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2/25 02:58:54
Name 2초의똥꾸멍
Subject 본좌들과 일본3웅
오늘의 결승을 보고. 아 시간상으론 어제인가요???

축배(?)를 들며 늦은시각 글을씁니다.

이제 마재윤선수의 본좌검증은 완전히끝낫다고 보여지기에 감히 이런글을씁니다

제 생각일뿐이지만 저는 역대본좌(이윤열-최연성-마재윤) 이 3명을

일본 3웅에 비유하고싶네요.

가장먼저 본좌다운본좌의 시대를연 이윤열.

그를 오다노부나가에 비유하고싶습니다. 기상천외한 전투방식

' 조총을 3대로 편성한 전투방식이었나요? 당시로선 획기적' 인 용병의

'천재'노부나가 와 프리스타일의 '천재'이윤열

그의 권력을 그대로 흡수해 일본을 통일하고 더욱 막강한 포스(?)를 내뿜어 조선정벌 더나아가 명나라정벌을꾀함, 꾀주머니였던 도요토미

'테란의강력함을 그대로 흡수한체 그만의 방어능력으로 더욱 막강한 포스를내뿜어 MSL3회,스타리그 2회 제패' ' 단순한 힘쏀 테란 같지만 알고보면 여우가 따로없는 그의 지능형플레이'

천천히 때를 기다려오다 도요토미가 죽고 ,  세키가하라 전투로 도요토미 잔당 격파한뒤 에도 막부를 연 도쿠가와.

'테란에 눌려 떄를기다려온 저그,   '슈퍼파이트 이윤열전, MSL 최연성전 , 신한은행3 이윤열전'으로 본좌의 자리를 굳힌 마재윤.

저만의 느낌일지는 모르겟으나

지금까지는 꼭 이대로 흘러온거같네요~

저는 이렇게 생각하지만 다른분들이보기엔 억지일려나..

아무튼 그냥 생각나서 써봅니다.

과연 마재윤은 마지막 본좌엿던 이에야스처럼 장기집권이가능할까요??

궁금해지는 오늘 하루였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2/25 03:06
수정 아이콘
그럼 아케치 미츠히데는...
pennybest
07/02/25 03:40
수정 아이콘
헉..제가 가진 지식이 모자라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일본 3웅 중에 이토히로부미가 들어가지 않나요. 우리 나라엔 고통의 역사를 안겨준 장본인이지만, 그렇다고 들었었는데...
그래서 안중근 의사가 더욱 대단한 분이라 들었었는데...
하기사 이런 기준이야 정하는 사람이 잡는 기준에 따라 변하는 것이긴 하지만요^^;

제 답글로 인해 밑으로 삼천포로 빠지지 않기만을 바라며..(글쓴분께 죄송합니다. 궁금해서..)
체게바라형님
07/02/25 05:17
수정 아이콘
일본의 3웅이라 하니 반감이 확 오는데...
07/02/25 08:59
수정 아이콘
저 역시 일본 3웅이라 하면 도요토미 히데요시, 오다 노부나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먼저 생각나긴 했습니다만, 아무래도 일본 3웅이라기보다는 3명 모두 동시대를 살아간 만큼 전국시대 3웅이란 말이 더 적절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스루치요
07/02/25 11:42
수정 아이콘
이에야스가 장기집권을했나요?? 60살넘어서 처음으로 넘버1이 된 이후에 1~2년있다가 죽은걸로아는데요...???
스루치요
07/02/25 11:43
수정 아이콘
히데요시랑 이에야스는 몇살차이나지도않습니다.. 히데요시가 훨씬 장기집권했죠
Shearer1
07/02/25 11:59
수정 아이콘
이에야스 본인이 장기집권 했다기 보단 에도막부를 열었으니 가문이 장기집권을 한걸로 봐야겠고 글쓴분도 그걸 말하고싶으신듯
우아아아
07/02/25 12:17
수정 아이콘
이토히로부미는 아니죠..
팍스랜덤
07/02/25 13:36
수정 아이콘
이에야스가 천하를 잡은건 61~2세 무렵이었죠. 다만 이에야스는 80이 넘게 살았습니다. 노부나가가 `인생 50년~~` 이란 노래를 즐겨 부르던 당시
일본은 50년이면 평균수명(무사기준) 이었습니다. 이에야스 정말 징허게
오래 살았죠... 아들도 4명이나 앞세우고... 히데요시는 50세 즈음에 정권을 잡았으나 60대 중반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굳이 집권년도로 따진다면
이에야스가 훨씬 길죠... 물론 세이이대장군 자리는 몇년 이따가 물러났지만 삼남이 대장군이 된 이후에도 실질적인 일본의 지배자는 이에야스
였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622 임요환 선수는 은퇴하지 않은 아직 현역선수입니다!! [53] goodtime4445 07/02/26 4445 0
29621 내가뽑은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3 BEST10 [5] 메렁탱크3873 07/02/26 3873 0
29620 제4대 본좌냐? 스타크래프트 3세대의 서막이냐? [3] 아유4107 07/02/26 4107 0
29619 가림토....그가 돌아온다..........!!!!!!!!!!!! [19] 잠신4560 07/02/25 4560 0
29618 이번 곰TV MSL 결승전이 가지고 있는 의의. [11] 김광훈3840 07/02/26 3840 0
29617 [알림] 신한스타리그 3차 결승전 이벤트 최종결과 발표. [64] 메딕아빠6756 07/02/21 6756 0
29616 마재윤의 시대 - 임요환을 넘어서 [44] S&S FELIX6468 07/02/26 6468 0
29615 2007년 2월 SR게임환경 지수 [21] 수퍼소닉4433 07/02/26 4433 0
29614 왜 이윤열 선수의 기량이 전부 발휘되지 않았다는건가요? [39] AgainStorm4575 07/02/26 4575 0
29611 마재윤의 현혹을 이겨내라...이윤열의 1배럭 더블... [3] 뜨와에므와4668 07/02/26 4668 0
29610 다전제에서 마재윤을 이길 테란? [28] hysterical4992 07/02/26 4992 0
29609 마재윤은 임요환이 될수 없다?! [113] hysterical5784 07/02/26 5784 0
29607 [PT4] 방송 할 2차 예선 경기 순서 입니다. (방송 종료) kimbilly4107 07/02/25 4107 0
29605 마재윤선수의 강점은 '흔들기 -상대방의 실수 유발' [16] 냠냠^^*4903 07/02/25 4903 0
29604 프로리그와 스타리그 그 광고효과에 대한 잡설.. [8] 저그최강 박태3857 07/02/25 3857 0
29602 만약에 패치가 되서 안쓰이는 유닛이 쓰이게 되었을 때 밸런스는 어떻게 변할까요? [26] 자유로운3847 07/02/25 3847 0
29599 이번 스토브리그에는 영입이나 트레이드가 활발히 이루어지면 좋겠습니다. [30] sinjja3963 07/02/25 3963 0
29598 스카우터가 있다면 측정하고 싶은 선수 [26] 김연우7739 07/02/25 7739 0
29597 마재윤선수의 뜬금없는러커.. [8] 가나다5566 07/02/25 5566 0
29595 티원도 이번 마재윤 선수 우승을 보고 '선택과 집중' 좀 그만했으면 합니다. [36] 김광훈6727 07/02/25 6727 0
29594 논란의 여지가 많은 김택용 선수의 태도 [45] 발업리버8517 07/02/25 8517 0
29593 김택용 선수, 당신을 무시하는 사람들에게 보여주세요. [30] 거품5052 07/02/25 5052 0
29591 김택용 선수에게 조언, 1경기에 목숨을 걸어라!! [28] 김광훈4336 07/02/25 433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