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7/12 17:21:31
Name 세이시로
Subject <프로리그를 말한다>-(1)들어가는 말

2003년 출범한 프로리그가 어느덧 햇수로 만 4년째. 2006시즌의 중반을 맞고 있습니다. 1999년부터 시작한 스타크래프트 방송과 프로게임계에 있어 프로리그의 등장은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고 생각합니다. 이전까지 KIGL, KPGL, KPL, 배틀탑, 한게임 서바이벌 프로리그 등 많은 리그들이 존재했었고, 일부는 온게임넷과 iTV에서 방영을 했었고, 또 다른 일부는 공중파를 타기까지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들 중에 지금까지 살아남은 리그는 없습니다. 모두 2001~2002년을 넘기지 못하고 사라져 버렸지요.

스타크래프트 게임계에 뛰어든 선수들, 그들이 속한 팀, 그리고 기업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많은 선수들이 여러 대회에 참가했고, 또 사라지고 잊혀져갔습니다. 또 많은 팀들이 여러 기업의 지원을 받아 우후죽순처럼 팀이 생겨나던 때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이른바 '낭만 시대'의 일이었고, 방송 리그가 나날이 인기를 얻어가고 정립되는 한편 또 다른 쪽에서는 더이상 팀으로서, 게이머로서 존속이 어렵다고 느끼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이 과정 동안 '스타크래프트는 언제까지 갈까?'라는 의문도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습니다.

2006년입니다. 매년 나오던 스타는 언제 망하나? 라는 질문에 사람들은 1~2년 내로 망한다, 혹은 임요환 은퇴하면 망한다, 등등의 답변을 했지만, 리그는 계속되고 규모는 커져만 가고 있으며 임요환 선수도 여전히 게이머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이 상황을 가능케 한 원동력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앞으로도 전망이 어둡지 않아 보이게 하는 힘은 뭘까요?

개인리그는 크게 변한 것이 없습니다. iTV, 겜티비는 문을 닫았고 양대리그 체제가 확고해졌으나 별다른 차이는 없습니다. 2003년 이후 게임판이 달라지게 한 그 뭔가는 바로 프로리그입니다. 물론 프로리그도 처음부터 지금의 지위를 누릴 수 있을 거라고 모두가 생각지는 않았습니다. 팀리그와 경쟁하던 시절이 있었고, 개인리그에 저해가 된다고 여겨지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 프로리그는 양 방송사에서 가장 큰 비중을 들여 방송하는 리그이고, 국내에서 가장 상금이 큰 통년 규모의 대회입니다.

지금까지 프로리그가 걸어온 길을 정리해 보고, 현 시점의 프로리그의 위치와 문제점을 점검해 보며, 앞으로 나아갈 길을 제시해 보는 것이 이 글을 쓰게 된 소박한 목적입니다. 며칠동안 몇 개의 글에 나눠 쓸 것 같고,  본문에서는 경어체를 굳이 사용하지 않을 계획입니다. 올드팬들은 과거를 떠올리는 데 많은 보탬이 되어주시고, 비교적 늦게 보기 시작한 분들은 쭈욱 따라와 주셨으면 좋겠으며, 무엇보다 회원분들의 생산적 논의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또 찾아뵙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7/12 17:26
수정 아이콘
기대됩니다 ^^ 프로리그를 2004년부터 접한 저로써는 2003년때 어떻게 진행이 되었고 그때의 스타판은 제대로 알지를 못합니다. 앞으로 나올 글을 통해서 어느정도 판을 이해할 수 있고 주관적인 견해를 쌓아갈 수 있는 좋은 초석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벨로시렙터
06/07/12 17:38
수정 아이콘
이제 06-07시즌 이후엔 CJ라는 큰 기업이 또 스타판에 뛰어들게 되니, 그때되선 어찌될지,, 또 참 궁금한 이야기입니다 ^^
06/07/12 18:31
수정 아이콘
프로리그가 처음 생긴다고 했을 때 얼마나 오래 갈려나 라는 생각을 가졌던 제가 최근들어 부끄러워지고 있습니다. 모든 구단이 스폰을 잡은 이상 이제부터가 진검승부죠~
백두급호랭이
06/07/12 20:22
수정 아이콘
들어가는말 만보고도 기대되는 글이네요. 빨리빨리 보고싶습니다.허허허
마이스타일
06/07/12 21:29
수정 아이콘
오랜만에 기대되는 연재글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4366 아~~ KTF, 이것이 현실이구나... [37] 저녁달빛5081 06/07/15 5081 0
24365 가장 좋아하는 KTF를 비난하고 싶다 [107] 가승희6288 06/07/15 6288 0
24364 KTF, 이대로 더는 못 참겠습니다. [10] 하얀그림자4576 06/07/15 4576 0
24363 MBC vs KTF 감상평... '흐름'과 '도박'에 관하여 [13] Daydreamer4436 06/07/15 4436 0
24362 다음주 경기가 정말 !! 기대됩니다 :) [11] 3869 06/07/15 3869 0
24361 KTF 포스트시즌의 저주...& MBC VS CJ 전망 [40] 초보랜덤4840 06/07/15 4840 0
24360 금방 끝난 KTF 대 mbc 경기 감상 후기... [39] 김주인5051 06/07/15 5051 0
24358 KTF VS MBC Hero 엔트리 떴습니다!!! [539] SKY929651 06/07/15 9651 0
24357 이런 류의 음악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3rd) [9] rakorn4375 06/07/15 4375 0
24356 이런 류의 음악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2nd) [23] rakorn4254 06/07/15 4254 0
24355 세리에A 스캔들. 결국 최종판결 났습니다. [32] 바카스4859 06/07/15 4859 0
24353 맨유 남아공 투어 일정 및 EPL / 영국 BBC 가쉽 or 단신기사 모음 [ 솔깃한 이야기 -_- ] [27] MaSTeR[MCM]5622 06/07/15 5622 0
24352 미안하다 사랑한다 [16] 한동욱최고V4002 06/07/15 4002 0
24351 [응원글]마재윤! 점수를 쌓자 [35] 호수청년5435 06/07/14 5435 0
24350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공식 홈페이지 / 이적 관련 업데이트 됐네요. [64] MaSTeR[MCM]7970 06/07/14 7970 0
24348 Nuclear launch in Seoul ??? [28] Arata_Striker5659 06/07/14 5659 0
24346 하지원, 황진이 출연 결정 [53] 연아짱7551 06/07/14 7551 0
24345 영화 X-MEN을 더욱 흥미롭게 할(?) 몇가지 이야기 [19] D.TASADAR5810 06/07/14 5810 0
24344 @@ 글과 코멘트로 알아 본 PgR (초간단) 랭크 ...! [12] 메딕아빠4228 06/07/14 4228 0
24343 미국드라마 .. [77] journey216438 06/07/14 6438 0
24342 언젠가 부터 사라진 두근거림... 하지만! [7] 길버그4184 06/07/14 4184 0
24340 누가 유태인을 죽였나? [47] 비롱투유6304 06/07/14 6304 0
24339 [이벤트] PgR21 삼행시 공모전 [4] Timeless4561 06/07/13 456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