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2/11/24 21:33:33
Name 타테시
Subject [일반] SBS MBC 11월 24일 여론조사 분석
두 방송사에서 매우 급하게 돌린 여론조사입니다.
아마 26일 아침에 각종 신문사에서 나올 여론조사가 매우 중요하게 나올 것으로 보이구요.
오늘 나온 여론조사 만으로 과연 어떤 식의 결과가 나왔는지 보겠습니다.
매우 자세한 결과는 SBS 같은 경우에는 보고서가 따로 나와봐야 알기 때문에
이건 그냥 대충 해보는 것입니다.

MBC 여론조사는 양자대결 만으로 했습니다. 그래서 이쪽은 양자대결을 통해 보는게 맞다고 생각됩니다.

18일 여론조사(1005명대상, 유무선 혼합, 응답률 14.9%, 오차 3.1%)
<정당지지율>
새누리당 38.5 민주통합당 37.9 진보정의당 1.6 통합진보당 3.8
<양자대결>
박근혜 42.5 문재인 45.6

24일 여론조사 (1000명대상, 유무선 혼합, 응답률 24.7%, 오차 3.1%)
<정당지지율>
새누리당 36.8 민주통합당 37.4 진보정의당 2.0 통합진보당 1.7
<양자대결>
박근혜 39.2 문재인 41.2

MBC쪽을 보면 문재인 후보는 4.4%의 하락, 박근혜 후보는 3.3%의 하락을 보였습니다
대체적으로 하락세는 문재인 후보가 컸는데 이는 양자대결의 움직임에서 나온 현상이라 봐야 합니다.
이른바 엄청나게 아름다운 단일화였다면 문재인 후보의 하락세는 크지 않았겠지만 결국 컸죠.
부동층이 엄청 늘어나버렸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각 후보들의 지지정당의 지지율과 비슷해버렸다고 봐야죠.

SBS쪽은 좀 다릅니다. 오늘 조사는 다자대결이었더군요.
그래서 이쪽은 또 다르게 해석해야 합니다.

17~18일 여론조사 (1500명, 유무선 혼합, 응답률 13.1%, 오차 2.5%)
<정당지지율>
새누리당 41.2 민주통합당 34.3 진보정의당 1.0 통합진보당 1.9
<다자대결>
박근혜 42.0 문재인 23.8 안철수 22.4 심상정 0.1 이정희 0.3 강지원 0.2 박찬종 0.1

24일 여론조사 (1000명 대상, 유무선 혼합, 응답률 12.3%, 오차 3.1%)
<정당지지율>
새누리당 41.3 민주통합당 34.8 진보정의당 1.9 통합진보당 2.5
<다자대결>
박근혜 43.4 문재인 37.6 심상정 0.3 이정희 0.3 강지원 0.2 박찬종 0.1 무응답 18.1

일단 정당지지율을 봐서는 확실히 MBC와 이른바 정당지지층이 다르고 거기에 맞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박근혜 후보의 상승폭은 1.4%, 문재인 후보의 상승폭은 13.8%였습니다. 심상정 후보도 0.2%의 상승세가 있었네요.
안철수 후보의 나머지 지지율은 부동층으로 갔다고 봐야죠.

대충 따져보면 안철수 후보의 사퇴와 동시에 전체 응답자 중 5~10%는 부동층으로 이동해버렸고
그로 인해 현재의 부동층은 15~20% 정도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15~20%의 부동층을 문재인, 박근혜 두 후보 중 어느 후보가 잡느냐가 이제는 중요한 싸움이 되었다고 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밀가리
12/11/24 22:18
수정 아이콘
문재인 후보에게 많이 안좋네요.
12/11/24 22:44
수정 아이콘
그래도 확 빠지는 현상은 없는게 다행이네요.
후속 여론조사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궁금합니다.
12/11/24 23:15
수정 아이콘
무응답 엄청나네요. 저 부동층의 움직임으로 이번 대선이 판가름 나겠네요.
시네라스
12/11/24 23:41
수정 아이콘
제가 생각했던 것 보다는 문재인 후보가 많이 안빠졌고, 부동층이 박근혜 후보쪽으로 가지도 않았네요
물론 민주당은 여기서 삐끗만 해도 작살날것 같습니다만...
12/11/25 00:13
수정 아이콘
이제 진짜 문재인의 능력에 따라 갈리겠군요
12/11/25 00:36
수정 아이콘
제가 생각하던 것보다 많은 수치가 벌써 문재인 후보측으로 이동했네요.
시작은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그래도 부동층의 흡수는 어쩔 수 없이 문재인 후보 스스로 풀어가야 할, 큰 숙제가 될 것입니다.
적울린네마리
12/11/25 00:44
수정 아이콘
'아름다운 양보'보다는 '중도포기'가 어울리는 삐걱거리는 후보단일화과정에서 다자간 문-안 지지율의 합 근처에 온 것만 해도
다행이라 보여지네요.
이제부터는 문재인후보와 민주당의 노력에 달렸으니 지금부터라도 뭔가 달라진 모습을 기대해봅니다.
DarkSide
12/11/25 01:20
수정 아이콘
야권 단일화 후보로 결정된 문재인 후보의 선전을 기원합니다.

지금부터라면 12월 19일까지 충분히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뒤집고 이길 수 있다고 믿습니다.


부디 문재인 후보께서 새누리당을 척결하고 정권 교체를 이룩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12/11/25 02:14
수정 아이콘
앞으로 지지율을 출렁일 요인이라면..

3번의 TV 토론 - 문 > 박
대북 정책 관련한 공방 - 박 > 문
양 당의 핵심 관계자들의 삽질 - 예측 불가

뭐 이 세 가지 정도가 제일 큰 껀수들 아닐까 싶습니다.
단빵~♡
12/11/25 02:15
수정 아이콘
0.3%밖에 안되지만 일단 명분만 있으면 단일화(라고 쓰기도 민망하지만...)를 생각하고 있는 진정당에게 민주당쪽에서 빠르게 손을 내밀어 줬으면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5 [일반] 이번 단일화 과정에서 문재인후보에게 가장 아쉬웠던 점 한가지. [68] 삭제됨3566 12/11/25 3566
34 [일반] 안철수를 위한 변명 [9] 포켓토이3891 12/11/25 3891
31 [일반] 안철수씨 지지자로서의 화풀이 [71] 소문의벽3907 12/11/25 3907
30 [일반] SBS MBC 11월 24일 여론조사 분석 [12] 타테시4679 12/11/24 4679
29 [일반] [오늘의 리얼미터 여론조사] 양자구도, 그리고 경남도지사 야권단일화 결렬 [17] 어강됴리4945 12/11/24 4945
28 [일반] 안철수님, 그리고 안철수님을 지지했던 지지자님들께 골수악질(?) '노빠' '친노'가 감사인사 올립니다. [5] 가는세월3364 12/11/24 3364
26 [일반] 사퇴 시점에서 생각해본 안철수 후보의 행동에 대한 나름의 결론입니다. [101] New)Type5798 12/11/24 5798
25 [일반] 안철수 사퇴관련 외신모음 [3] 어강됴리4873 12/11/24 4873
24 [일반]  단일화, 안철수,문제인 [25] 니키5166 12/11/24 5166
23 [일반] 여러분은 누구에게 투표하시겠습니까? [148] 까망탱이5622 12/11/24 5622
22 [일반] 안철수 후보를 뽑고 싶었는데 아쉽지만, 이제라도 진심을 알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35] balance4491 12/11/24 4491
21 [일반] 단일화. 그에 관한 민주당 지지자의 입장. [105] Bergy104149 12/11/24 4149
20 [일반] 고성국 그가 옳았다 [28] 뜨거운눈물5639 12/11/24 5639
19 [일반] 이제 간단해졌습니다. [190] 어강됴리6128 12/11/24 6128
18 [일반] 문캠프의 앞으로의 행보에 대해서... [193] 산타6442 12/11/23 6442
17 [일반] 감사합니다. 그리고 기쁩니다. [113] probe5552 12/11/23 5552
16 [일반] 안철수 후보님 감사합니다.(2012년 대선 3자구도에서 본 각 후보님 득표율 예상.) [202] 가는세월9393 12/11/23 9393
15 [일반] 안철수 후보 사퇴 선언! [720] 白風19155 12/11/23 19155
14 [일반] 문재인 안철수 단일화 룰의 전쟁 - 칵테일 방식 선택 시 상황... [57] 타테시7440 12/11/23 7440
13 [일반] pgr글쓰기 버튼의 무거움이 이제는 두려움이 되었습니다. [86] Zest5265 12/11/23 5265
12 [일반] 안철수를 위한 변명 [197] makia9376 12/11/23 9376
11 [일반] 안철수가 틀렸다. [102] 어강됴리9797 12/11/23 9797
10 [일반] 안철수에 대한 의심? 이제는 확신. [54] Bergy108950 12/11/23 895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