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10/16 03:08:33
Name 천재를넘어
Subject '역시'라는 말은.. 이제 듣지 못하는 건가요..
듀얼토너먼트 2라운드 2패로 탈락 후 피시방 예선으로..!
서바이버리그 조별 풀리그 2패로 탈락 후 피시방 예선으로..!

여러분은 이윤열 선수의 수식어중 어떤 말을 가장 좋아하나요?

천재? 토네이도? 토네이도라는것은 정감이 안가지만 천재라는 말은 정감이 갑니다.

그렇지만 제가 정말 좋아하는 '이윤열' 하면 떠오르는 수식어는 '역시' 이죠.
역시 이윤열..! 앞마당 먹은 이윤열..! 아.. 상대 선수 gg인가요!
정말 많이 듣고 또 좋아하는 말입니다.
특히 전용준 캐스터가 '역시 이윤열! 이래야 이윤열 답죠. 이게 이윤열 스러운거 아닌가요?!' 하는 말을 들을때면 절로 미소가 나옵니다.

그런데 요즘 이윤열 선수에게 어울리는 수식어는 어떤 것일까요?

'양대 피시방 리거'

정말 충격입니다.. 충격이 너무 커서.. '나 스타 접어야 되나.. 스타리그 못보는건가..'
몇달전 박지호 선수에게 진 뒤 스타리그에서 이윤열 선수를 못보게 되서 정말 스타리그 보기 싫었습니다.. '이윤열 없는 스타리그 어떻게 볼까'
그래도 봤습니다. 열심히.. 그가 돌아 올때 까지 '역시 이윤열'이라는 말 한번 듣기 위해서
그러나 그는 오히려 다음 시즌은 커녕 다다음 시즌에도 올까 말까한 성적을 거두고 말았습니다.

나륻대로 여러 커뮤니티 돌아다녀 봤는데, '임요환 선수가 밟은 길을 밟는것일 뿐이다.'라는 말이 가장 많았습니다. 임요환 선수 대단합니다. 한때 피시방 리거가 현재 스타리그 전승으로 4강진출.
그렇지만 Nada는 다를 줄 알았습니다. 그는 언제나 저에게는 '역시 이윤열' 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그도 어쩔 수 없는 인간이기에 이런 시련이 오는가 봅니다.

전 생각했습니다. 예전에 어떤 소설에서 행복이란 우리가 정말 어렵고 힘들게 살았기 때문에 알 수 있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 이유는 매일 편안하게 사는 사람들은 그들이 그 편안함을 행복으로 느낄 수 있을 것이냐는 겁니다. 하루 하루 힘들게 살았던 사람들이야 말로  비로소 진정한 행복의 의미를 알 수 있다는 것이죠.

'역시 이윤열' 모릅니다. 진정한 이 단어의 의미를 모릅니다.
그러나 그가 정말 힘든 고통을 겪고 다시 최고가 됐을때 알 수 있을것입니다.
'역시 이윤열'이다!! 라는 것을..

이윤열 선수! 알고 싶습니다. '역시 이윤열'이란 의미를..!

ps. 이윤열 선수 응원글이 정말 많아 리플로 달려고 했지만.. 이윤열 선수의 응원글이라도 늘어난다면 아주 약간은 위안삼을 수 있을 것 같아 이렇게 글로 쓰네요..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영대
05/10/16 03:10
수정 아이콘
아무리 생각해도 임요환 선수 대단하십니다.
누구에게나 슬럼프라는건 다 있는 것입니다.
그걸 극복하느냐 못 하느냐가 더욱 중요한 것이겠지요.
이윤열 선수는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선수라고 생각합니다.
이윤열 선수 화이팅! ^^
狂的 Rach 사랑
05/10/16 03:39
수정 아이콘
극복할수 있어야겠죠. 당연히 그래야 하구요. 나다 화이팅! ^^
먹자먹자~
05/10/16 03:48
수정 아이콘
양대 피씨방 리거가 된 후 생각해보니 다시한번 험한 관문을 뚫고 올라올수 있을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자질이 워낙 훌륭한 선수이니 결국에는 올라오리라 생각하긴 하지만 요즘은 신예들의 발전 속도가 워낙 빨라서 올라오는 길이 쉽지만은 않을거 같네요.
묵향짱이얌
05/10/16 04:25
수정 아이콘
초반견제후 앞마당먹고 물량으로 미는 예전에 스타일이 참 멋있었는데 최연성선수에게 번번히 막히면서 스타일을 바꿨죠.. 약감 침체기후에 아이옵스제패 하면서 새로운 스타일이 익숙해졌나 싶었는데 다시 침체기에 접어드시는군요..
새로운별
05/10/16 07:21
수정 아이콘
다시 마음을 가다듬고 초심으로 돌아가서 재밌는경기, 멋진모습을 보여주기 보단 이기는 모습, 단단하고 안정적인 경기운영을 보여주세요 팬들은 그게 더 멋지고 강하고 기쁘답니다
거부할수없는
05/10/16 11:01
수정 아이콘
이윤열선수의 탈락소식...
한동안 스타리그 볼 맛은 좀 떨어지겠다 그뿐입니다. 왜냐면 좀 예상이 됐거든요. 요즘 이윤열선수 분위기를 미루어봤을때 말이죠.
이윤열선수 강한사람입니다. 이윤열선수 게임내적으로 그리고 외적으로 얼마나 많이 시달렸습니까. 그런데도 그정도 버틴거면 훌륭한겁니다.
역시 이윤열이란말 역시나 다시 듣게 될겁니다.
손가락바보
05/10/16 14:02
수정 아이콘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김동준 해설의 목소리.. "역시 이윤열이네요!" "그러나! 그러나! 최연성이거든요~"
ericmartin_mr.big
05/10/16 15:16
수정 아이콘
차기 첼린지에서 1위 하면 되는거죠.제가 보기엔 슬럼프도 슬럼프지만 최근 신예선수들이나 고참급 우승을 경험한 선수들이나 실력차이는 같다고 생각합니다.
박명수 염보성 등 홍진호 이윤열 선수를 상대로 가볍게 이겨버렸으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7427 헌혈이란... 무엇인가?? [29] 전성기제갈량4654 05/10/17 4654 0
17426 서바이버 박상현 캐스터 보셨습니까? [33] 된장국사랑7091 05/10/17 7091 0
17425 어제 한국시리즈 2차전 삼성 vs 두산의 5시간 가까운 대혈전!!!(부제:걸사마의 귀환) [30] CornerBack4342 05/10/17 4342 0
17424 실생활에서 스타이야기 많이 하시나요? [35] 호수청년4763 05/10/17 4763 0
17423 최연성 선수와 선수지명의 미묘한 관계 [17] Daviforever6664 05/10/17 6664 0
17422 복싱... 이렇게 재밌는 녀석을 이제야 알게되다니 : ( [36] OddEYe5886 05/10/17 5886 0
17421 1990년 우리들의 죽음 그리고 2005년 [10] 어딘데4736 05/10/17 4736 0
17419 벽을 넘을수록 점점 커지고 강해지는 '적'들... [7] 못된녀석...4425 05/10/16 4425 0
17418 기억에 남은 논쟁 [15] 올빼미4783 05/10/16 4783 0
17417 좋은 PGR을 위한 답글과 토론에 대한 생각. [11] after_shave4416 05/10/16 4416 0
17416 스타리그 16강의 벽... 8강의 벽을 넘어라 [11] 몽상가저그4336 05/10/16 4336 0
17415 G피플 오영종편 보신분 계십니까? [25] 박서야힘내라5649 05/10/16 5649 0
17414 저그가 다른 종족보다 어려운 5가지 이유 [54] 톰과란제리9511 05/10/16 9511 0
17413 장재혁 PD님, MSL 음악리스트 올려주십시요~! [22] BluSkai5413 05/10/16 5413 0
17412 가을의 전설??!! [15] 착한사마리아4546 05/10/16 4546 0
17410 그녀를 만날때마다...[응원글-_-] [16] Lunatic Love5221 05/10/16 5221 0
17409 레알 KTF? [54] 브릴리언스6377 05/10/16 6377 0
17408 피터선수가 WCG 선발전 전승으로 국대가 되었다고 하는군요 [20] 푸하핫6455 05/10/16 6455 0
17407 임요환vs박지호, 박지호vs임요환. OSL 4강 정말 기대됩니다. [34] 바카스5427 05/10/16 5427 0
17406 실력에 대한 짧은이야기 [16] lxl기파랑lxl4420 05/10/16 4420 0
17405 KBS 스카이가 우주랑 손잡고 온라인 게임중계를? [28] 냥냥이5057 05/10/16 5057 0
17404 815맵 밸런스에 대한 짧은 생각 [47] ericmartin_mr.big4920 05/10/16 4920 0
17403 스타윈도우 모드에서 할수있는 유틸리티 [16] 먹자먹자~4254 05/10/16 425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