07/11/03 6254 1
32694 낭만의 시대를 살아온 한 사람에게 바치는 글 [10] 블러디샤인4395 07/11/03 4395 0
32693 스탯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완벽함. 서지훈. [10] 뻬파5408 07/11/03 5408 0
32692 세월의 흐름은 영웅들을 잠들게 하고... [6] 하성훈3912 07/11/03 3912 0
32691 "엄마 사랑해요." [10] 지성소4986 07/11/03 4986 0
32690 벌써부터 기대되는 MSL 4강 서지훈 vs 김택용 전 (일정수정) [23] 리콜한방5221 07/11/03 5221 0
32689 MSL 테란 VS 토스전 다전제 연패의 역사. [12] SKY924562 07/11/03 456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