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2/19 09:47:25
Name Coolsoto
Subject 이해해야할 협회..

시끌시끌합니다.

케스파1위에서부터 올해의게이머상, 프로게이머상떄문에요.

처음보면 좀 어이없기도 했지만..

오죽 협회도 이스포츠에 몸담은지 한달지난것도 아니고

팬들의 반응이 예상됨에도 일을 진행시키는건

이 판이 수그러들지 말고 더 커지길 바라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도 듭니다.

케스파1위는 뭐 온겜산정기준으로 살며시 넘겨줍니다.

진정한 1위는 누구인가는 모든 사람들이 다 알고 있기때문에..

그러나 게이머상은 왜 이윤열선수인가..

임요환선수가 입대한 상황에서 활동이 가능하기는 하나 한정적이고

포스트 임요환을 하나 만들어야할 상황에서

최초의 골든마우스, 두터운팬층, 인지도 면에서

그리고 혹시 매각될지도 모르는 팬택팀에 입장에서도

올해의 게이머상을 받은 선수가 있다면 다음의 매각에서도 인수팀에

조그마한 이점이라도 될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조금 엿보입니다.

올해의 프로게임단도 그런 맥락에서 엿보입니다.

창단과 동시에 돌풍을 일으키고 기존 3강에서 팀을 더 넓히고

저변을 확대하려는 의도라고 생각하고 싶습니다.

르까프는 이번에 전국대회 규모의 아마추어대회까지 여는등

이스포츠활성화에 앞장서고 있죠.

그리고 준우승의 오영종선수 프로리그의 확실한 카드 이제동선수의 발굴

프로리그에서의 상위권 등등을 고려한것으로 보입니다..

위의 설명이 맞아도 여타 다른팀과 다른선수들의 활동도

못지않거나 능가하는팀도 있습니다.

그러나 조금 넓게 그리고 멀리 보면 이해해야할 부분도 있습니다.

물론 위의 설명이 맞다고 확신할수도 없고 개인적인 사견일 뿐이지만

위기론이 확산되는 이스포츠판에서는 가능할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듭니다.

열정이 있는 이스포츠..

  계속 이어나가야할 이 판...

이번의 팬텍매각에서 보듯이 언제 없어질지도 모르는 것도

역시 이 판인것 같습니다..

물론 한쪽으로만 보면 이렇습니다만..

또 다른한쪽으로보면 다른해석도 가능하죠...다각적으로 보는 시각이

필요한 때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찡하니
06/12/19 09:50
수정 아이콘
음모론 중에 하나지.. 그게 사실은 아니잖아요..
이런 떡밥이라도 던지지 않으면 심심해 죽을것 같은 스타팬들한테 자기 희생을 한 거라는데 한표 던지겠습니다.
higher templar
06/12/19 09:51
수정 아이콘
포스트 임요환은 팬들이 만드는게 아니고 협회가 만드는 것일까요?
06/12/19 10:13
수정 아이콘
KeSPA 랭킹 1위 산정이야 협회가 한 거니까 깝시다. 사정없이 까여도 쌉니다. 그건 맞아요.

하지만, 이번 "e-sports 진흥상"은 문광부와 스포츠조선 전자신문이 주최한 상이고, 제목에서도 보이듯이 e-sports 진흥에 가장 공로가 크다고 판단되는 대상에게 주어진 상입니다. (그렇다고 마재윤 선수가 e-sports 진흥에 공로가 적었다는 말은 아닙니다.)

이런 점은 이번 게임대상에서 '그라나도 에스파다'가 대상을 받은거랑 일맥상통합니다. 사실 흥행면이나 매출면이나 사용자 면에서라면 스포나 서든, R2 온라인이나 로한이 받았어야 맞습니다. 아니면 부동의 1위인 리니지나 와우가 대상을 받아야 마땅하죠. 하지만 올 한해 우리나라 게임 진흥에 가장 공로가 큰 게임이 그라나도 에스파다였다고 '기자단이' 판단했기 때문에 그렇게 시상한 것이라고 봅니다. (인기상은 서든어택이 받았죠) 즉, 순수한 성적이 이번 시상의 기준이 아니었다는 말이죠. 사실 학교에서 주는 '모범상'도 성적순으로 주는건 아니니까요(거의 성적순으로 주긴 하지만 말이죠)
06/12/19 10:20
수정 아이콘
글쎄요, 포스트 임요환을 만든다는 점이나 팬택 매각 부분은 전혀 공감이 안됩니다..

최고의 프로게이머 상은 말 그대로 최고의 프로게이머에게 주는 상이지 이 판을 넓히기 위해 사용된다면, 혹은 한 팀을 구제하기 위해 사용된다면 그건 아니라고 봅니다.

최고의 프로게이머는 성적으로(혹은 실력으로) 자신을 증명한다는 말은 옛말이 된건가요.

차라리 포스트 임요환 상을 만들면 모를까, 포스트 임요환을 만들기 위해 혹은 팬택팀의 매각을 돕기 위해 상을 이윤열 선수에게 주는 것은 더더욱 안될 거라고 봅니다.
06/12/19 10:37
수정 아이콘
판을 커지게하는데 왜 수상을 조작해야하는건지 그거자체가 말이 안되죠.
이윤열선수가 이제 갓 전성기를 맞는 선수입니까?2006년 올해의 선수상따위 없어도 누구도 대적할수없는 커리어의 선수이잖습니까.
모또모또
06/12/19 10:41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가 이 상을 받았다는 건 강민선수, 한동욱 선수, 오영종선수 이정도급의 선수들도 충분히 받을만한 상이였다는 거군요 도대체 무슨생각으로 2006년 활약 임팩트 다섯손가락안에 겨우 턱걸이한 선수에게 상을 준건지;;;
모또모또
06/12/19 10:47
수정 아이콘
ㅈㅅ 조용호 선수도 이윤열선수보다 좀 낫군요;;
Coolsoto
06/12/19 10:57
수정 아이콘
당연히 팬들이 선수를 만드는건 맞습니다만 기업입장에서는..
You.Sin.Young.
06/12/19 22:55
수정 아이콘
극단적인 표현으로 기업은 팬들이 만들어 놓은 선수를 사용하며 그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런데 기업이 스타를 만들어서 팬들에게 강요해야 하는 상황을 역설하시는 것인지..

언제 기업이 활성화시켜놓은 판에 팬들이 뛰어들었습니까? 우리나라 프로스포츠는 전마빡이가 그렇게 만들었지만 이 판은 그 반대였습니다.

협회 역시 팬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그런데 왜 팬들의 심리에 어긋나는 방향으로 가는 것입니까. 그건 제사 자체보다 그 위에 올려놓은 돈에 관심이 많아서인가요?

글쓴이의 입장을 이해하고 싶으나 주객전도의 상황이라서.. 동감하기조차 속이 쓰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283 스타의 추억..(5) [14] 김성재4755 06/12/28 4755 0
28282 스타의 추억...(4) [9] 김성재4740 06/12/28 4740 0
28281 RKO! RKO! [16] kama6051 06/12/28 6051 0
28278 내 가슴속에 남아있는 뜨거운 마음.. [3] Made.in.Korea4154 06/12/28 4154 0
28277 좀 더 검증된 메이저진출 시스템을 만들어야 합니다. [67] 다크고스트5472 06/12/28 5472 0
28275 이윤열 선수의 몰락과 운영저그의 종말.. [57] 흐르는 강물처9698 06/12/28 9698 0
28274 [잡글] 전 정말 왜 이모양인지.. [20] 이직신4078 06/12/27 4078 0
28273 어떻게 사랑이 그래요?? [5] 음악세계4249 06/12/27 4249 0
28272 MSL 8강에 과연 누가 먼저 올라갈것인가! [25] SKY924439 06/12/27 4439 0
28271 스타의 추억 ...(3) [8] 김성재4075 06/12/27 4075 0
28270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 3 24강 3회차! [374] SKY927959 06/12/27 7959 0
28269 오늘은 뭘 볼까? W3? [177] 코리아범5958 06/12/27 5958 0
28268 즐거운 상상....종족 대 종족전 [17] 어...4368 06/12/27 4368 0
28266 뒷담화를 보고... [47] 남야부리7466 06/12/27 7466 0
28265 [잡담]우리 삼촌은요~ [17] 언뜻 유재석6014 06/12/26 6014 0
28264 스타 뒷담화..정말 마음에 드네요..^^ [46] 토토머10247 06/12/26 10247 0
28263 PGR인들이 솔로탈출하는방법. [83] 스루치요6095 06/12/26 6095 0
28262 오래전의 기억들, 그리고 기욤 패트리.. [19] Sol_Dide4406 06/12/26 4406 0
28260 제10차 MBC무비스 서바이버 시작합니다 [154] 그를믿습니다4946 06/12/26 4946 0
28258 supreme의 엉뚱한 게임토론 - fs2online - [12] Supreme4464 06/12/26 4464 0
28257 스타의 추억.....(2) [15] 김성재4886 06/12/26 4886 0
28256 팀플 슈퍼파이트가 가능할까요...? [22] 소현4749 06/12/26 4749 0
28255 스타의 추억...(1) [13] 김성재4546 06/12/26 454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