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06/12 00:04:50
Name 광룡
Subject 밑에 글을 보고 문득 생각나버렸습니다,
나름대로 환타지를 쓴다고 설치는 터라. 문득 생각나버린 설정입니다.
각종족의 특성과 각종족을 빗낸 선수들을 이용한 팬픽 기본 개념입니다.


일단 계보는 이렇습니다.

테란

1대 테란 왕국의 기틀을 다진 왕- 이기석
2대 테란 왕국을 제국으로 발전시킨 황제- 임요환
3대 테란제국을 이어받은 어린 황제- 이윤열
4대 어린황제에게서 제위를 찬탈한 붉은황제- 최연성

일단 이쪽의 정치체제는 제국입니다. 뭐 딱히 설명할정도까지 설정을 잡진 못했지만
딱 생각나는 정치 체계는 역시 제국이더군요. 임요환 선수의 이미지가 강해서 그런가?
하하하;;

저그

1대 여러 부족을 끌어모아 부족국가를 형성한 부족장 -신주영
2대 부족을 더욱 끌어모아 제국을 침공하며 대마왕이란 별칭을 얻은- 강도경
3대 일찍이 부족장에 선출되어 장기집권한 폭풍- 홍진호
4대 그런 그의 장기집권에서 끌어내리고 부족장을 차지한 투신- 박성준

이쪽의 이미지는 역시 부족국가입니다. 거기다가 부족 대부분이 기동성 좋은 기마민족이라고 하면 되겠군요. 음.. 몽골제국을 생각하시면 좋으실듯 합니다.


프로토스

1대 일찍이 발달된 정치체계를 들고 공화국을 설립한 1대 통령 -기욤 패트리
2대 순수 토종 농사꾼으로서 2대 통령에 올라 두번이나 황제에게 치욕을 안겨준  -김동수
3대 제국의 침공에 맞서 싸우며 큰 활약을 하며 영웅의 칭호를 얻은- 박정석
4대 오랬동안 꿈을 꾸던 그가 눈을 떴다. 뛰어난 전략가이자 기괴한 전략을 선보여 몽상가라 불리웠던 천재. -강민

발달된 문명을 지닌 프로토스 딱 생각나는것이 민주 공화정이더군요. 아무래도 앞의 두 정치 체계에 비하면 확실히 발달된 정치 체계니까요.

일단 기본적인 설정이 이런데 여러분의 느낌을 듣고 싶습니다.
반응 좋으면 갑니다. 으허허허허허..
함부로 가져다 써서 죄송합니다. 지우라고 하시면 지우겠습니다.
청보랏빛 영혼님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로니에르
05/06/12 00:06
수정 아이콘
비유가 적절(?)하네요~
워크초짜
05/06/12 00:08
수정 아이콘
최진우 선수가 없네요;;
05/06/12 00:10
수정 아이콘
워크초짜// 제가 기억을 모해서 그런것 같군요. 뭐 4명씩 맞추다 보니 빠지기도;;
죽도록사랑해
05/06/12 00:17
수정 아이콘
왠지 저그 1대는 신주영 선수보단 최진우 선수가 어울릴거 같네요..
사실은 제가 신주영 선수 플레이를 직접 본적이 없어서..(퍽퍽;)
이디어트
05/06/12 00:35
수정 아이콘
테란의 왕국이 세워지기전에, 두명이 테란을 받치고 있었으니, 김대건과 임요환이다. 하지만 이 둘의 성격은 너무나도 달랐기에, 동시에 군림한다는것은 무리가있었을뿐더러, 최고는 언제나 하나뿐이어야 하는것.
그런 대치상황중 임요환은 김대건의 메카닉 이라는 능력을 흡수하는데 성공하였고, 임요환은 테란의 황제로 군림하게 된다. 김대건은 조용히 역사 저편으로... 어느새 자취를 감춘다.
그냥 생각나서-_-;;;에필로그쯤 되려나요;; 허헛;;
이디어트
05/06/12 00:36
수정 아이콘
아차.. 프롤로그요-_-;;
05/06/12 01:03
수정 아이콘
이기석 신주영 선수는 랜덤의 냄세가 물씬~ ;;;
주종이 다있겠지만요 ^^;; 그런데 신주영 선수 주종이
저그는 아니었던걸로 아는데 ;;; 제가 잘못 알고 있는건가요?
남자의로망은
05/06/12 10:22
수정 아이콘
다 맞는데요 저그 1대는 국기봉 or 최진우 선수로 바뀌어야 할것 같습니다.
슷하급센스~
05/06/12 10:32
수정 아이콘
김동수 선수가 임요환 선수를 결승에서 2번이나 꺾었나요?
05/06/12 13:11
수정 아이콘
저그는 아직이지 않나요? 박태민-박성준 두 쌍두마차 체제로 보여지는데..
05/06/12 13:54
수정 아이콘
신주영선수는 플토아닌가요? 랜덤이었긴 했지만요. 그리고 기욤패트리 세계우승할때 저그로 알고있는데^^;하긴 뭐 기욤은 플토로서 날라다기긴 했죠.
모진종,WizardMo
05/06/12 17:34
수정 아이콘
이기석 신주영 기욤은 랜덤이죠. 특히 신주영,기욤은 대회나가면 거의 저그로 게임했습니다. 맵이 특별히 토스가 유리하지 않은이상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725 [잡담]니나잘해...그 끝은....(스포일러유) [24] 이정훈9593 05/06/15 9593 0
13724 스타리그 주간 MVP (6월 둘째주) 결과 [9] DuomoFirenze4332 05/06/15 4332 0
13723 대한민국의 정체성. [7] Sulla-Felix5134 05/06/15 5134 0
13722 불패전설 힉슨 그레이시, 현역복귀 선언! [21] 샤오트랙5261 05/06/15 5261 0
13718 장미꽃 한다발사기 - 부제:어느남자의미친짓 [9] 호수청년6058 05/06/15 6058 0
13716 남은 프로리그 예상과 플레이오프 진출가능성과 팀별 문제점 [18] 러브포보아5954 05/06/14 5954 0
13715 [잡설]89년생들에게.... [44] GogoGo5308 05/06/14 5308 0
13714 친구에서연인까지 2 [8] 여천의군주4888 05/06/14 4888 0
13712 팬텍, 문제가 좀 심각한듯하네요; [47] 말없는축제10493 05/06/14 10493 0
13711 비스폰서 후원금 모금 [22] legend4556 05/06/14 4556 0
13710 테크노 골리앗 또 사고치네요... [25] 하늘높이^^8059 05/06/14 8059 0
13708 이재항 선수와 관련된 이야기 [99] 벙커구석마린11752 05/06/14 11752 0
13706 심심해서 조사해 본 박성준선수의 분기별 전적 [22] Dizzy7584 05/06/14 7584 0
13704 [OSL History]아둔스 트웰브--역대 OSL 프로토스 8강 이상 진출자들. [48] Daviforever8791 05/06/14 8791 0
13703 축구 어느나라를 좋아하나요??? [78] ★밥을 달라★5192 05/06/14 5192 0
13702 월드컵 첫 16강 진출 3주년.. [17] 자갈치4731 05/06/14 4731 0
13701 좋은 친구... [11] 괴물테란4350 05/06/14 4350 0
13700 Fly to the Sky 란 그룹. 어떻게 생각하세요? [63] EndLEss_MAy8903 05/06/14 8903 0
13699 pos 프로게이머 여러분 화이팅!! [10] 마음속의빛4481 05/06/13 4481 0
13697 그냥 제 얘기입니다... [23] 사랑천사4815 05/06/13 4815 0
13695 kbs sports 뉴스를 보고 [34] Ange Garden6547 05/06/13 6547 0
13694 [미스테리] 인간은 언제부터 사고를 할 수 있는가? [11] Timeless4811 05/06/13 4811 0
13691 앞을 내다보는 힘 [38] Dizzy6947 05/06/13 694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