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1/03 17:23:38
Name Firehouse
Subject 99년 스타크래프트 이야기 III
모든게 지나고 나면 다 추억이 되는것 같습니다. 당시에는 몰랐지만요.

고작 7년 정도 전의 일인데 무슨 회고록 쓰듯 쓰는것도 이상하지만,

그것보단 아직까지 머리속에 나름대로 저장 되어있는 걸 보니

그 때 스타 열심히 하긴 했나봅니다.



그럼, 이번에는 99년 중순 쯤 열렸던 게임대회에 대해서 써보겠습니다.


제가 게임대회라는 걸 처음 본 게(동네 피시방 대회 말곤;;) 하이텔배 KPGL 인가 하는 대회였습니다. 직접 가서 본건 아니고(직접 볼 수도 없지만) 이걸 투니버스에서 해줬던걸로 기억하네요.

집에 케이블이 달려 있던 것도 아니기에 전 천리안으로 다운을 받아서 봤습니다.

동영상 용량은 기억 안 나지만 그거 받는다고 하루 종일 통신에 접속했어야 했습니다.

리얼플레이어로 실행되던 그 대회 중 준결승, 결승전을 봤었는데 저그를 사용하던 선수가

플토유저를 누르고 우승해버립니다. 전 그거 본다고 써야 했던 돈이 아까워;; 나중에 그걸 10번이고 넘게 돌려 봤었구요.

그 때도 보면서 이상 했던 게 분명 우승자 나이가 많아 봐야 20살정돈데 30대로 소개가 되었습니다. 후에 엄재경 해설이 하이텔에다 후기를 남길 때 우승한 선수가 딴 사람 신분증으로 대회에 참여했었다고 나왔죠;;

엄재경 해설이 당시에 하이텔에서 많이 글도 남기고 그랬었는데 자주 남겨주던 대회 후기같은게 참 재밌었습니다. 알지 못 하는 대회 뒷얘기들,

예를 들어, 선수들 컴퓨터가 놓인 책상이 탁구대를 붙이고 그 위에 천을 덮어 만들었고 컴퓨터는 어디 사무실에서던가, 하여튼 어디서 쓰던 것을 공수해온거라는 등 대략 재밌는 내용들이었죠.

이 후에도 가끔가다 투니버스에서 게임대회를 중계방송 했었는데 그 때쯤 저희집에도 케이블이 연결돼 자주 시청을 했었습니다.


대회 이름은 기억이 안 나지만 St.Eagle 이라는 테란 쓰는 유저가 우승한 대회였습니다.

전 테란에 대해선 래더에서 쓰는 기본적인 수준 정도만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 선수의 경기를 보고 난 후 상당한 재미를 느꼈었습니다.


간단하게 얘기를 하면, vs 플토와의 결승전이었는데 벌쳐 몇기로 일꾼 다 잡고 전투를 몇번 하지 않은 채 경기를 일찍 끝내버렸습니다. 사실 마인이라는 거에 대해서 별로 개념이 없던때라 해설하시던 분(아마 정일훈씨?)도 놀랍다라는 듯한 멘트를 계속 날렸었구요.

온게임넷에서 가끔씩 방송 초창기 대회를 다시 재방해주곤 하던데 이것도 있을려나 잘 모르겠군요.

그 외에도 배틀탑, 데미소다배(?), KPGL, APGL, 무슨 신문사에서 주최했던 월드 머시기 대회등등 나름대로 굵직했던 대회가 자주 열렸었습니다.

배틀탑은 제가 몇판하다 재미를 못 느끼고 때려쳐 간간히 잡지에 나오는 소식만 들었는데
대회진행 방식은 래더시스템과 많이 비슷했었습니다. 내가 이기면 내 점수가 올라가고 지면 깍이고, 단지 차이점은 래더는 1000점부터 시작하는 만면 배틀탑은 0점부터 시작했다라는 정도...

아직 PC BANG 이라는 잡지를 가지고 있는데 표지모델이 김창선씨군요;;

9월달 배틀탑우승과 8월에 열렸던 브루드워 월드챔피언쉽 기사와 함께 말이죠.

저기 마지막의 월드 머시기 대회에서는

기욤과 빅터마틴이 한국에 와서 참가를 했었는데 기욤이 2등을 했었을 겁니다. 이 대회는 상금이 굉장했구요.

대략 이 정도가 제가 기억하는 메이저급 대회였고 사실 더 많이 있었는데 제 머리가 그 정도로는 좋지 못하네요.



이 밖에, 제가 부산에 살았었는데 여기저기서 피시방 오픈한다며 조그마한 대회가 자주 열렸었습니다. 서울은 말할나위 없이 더 했겠죠.



잠깐, 김대기씨 얘기를 하나 할께요.

한창 새벽에 옵저버하며 놀때 Aozora(Aozola?) 라는 id를 자주 봤었습니다.

저도 1300점대 id 들고 씰룩거리며 배틀넷 돌아다닐때 같이 래더도 몇판을 했고 namomo 같은곳에서 만나면 그 분 옵저버 경기도 들어가서 보곤 했었죠.

그러다 그 분이 채팅창에 자기 id 의미를 말해줬는데 아직 기억하는게 일본어로
늘 푸른하늘(?) 정도의 의미였습니다. 김대기씨가 나중에 티비에 나와서 유명해지고

각종대회에 상위권에 입상하면서 결국엔 해설자까지 할 때 자주 기억나더군요, 옛날 여름때 배틀넷에서 자주 봤던 & 래더 할때마다 랜덤으로 나한테 다 이겼던 그 사람;;

그리고 그 뒤 시간이 좀 많이 지나서 온겜넷이 개국하고 무슨 개국기념으로 열렸던 대회에서 결승상대한테 5드론을 먹여서 한판을 따냈던 선수.



또 다른 얘긴, 전 외국애들이랑 겜하는게 그냥 재밌었습니다.

당시 setbnet 이랑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배틀넷 서버를 조정할 수 있었는데 외국애들이랑 할려면 그 서버를 통해서

Clan -x17 이었던가(?) ;; 어쨌든 저런 비슷한 채널에 들어가면 아직 스타를 하는 많은 외국애들을 볼 수 있었죠. 딱히 기억나는 사람은 없지만 X’Ds 라고 옛날 기욤이 있었던 클랜이 있습니다. 스타보단 퀘이크로 더 유명한 클랜이었는데 기욤말고도 그냥 좀 한다라는 게이머가 있었고 가끔 그 게이머의 경기도 보곤 했었습니다.

근데 거기서 다른 클랜간의 팀배틀(?) 정도라고 해야 되나. 그런 경기를 처음 알았었는데 어느 날 X’Ds 의 경기를 볼려고 걔한테 방제랑 비번을 물어봤었는데 넌 못 본다고 하더군요 ;;

어쨌든 걔랑 그렇게 채널에서 볼 때 마다 제가 먼저 hi~ 라고 말하는 편이었는데 웃긴건 그런 외국애들이 kga, namomo 채널을 알고 있더라는 겁니다 ;;

나중일이지만 제가 걔 겜아이도 id도 만들어주고 그랬습니다. 근데 몇판하더니 그냥 안하더군요.;;




그럼 마지막으로 KBK 얘기를 해볼께요.

99년 말인지 2000년 초인지 헤깔리지만 99년 말쯤에 블리자드에서 주최하는 대회가 하나 열린다는 소문이 있었습니다.

래더라는것 자체가 사실 실력을 증명하는 기준으로써의 힘을 많이 잃었고 저 또한
서서히 지겨워 지기도 했으며 별로 성취욕도 못 느끼고 해서 스타를 한참 미칠 만큼 하던때의 반도 안 할때 였습니다.

그게 대략 99년 말 쯤이었죠. 투니버스에서는 99 PKO 가 한창 진행 중 이었고 저도 정말 재미있겠 봤었구요.

그 쯤에서 KBK 라는 또 하나의 세계대회가 열립니다.

대회 시스템은 KBK 에 등록을 한 선수들에 한해 이전 래더와 비슷한 시스템을 통해서 약 2개월 동안의 점수를 토대로 상위 128명을 뽑아 오프라인 본선을 치르는 것이었죠.

제 기억으론 2000년도 들어와서인가, 배틀넷 서버가 4개로(Asia, east, west, europe)
갈렸는데 KBK는 그 바로 직전이었습니다.

참가비가 만원이었나;; 어쨋든 돈 입금하자마자 전 바로 시작을 했었습니다.

래더 2시즌처럼 어뷰징&치팅 등등을 막아줄 수 있는 보조장치가 지원 되었고

뭐... 결과론으로 따지면 아무 소용이 없었지만 말이죠.

개인적으론 KBK 를 통해서 많은 옛날 외국고수를 만났었는데 zileas, kain-the-feared, 빅터마틴, crazyjim~lizard, jolly, d23-gad 등등 과거 래더토너먼트에 올랐었거나 나름대로 한때 유명했던 게이머들이었습니다.

사실, 예선에서 높은 점수 쌓아서 랭킹이 높아지는 것보다 유명했던 외국고수와의 게임이 더 재밌었습니다.


한번은 질리아스라는 초창기 때 프로토스로 굉장히 유명했던 외국고수를 만났었는데
저는 당시에 얘가 더 이상 게임을 안하는 줄 알았습니다. 신기해서 짧은 영어로 이것저것 물어보기도 하고 했었는데, 아무튼 첫판을 졌었습니다. 또 하자고 했죠.

걔에 비해 제가 점수가 좀 많이 높아서 그랬는지 그 후에 2판을 더 했습니다. 내리 다 지고 한겜 더하자고 하니 얘가 저한테 4판 연속하면 룰에 걸린다고 담에 하자고 하더군요.

이 후에 걔 id를 가끔 검색했었는데 굉장한 승률을 기록했지만 자기가 게임을 안해서
본선 128등안에는 들지 못하고 그렇게 끝내더라구요.


crazyjim~Lizard 라는 애는 브루드워 1시즌 래더토너먼트, 브루드워 월드챔피언십에 나갔던 고수였습니다. 더욱 잘 기억하는 이유가 뭐냐면...

전 군대 가기 직전에 워크3를 즐겨했었습니다. 이 외국유저가 워3 사상 처음으로 1500승 돌파를 했었고 웨스트 서버에서 굉장히 유명했던 고수여서 이 소식을 처음 접할 때 옛날 스타할때 기억이 나더라구요.

KBK 때 만났었는데 그냥 서로 이기고 지고 했었구요.


어쨋든, 그렇게 2달동안 예선이 진행되었지만 마치 래더2시즌을 보는 듯한,

막판 대량 어뷰징 사태, 맵핵 등등의 잡음이 심했었습니다.

전 실력이 안되 막판에 가서는 본선 노리는 것을 포기하고 외국애들만 찾아다니면서 겜을 했지만 KBK 끝나고 보니 약 200판을 넘게 했더라구요.

덕분에 실력은 또 그 때 많이 늘었었습니다.


저도 그 이후에는 겜큐 자유게시판에 자주 갔었고 겜아이에서 간간히 겜하면서

그렇게 사실상 스타크를 관두게 되었는데


뭐 지금은 그냥 다 추억이 되버렸네요..



이 글을 썼던 이유가 어떤분이 쓰신 "스타의 추억" 이라는 글 때문이었는데 다시 되돌아보니 나름대로 재미도 있었습니다.

읽어주신 분들, 리플 달아 주신분들 전부 감사합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나님
07/01/03 17:26
수정 아이콘
세인트 이글은 메카닉의 아버지 김대건 선수입니다..
마나님
07/01/03 17:28
수정 아이콘
전 지금 기억나는게 하이텔 스타 게담 파란쪽배 김동준 해설이랑 많이 겜 했었지요...(그때도 거의 못 이겼어요..차원이 다르더군요)
07/01/03 17:39
수정 아이콘
질리아스... 전설의 고수 지요.
리드비나
07/01/03 18:16
수정 아이콘
김대건 선수 요즘 머할까여 예전에 저그전 임요환 플토전 김대건이 최고라고 둘을 합친 슈퍼테란 임대건 이런것두 있었는뎅
Copy cat
07/01/03 18:19
수정 아이콘
월드 머시기 대회는 스포츠서울에서 주최했던 대회아닌가요?
우승상금 3천만원이었고.. 장경호란 선수가 기욤을 꺽고 1위를 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07/01/03 18:32
수정 아이콘
저도 그 시대에 고등학생이었지만 스타를 그때는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참 신선하네요. 쓰신 글 재미있게 읽고 있습니다.
07/01/03 19:33
수정 아이콘
김대건 선수는 군 제대 후에 던파 운영진으로 일하고 계신 것 같던데(무슨 일을 하시는지는 기억이 안 나지만..) 지금도 계속 그쪽에서 일하고 계신지는 모르겠네요.
07/01/03 20:59
수정 아이콘
전 대회 쪽은 본적도 없어서 잘 모르지만 나우누리 나모모 게시판에 김대기씨가 올렸던 벌쳐, 터렛, 마인, 탱크 배치 관련글은 아직도 생각나네요. 리버 스틱스랑 건틀렛이 제일 인기있던 시절이었는데...;;
Go_TheMarine
07/01/03 21:21
수정 아이콘
리드비나// 환상의 테란이 아닌가요?? 그렇게 알고 있는데요;;;
kbk하니까 김정민선수가 생각이 나는군요..장경호선수는 저그유저인걸로 기억되는데 맞는지 모르겠네요~
창이♡
07/01/03 22:52
수정 아이콘
헐 3천마넌 ㅡ.ㅡ;; 덜덜 그때당시에 그정도면 기절할 상금이네요
Soulchild
07/01/04 10:15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07/01/06 02:25
수정 아이콘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상금이었죠.. 장경호 선수가 그 대회 우승으로 스타가 되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에서는 제 실력을 보여주지 못하고 3전 전패로 탈락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438 새해인사드려요 pgr21 후로리그입니다 [2] 쉰들러4138 07/01/06 4138 0
28436 A라고 말한 것 과 B라고 말한 것 [5] Supreme4032 07/01/06 4032 0
28435 도토리빵. 어디까지 허용되어야 하나.. [22] Zwei7751 07/01/06 7751 0
28434 [잡담] 안녕하십니까? [4] My name is J4492 07/01/06 4492 0
28433 신한은행 스타리그 3rd Season 24강 6회차 - 시청후기 [24] DNA Killer4981 07/01/06 4981 0
28432 본선과 예선을 동시에 치루면? [5] 信主NISSI5044 07/01/06 5044 0
28431 혼자만의 엉뚱한 상상... 프로리그 [7] Stay There4215 07/01/06 4215 0
28429 시련의 맵은 종족을 강하게 한다. 돌고도는 스타판. [26] 아르바는버럭5723 07/01/05 5723 0
28428 D-2 과연 변수는? [12] 처음느낌4101 07/01/05 4101 0
28426 자! 시즌 3 조별리그 최종전!!! 이제 오늘경기수의 절반이 지났습니다! [379] SKY926609 07/01/05 6609 0
28425 CEG2006 서안(西安) 워크래프트3부문 시작합니다. [41] 지포스24800 07/01/05 4800 0
28423 신한은행 시즌 3 24강 조별리그 최종전! [590] SKY928085 07/01/05 8085 0
28422 간단한 경기 예측모델~~ [14] 펠릭스~4790 07/01/05 4790 0
28421 [스타 엉뚱한 상상] 동물이나 건물을 을 잡거나 부수면 보상을? [16] 보라도리3942 07/01/05 3942 0
28418 스타 방송에 바란다.. [20] 플토는 나의 힘4328 07/01/05 4328 0
28417 [세상읽기]_20070105 [7] [NC]...TesTER4655 07/01/05 4655 0
28416 롱기누스2 명경기는 많이 나온다. [63] rakorn7066 07/01/05 7066 0
28415 온게임넷 스타리그, 6회차를 맞이하는 각 조별 상황. [9] 소현4164 07/01/05 4164 0
28414 20살 [7] 진짜몰라3818 07/01/05 3818 0
28413 강민 선수와 마재윤 선수의 싸이클링 히트? [18] 스타대왕6106 07/01/05 6106 0
28412 [잡설]PGR에 쓰는 첫글이자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글..?! [6] 조용빈3799 07/01/05 3799 0
28411 저그의 무덤...롱기누스...마재윤은 이길수 있을까? [33] 다크고스트6674 07/01/05 6674 0
28395 @@ 게임별 레벨구분에 의한 랭킹샘플 과 2006년 전적데이터 파일. [8] 메딕아빠4259 07/01/04 425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홈페이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