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2/03/07 11:48:37
Name StayAway
Subject [일반] 선거에 즈음하여..
2008년 6월에 개인적으로 하루 정도 광장에 나간적이 있었습니다.

아마 5월 말 쯤이었을 겁니다. 당시 수입산도 잘 먹던 저로서는 시위의 내용 자체에 그다지 동조하진 않았지만,
사람들이 경찰에게 맞고 연행당하는 모습을 보고 이건 아니다 싶어서 현장에 나갔습니다.
많은 사람들과 대화를 나눴죠. '님을 위한 행진곡'의 가사도 그 때 즈음 알았던 것 같습니다.

현장에서 만난 한 아저씨는 당시 40대 중반 정도로 보였습니다.
그는 자신의 민주화운동 경력을 이야기 자랑스럽게 언급하면서,
이번 시위가 성공하려면 '누군가의 피'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누구 하나가 정부에 의해 죽어나가면 그 때부터 파급력이 달라진다는 이야기였죠.
뭐 개인의 의견이고 민주화 열사들이 실제로 존재하던 시절이니까 그려러니 했습니다.

그런데 그 즈음부터 소위 '여고생 사망설'을 포함한 각종 루머들이 나돌기 시작했습니다.
출저 불명의 엠뷸런스 사진이 증거라고 돌아다니고, 정체가 불분명한 관계자들의 증언이 이어집니다.
'누군가가 원하던 사실'은 많은 '팩트'들로 포장되어서 실제 진실인 것마냥 돌아다녔습니다.  

같은 '팩트'를 두고도 해석은 천차 만별이었고,
누군가에게는 선동으로, 누군가에게는 숨겨진 진실로 둔갑하기 시작했습니다.  

음모론에 혹하는 심정은 이해가 갑니다.
가리워진 진실과 불편한 현실 사이의 어딘가에 있겠죠.
음모론에 접근하는 사람들도 대부분 '진실을 알고 싶다'는 마음일 것입니다.

하지만 한가지 만큼은 지켜주셨으면 합니다.
그 숨겨진 진실이 '내가 원하는 혹은 내가 동의하는 진실이었으면 좋겠다.' 생각은 접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의심에 '사심'이 들어가는 순간 평범한 '팩트'는 정황증거가 되고, 특정인은 '용의자'가 됩니다.


현실로 돌아와봅시다.

차후 사태가 더 심각해질 수 있고, 더 혼란속으로 빠질 수도 있지만
스쳐가는 마음이나마 '더 혼란해졌으면 좋겠다. 더 곤란해졌으면 좋겠다.' 라는 심정으로 사태를 바라보진 말았으면 합니다.
그 작은 사심이 우리를 진정한 '팩트'에서 멀어지게 만들고,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게 만들 것입니다.

아직까지는 뜨거운 가슴보다 차가운 이성이 더욱 필요한 요즈음이 아닌가 싶습니다.

---------------------------------------------------------------------------------------------------------------

대략 탄핵 정국이 시작될때 쯤 제가 쓴 글 인데..
많은 분들이 진영이나 입장이 바뀌었을지는 몰라도 현상 자체는 크게 달라진건 없어서 퍼와봅니다.

투표는 민주주의의 근간이고, 선거는 축제라고 하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근데 이번 선거는 좀 아닌거 같긴합니다. 그 만큼 치열하다는 이야기겠죠.

민주주의 시스템의 가장 큰 장점은 시끄러울지언정 평화롭게 정권교체가 가능하고
모두가 그걸 인정하는 혹은 인정 할 수 밖에 없는 시스템을 만들었다는 점입니다.

누군가는 축배를 또 누군가는 고배를 삼키겠지만,
우리가 해야하는 것은 누가 당선이 되건 결과에 승복하고 휴유증없이 일상으로 돌아가는 일입니다.

선거에서 내가 지지하지 않는 후보가 당선되는 일은 비일비재합니다.
심지어 미국도 오바마 다음에 트럼프라는 역풍이 불었지만 지금은 다시 바이든이 집권한 상태죠.
물론 이 과정에서 트럼프 극렬 지지자들이 국회의사당을 점거하긴했습니다만, 미국은 자정작용을 잃지 않았죠.

최근의 부실 선거는 누가봐도 문제가 많습니다. 코로나 상황을 감안하더라도 누군가는 처벌을 받아야 합니다.
그렇게 되길 바라진 않지만 혹시나 부정 선거의 증거가 나오면 이 또한 사법절차에 따라 엄중히 처리해야합니다.
하지만 확정적인 판결 전 까지는 결과에 승복하고, 음모론을 확대 재생산하지 않는게 민주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의 의무겠죠.

물론 세부적으로 파고 들어가면 호불호가 나뉘는 부분이 있겠지만.
이준석의 지지자는 아닌 제가  이 대표의 행보에 대해서 대체로 좋은 평가를 내리는 건
다른 것도 있지만 유튜브 찌라시들이 퍼나르던 총선 음모론 프레임에서 빠져나와서
새로 구도를 짜고 낡은 보수를 재편하고자하는 큰 그림에 상당히 동의하기 때문입니다.

반농 반진이겠지만 심지어 황교안이 나았다. 민경욱이 나았다. 하는 이야기가 나오면
이런 흐름이 다시 퇴행하는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에 몇 자 적어봅니다.

매번 드리는 말씀이지만, 각자 지지하는 후보의 선전을 기대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데몬헌터
22/03/07 11:54
수정 아이콘
공감이 많이 가는 글이네요
고봉밥
22/03/07 11:57
수정 아이콘
황교안 밈은 딱 농담으로 끝날 때 아름답죠. 진심으로 믿으시는 분들은....

술 한잔 마셨습니다... 선거가 잘 안되도 좋습니다. 하지만 황교안 하나만 기억해주세요 진심을 다해 전합니다. 선거가 별로 일수있습니다 밤낮으로 고민하고 부정선거 주장했습니다 ...최선을 다했고 열심히 했습니다 저의 진심이 느껴지길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리얼월드
22/03/07 11:59
수정 아이콘
Life goes on...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826 [일반] 영혼의 한타가 벌어졌던 두번의 선거, 2012 - 2022 지역별 득표율 비교 [9] giants6562 22/03/10 6562
5825 [일반] 윤석열 승리의 원동력 - 한강 벨트 [32] 무도사7734 22/03/10 7734
5824 [일반] 이 시점에서 다시 보면 더욱 재미있는 글 [31] 리얼포스7347 22/03/10 7347
5823 [일반] 제20대 대통령선거 전국 개표결과 [5] 달리와4666 22/03/10 4666
5822 [일반] 투표 사무원 체험 후기 [17] 영혼의공원4265 22/03/10 4265
5821 [일반] 이제 국민의힘에게 달렸습니다. [70] 바람생산공장9175 22/03/10 9175
5820 [일반] 터닝포인트 [37] Cazellnu6391 22/03/10 6391
5819 [일반] 윤석열이 당선된 이유. [28] 계란말이7608 22/03/10 7608
5818 [일반] 페미로 패망한 문재인 & 민주당 [149] 김연아15255 22/03/10 15255
5817 [일반] 이재명을 뽑았읍니다 [68] PENATEN12717 22/03/10 12717
5816 [일반] 지상파 3사 출구조사는 경이로운 수준이네요. [52] Alan_Baxter14332 22/03/10 14332
5815 [일반] 윤석열을 대통령으로 만들어 준 순간 [85] 불쌍한오빠16217 22/03/10 16217
5786 [일반] 생애 첫 투표사무원을 해보고 느낀 점 [27] HuggingStar5374 22/03/09 5374
5780 [일반] 내가 뽑은 선거 관전 포인트 [11] 푸크린6295 22/03/09 6295
5778 [일반] 실망 그 이상의 선관위.. [45] 카미트리아11471 22/03/09 11471
5777 [일반] [투표장려겸 부탁] 소소하게 커피 이벤트 [223] 김유라8579 22/03/09 8579
5775 [일반] [투표인증] 방금 투표하고 왔습니다! [31] 통피6699 22/03/09 6699
5774 [일반] 20대 대선에 대한 개인적인 후기 [55] 삭제됨9550 22/03/09 9550
5773 [일반] 징크스는 깨진다. [25] 변명의 가격7811 22/03/09 7811
5772 [일반] 제20대 대선 예측(feat. 역배) [104] 발이시려워13425 22/03/09 13425
5771 [일반] 어김없이 돌아온 sbs 대선 개표방송 [28] 카루오스10312 22/03/08 10312
5770 [일반] 이재명 / 윤석열 두 후보의 해외 언론 인터뷰 관련 논란들 [18] 덴드로븀7336 22/03/08 7336
5769 [일반] 공무원 실수로 선거권 박탈 계속 나와, 그리고 후속조치.gisa [15] VictoryFood7159 22/03/08 715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